• Title/Summary/Keyword: 학생의 학습

Search Result 7,09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ealtime Collaboration Learning System based on Individual Learning (학습자의 개별학습에 기반 하는 실시간 협력체제 설계 및 구현)

  • Choi, Yun-Mi;Choi, Jin-Se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487-491
    • /
    • 2006
  • 학교현장은 평균 43명의 과밀학급(인천광역시 연수고등학교 2학년)으로, 컴퓨터실에서 교사는 학생들을 관리하기 위해 학생 PC의 전원 끄는 경우가 있다. 교사는 학생의 컴퓨터를 감시하여 수업과 관련 없는 웹(web) 사이트를 방문하는 학생들의 수업 이외의 장난을 막으면서 학생들에게 수업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학생은 이러한 방식에 반발심을 사거나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또한 컴퓨터실 수업에서 일반적으로 교사는 "바쁜 교사"이다. 제한된 시간에 학습자 개인의 흥미나 욕구를 반영하여 개별 학습자의 능력 혹은 수준에 맞추어 수업의 내용의 내용과 속도를 다르게 가르치는 개별지도가 불가능하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컴퓨터라는 정보화 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학습 초기에 개별학습을 하면서 학습 진행에 어려움을 격을 시 학생과 학생사이에 다양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도록 협력학습 체제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학습을 모니터링하면서 학생 또는 협력학습 모둠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처한 경우나 실패한 경우 교사의 개별지도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실시간 협력학습 체제를 설계하였다.

  • PDF

A Survey Study on Learning Behavioral Styles of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e-러닝 환경에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행동양식에 관한 연구)

  • Yin, Zi-Long;Kim, Yeon-Jin;Nam, Seung-Kwon;Cho, Won-Si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7 no.1
    • /
    • pp.107-1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pedagogical resources for designing the optimum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e-Learning through the survey study on learning behavioral styles (LBS) of the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An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 field made a very strong difference to the learning behavioral style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ordinary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study, the LBS sequence of gifted students is the 'passive learning behavioral style',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al style',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behavioral style',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al style', and the LBS sequence of ordinary students is the 'passive learning behavioral style',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behavioral style',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al style',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al style'. Simultaneously, there are som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learning behavioral style by gender, grade, and the time of using computer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ordinary students.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다문화가정 학습부진학생의 교육 지원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Goo, Youngsan;Oh, Sangchul;Yi, Hwajin;Chang, Kyung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2
    • /
    • pp.1069-1082
    • /
    • 2014
  •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o support LPSMB(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rough the survey o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We analyzed a survey of 2,091 students from 200 schools who were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LPSMBs, and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than low-performing Korean students and LPSMBs. However,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LPS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LPSMBs showed lower scores on parents' culture than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e suggested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인터넷의 홈페이지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영향요인 및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김하균;배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56-63
    • /
    • 1998
  • 정보화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교육분야에서도 다양한 교수와 학습활동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컴퓨터의 활용이 중요성을 지니게 되었는데 그 중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가 강의실 수업의 연장으로써, 보조학습수단으로써 인터넷 서비스 중 웹(WWW)상의 교사 홈페 이지를 이용한 학습은 전통적 교수-학습 형태에서 볼 수 있었던 폐해를 극복하고 정보화시 대가 요구하는 창조적이고 능동적인 인간성을 길러내는데 일조하게 될 인터넷에 올려진 교 사 홈페이지를 이용한 교수-학습시스템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몇몇 학교에서 실 시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한 교사 홈페이지를 이용한 교수-학습시스템의 구체적인 성과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밝혀 교사 홈페이지를 이용한 교수-학습 시스템의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시스템활용의 편이성과 시스템의 활 용도 그리고 학생의 학습 태도 등을 성과변수로 설정하고 학생의 시스템 활용능력과 교사의 홈페이지 구성내용 그리고 학교측의 지원 등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설정된 성과인 시스템활용의 편이성과 시스템의 활용도 그리고 학생의 학습 태도에는 긍정적인 측면을 나타냈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공히 학생의 시스템 활용능력과 학교측의 지원으로 나타난 바, 이러한 시스템의 도입은 상당히 긍정적이며 앞으 로도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가 충분히 있다.

  • PDF

중학교 수학 부진 학생들의 부진 요인에 대한 연구

  • Bae, Jin-Dong;Jo, Jeong-S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67-173
    • /
    • 2003
  • 본 연구는 수학교사가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부진 학생의 이해를 위해서 그리고 이들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학 교과에서 학습 부진을 나타내는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부진 요인을 인터뷰와 비디오 관찰을 통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대표적인 부진 요인은 학습 결손으로 인한 기초학력 부진을 들 수 있으며 학습 방식과 개별 학생의 학습 유형간의 차이로 인한 부진이 있으며 학습의욕의 고취를 위한 동기부여의 결손과 개별 학생의 적극적인 노력의 결여가 부진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보인다. 이들 수학 부진 학생들을 지도할 때는 학생 개개인의 부진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많은 격려와 칭찬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수업이 고려되어야 하며 더 많은 수학 부진 학생들 개개인의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바탕으로 부진아 개개인에 적절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적용하였을 때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장기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Design of a Mobile Anchor Program based on M-ARCS Model for Learning Disorder Students' Concentration (학습 장애학생의 주의집중을 위한 M-ARCS모형 기반 모바일 앵커 프로그램 설계)

