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생의 관점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34초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이 인식하는 이해 측면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spects Required by Teachers and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Reproduction and Genesis' unit)

  • 김명희;추초원;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00-608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수업 중 교사가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인식하는 이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 중 학생들에게 하는 질문, 과제 또는 학생 활동을 8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 조사하여 Wiggins & McTighe(1998; 2004)가 제시한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토대로 36문항의 선택형 설문을 개발하였다. 이를 90명의 교사와 3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요구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의 측면은 설명 항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해석, 관점, 적용, 공감, 자기지식 순으로 나타나, 적용이 관점보다 많았던 교사의 경우와 차이를 보였다. 이해의 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의 경우 설명과 적용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와 학생 두 집단 간 이해의 측면을 비교한 결과, 설명, 적용, 공감에서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이해에 차이를 보였다(p<0.05). 반면, 해석, 관점, 자기지식에서는 교사가 요구하는 이해대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기반한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에 있다(강현석, 유제순, 2010). 따라서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여섯 가지 이해의 측면이 고르게 반영되도록 학습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성화 고등학교 수학부진 학생들의 엑셀을 활용한 함수의 과정-대상 관점 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the Process-Object Perspective of Function Using Excel to Specialized High School Math Underachievers)

  • 최지연;허혜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13-235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목 학습이 부진하고, 특히 함수식과 그래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특성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에게 친숙한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도한 효과를 살펴보았다. 엑셀의 식, 표, 그래프를 한 화면에 담을 수 있는 기능과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움직이는 기능이 주로 사용되었다. 함수개념을 과정관점과 대상관점으로 나누고, 함수 표상을 표, 식, 그래프로 나누었을 때 학생들이 지도를 통하여 표상 내에서 또는 관점 간 유연한 전환이 일어나는 것을 목표로 지도하였고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은 특성화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명을 대상으로 5일간 컴퓨터실에서 실시되었다. 학생들에 대한 진단평가를 토대로 중학교 수준의 함수와 그래프를 엑셀을 이용해서 지도하였다. 학생들에게는 엑셀파일이 제공되었고, 학생들은 수업 중에 실제 조작해보고 조작결과를 배포된 활동지에 적고 함께 토론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 PDF

일차함수 활용문제의 해결을 위한 강의식, 모델링, 과제기반 표현변환 학습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Shift of the Functional Context)

  • 이종희;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39-6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일차함수의 활용단원을 학습할 때 여러 현상을 해석하고 다양한 수학적 표현을 사용하여 모델로 만들어 문제해결과정에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표현에 대한 이전 경험과 현상을 해석하기 위한 표현 방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학습-지도 방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함수를 학습한 8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차함수 단원을 예측과제, 번역과제, 해석과제, 척도과제로 세분화하여 각각에 대한 학생들의 오류를 분석한 다음, 일차함수의 활용 단원을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표현변환 학습, 모델링 관점에서의 표현변환 학습과 과제기반 표현변환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식 학습 방법보다는 모델링 관점과 과제기반 학습이 표현변환의 유연한 연결성 및 일차함수에 대한 각 과제별 오류교정과 질적 함수에 대한 해석 능력에서 효과적이었다. 모델링 관점과 과제기반 학습의 경우는 모두 표현변환의 유연한 연결을 교수하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질적 함수의 해석 능력에서는 모델링 관점의 학습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 PDF

초등학생의 관찰능력 측정을 위한 준거 개발 (Development of Criteria for Measuring the Observ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유정;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98-1008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관찰능력 측정준거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능력의 측정준거를 관찰대상, 관찰관점 및 요구정신용량으로 설정하였다. 관찰대상은 평면모양과 입체모양, 관찰관점은 고정과 변화로 구분하고, 요구정신용량은 2부터 5까지로 하여, 관찰능력 측정 준거의 삼차원틀을 개발하였다. 측정 준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삼차원틀에 따라 조사도구를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저 중 고학년 166명에게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관찰대상, 관찰관점 및 요구정신용량의 세 가지 준거에 따라 관찰능력 검사점수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관찰대상에서는 평면모양, 관찰관점에서는 관점고정, 요구정신용량이 작을수록 관찰능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관찰능력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관찰능력 측정 준거는 초등학생들의 관찰능력을 의미있게 파악하고 변별할 수 있으며, 신뢰롭고 타당한 초등학생의 관찰능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삼각함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 층위 분석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hown in Trigonometric Functions)

  • 이유빈;조정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319-334
    • /
    • 2019
  • 본 연구는 삼각함수와 관련된 과제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해 정도를 Hitt(1998)의 층위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학생들의 함수 이해 정도를 층위 분석을 통해 단계를 구분한 후 이해 관점을 과정과 대상 관점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해의 정도 층위는 3단계에서 불완전성을 보였다. 그리고 함수의 이해의 관점은 그래프 해석에서 과정 관점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수적 표상의 조작이 중요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함수를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함께 문제 해결과 그에 따른 표상 체계 사이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함수 개념 이해 층위 5단계에 도달할 수 있는 수업모델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lobal Science Literacy-Oriented Instruction on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 유은정;오현석;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602-61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8학년 65명의 남학생이며, '지구와 별' 단원에 대하여 5주 동안 글로벌 과학적 소양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단기간의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으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과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학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철학적, 심리학적, 역사학적 관점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향상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이버 강좌 주요 구성 요소의 효율적인 구현에 대한 수강생들의 반응조사 (The Survey for the Effectiveness of Cyber Lecture′s Main Components)

  • 조세홍;엄종석;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42-549
    • /
    • 2004
  • 전통적인 교육 환경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들에 대한 대안으로써 사이버 교육은 학생과 교육기관 모두에 많은 이점을 주고 있다.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써 사이버 강좌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들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이버 강좌 주요 구성 요소와 성공적인 사이버 강좌가 되기 위한 중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파악된 사이버 강좌 주요 구성을 바탕으로 실제 사이버 강좌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사이버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의 관점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사이버 강좌를 4가지 관점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 대한 평가는 학기가 진행되는 동안 변한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소속 단과 대학이나 학년에 따라 관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10학년 과학 탐구 단원의 맥락에서 모델구성과 규칙발견을 통한 명시적 수업이 과학의 본성의 관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odel Construction and Pattern Identification Activities on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Context of Science 10 Inquiry Unit)

  • 조정일;김진희;홍행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55-963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활동들인 암상자 활동과 정육면체 활동을 가지고 수업을 한 후, 학생들의 관점의 변화를 알아본 것이다. 이 활동들이 과학 이론의 정의, 과학 지식의 변화가능성, 과학 가설, 이론, 법칙의 차이, 모델 형성, 그리고 실험 및 조사에서 상상력과 창의성의 필요에 대한 이해를 향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 내용들은 10학년 과학 탐구 단원에서 강조하는 요소들이다.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변화를 살펴 본 결과, 2명은 수업 후 전문가적인 관점을 가진 반면, 다른 두 명은 여전히 초보적인 관점에 머물렀다. 이 연구는 암상자 활동과 정육면체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잠재성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학생에 따른 차이는 수업 방법, 학생들의 기존 지식 및 동기 부여와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 활동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개선은 이 활동들이 직접 과학 지식의 본성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과학 지식의 변화가능성과 실험 및 조사에서 창의력과 상상력의 필요는 거의 모든 학생들에 의해 전문가적 관점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서 그 요소를 포함한 수업 자료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관한 이해 (Investigation into Ten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 조은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73-29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일반 공립 고등학교 2019학년도 1학년 재학생 100명의 과학적 탐구의 본성에 대한 이해 양상을 탐구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역량 배양을 위한 과학교육의 개선과 발달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학적 탐구의 본성 8가지 측면을 평가 내용으로 하는 VASI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의 본성 이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자료에 대해 반복적 비교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5명의 학생이 과학적 탐구의 본성의 8가지 측면에 대해 일관되게 전문적 관점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학생의 이해에서, 3가지 측면, 즉 '모든 과학자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해도 같은 결론을 얻게 되는 것은 아니다.', '탐구 과정은 탐구 문제에 의해 안내된다.', '연구 결론은 수집된 자료에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에 대해서는 전문적 관점이, 4가지 측면, 즉 '과학적 탐구는 서로 다른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모든 과학적 탐구는 질문을 제기하여 시작하지만, 반드시 가설을 시험하는 것은 아니다.', '탐구 과정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과학적 자료와 증거는 다르다.'에 대해서는 혼합적 관점이 우세하였다. 하지만 1가지 측면, 즉 '수집된 자료와 이미 알려진 바를 종합하여 설명이 구축된다.'에 대해서는 초보적 관점을 표출한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과 현시점의 과학 교육과정 사이의 관련성을 논하면서, 장차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의 본성 이해 및 과학 탐구력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 관련 제안을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점에 기반한 탄소 순환 개념 분석 (Analysis of Carbon Cycle Concepts based on Earth Systems Perspective of High School Students)

  • 이두연;오은숙;김형범;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157-16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적 관점에 기반한 탄소 순환 개념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자로 고등학교 학생들 중 지구과학I 교과를 이수한 학생으로 본 연구에 참여 의사를 밝힌 7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지구시스템적 관점에 기반한 탄소 순환 개념을 분석하였다. 탄소 순환 개념 분석을 위해 학생들에게 탄소 순환과 관련된 단어 연상, 인과 지도 그리기, 그림 그리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생들의 탄소 순환 관련 연상된 개념은 7명 중 5명이 3개 이하로 나타났다. 두 번째, 학생들의 탄소 순환 관련 상태 변화와 과정의 개념은 상태 변화 2개, 과정 8개로 나타났다. 세 번째, 학생들의 탄소 순환 관련 연결 고리는 2명의 학생이 2개, 3명의 학생이 1개의 연결 고리를 나타내었고, 2명의 학생은 연결 고리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네 번째, 그림 그리기를 통해서 본 탄소 순환 관련 개념은 1명의 학생이 9개, 3명의 학생이 7개, 나머지 학생들은 각각 5개, 4개, 3개의 개념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연구 대상 7명의 학생 중 1명은 시스템 사고를 잘 수행하고 있으며, 6명은 탄소 순환에 대한 적은 개념과 연결 고리로 시스템 사고가 미흡함을 보여준다. 학생들에게 지구 시스템과 연결된 지식이나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