  • Kim, Chul-Ho;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57-63
    • /
    • 2010
  • 학생들의 기초 기본학습 능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교육상황에 비추어 볼 때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학습장애에 대한 재인식과 학습 장애학생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 대책으로 기존의 keller의 동기유발학습이론인 ARCS모델을 변형하여 정착수업이론의 앵커라는 자발적 인지학습을 위한 매개체를 도입하여 변형된 M-ARCS이론을 토대로 학습 장애학생들의 동기유발 및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모바일 앵커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ARCS이론에서 강조하던 학생들의 주의집중, 관련성, 성취감, 자신감이라는 항목을 통해 학습 장애 학생들에게 기존의 교육방법과 다른 동기유발을 통한 성공이라는 경험을 준다. 둘째, 정착수업모델의 앵커를 적용하여 학생들이 실제생활과 관련된 지식들을 배우고,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의미한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기존의 앵커형태와 다른 모바일 앵커를 적용함으로써 실제 활동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도입하여 학습 장애 학생들에게 주의집중 및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최종적으로 학습 장애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 PDF

Comparison Engineering Students' Beliefs with Professors' Expectations about the Cognitive Beliefs and the Motivational Beliefs in Learning Physics (물리학습에서의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과 교수자의 기대 비교)

  • Kang, Eugene;Kim, Jina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6 no.2
    • /
    • pp.50-57
    • /
    • 2013
  • The study to improve engineering students' performance in studying physics lacked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studying physics in engineering education. The cognitive belief and the motivational belief in studying physics had a strong effect on studying phys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educational way through comparing professors' expectations with students' beliefs about the cognitive belief and the motivational belief in studying physics. The cognitive belief in studying physics was considered as variables like 'knowledge', 'learning' and 'relation'. The motivational belief in studying physics was considered as variables like 'expectancy' and 'value'. It was the 'expectancy' that was the most different dimension between professors' expectations and students' beliefs. It means that students have little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to study physics, though professors expect their students to be confident. Professor who teaches physics to engineering students recognize these differences, need to have interest in affective domains of beliefs to teach. In addition, there is need to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lead engineering students' beliefs about ability to perform the task, the purpose, importance, interesting for physics.

중학교 1학년 수학 부진아의 진단 및 처방에 관한 사례연구

  • Jeong, Bo-Na;Jo, Wa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103-124
    • /
    • 2001
  • 수학은 계통성이 강한 학문이다. 이러한 수학의 특성은 학습의 결손이 있거나 학습속도가 느린 학생들에게 수학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의 근원이 된다. 특히 중학교 수학에서는 처음으로 형식적인 수학이 도입되기 때문에, 중학교 1학년에서 수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경우 그 학생은 수학 장애아, 수학부진아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개별지도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수학 부진아를 선정하여 수학학습에서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학생의 오개념과 오류를 분석한 후, 그 학생에게 맞는 학습전략을 선택하여 처방 지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의 이해와 사고과정을 알아보고 태도변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nalysis of Instruction-Learning Process for Underachievers thorough Cyber Home Learning System 2.0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 2.0 교수학습과정 분석)

  • Lee, Jung-Min;Choi, Yong-Hoon;Lee, M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59-162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학습부진학생의 부진 원인을 규명하고 사이버 가정학습 2.0을 통해서 일어나는 인식변화과정의 분석을 통해 사이버 가정학습 2.0 시스템에 맞는 상황모형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사회과 학습부진학생이 느끼는 부진 원인에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이 함께 규명됐고, 사이버 가정학습 2.0을 통해 사회과 학습부진학생들은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과정분석을 통해 상황모형을 도출한 결과 사회과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사이버 가정학습 2.0 문제해결학습 모형이 도출하였는 바, 크게 도입, 문제규명, 탐색, 수행, 정리 및 평가의 다섯 단계로 나뉘어지는 것이었다. 향후에는 보다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학습부진학생의 가족과 또래관계의 분석이 포함된 연구나 사이버 가정학습 2.0과 교실수업을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한 연구가 요청된다.

  • PDF

Educational Support for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Basic Academic Competency of Elementary/Middle School Students (초·중 다문화 가정 학습 부진 학생 교과 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연구)

  • Goo, Youngs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361-374
    • /
    • 2016
  • The study aims to gain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 to support LPSMBs (low-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procedure involved surveying students ab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 analyzed responses from 1,147 students from 200 elementary schools and 3,760 students from 320 middle schools who were LPSMBs and NPSMBs (normally performing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LPSMBs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scores on most questionnaires related to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han NPSMBs. LPSMBs in elementary schools showed higher scores on teachers' learning support, LPSMBs in middle school showed higher scores on classmates' learning support. LPSMBs born in foreign countries need to be given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as well as their father's and mother's culture. I give suggestions for how to support LPSMBs' learn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