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1.31.6.998

Development of Criteria for Measuring the Observ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k, Yu-Jeo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Beom-Ki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1, no.6, 2011 , pp. 998-100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iteria for measuring the observ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bject, viewpoint and mental demand constitute the evaluation criteria of observation abilities. Object domain was classified into two- and three-dimensional figures, while viewpoint was classified into constancy and variety of views. Mental demand covered 2 through 5. The assesment tool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criteria was developed for the lower, middle and upper grades of 166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se students'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lassification by each dimension and distinguishable between the grades. They scored high on two-dimensional figures, constancy of view and lower mental demand, and the upper grade student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lower ones in all dimensions. Therefore,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effectively for measuring the observ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lication for this study was determined to be the development of a valid and reliable test for observ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observation; science process skills; observation abilities; evaluation criter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 Moher, T., & Johnson , A., Cho, Y., & Lin, Y. (2000). Observation-based inquiry in a virtual ambient environment. In B. Fishman & S. O'connor-Divelbiss (Eds.).,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Learning Sciences (pp. 238-245). Mahwah, NJ; Erlbaum.
3 Norris, S. P. (1984). Defining Observation competence. Science Education, 68(2), 129-142.   DOI
4 Ostlund, K. L. (1992). SCIENCE PROCESS SKILL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5 Padilla, M. j., Cronin L., Twiest M. (198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 of Basic Process Skil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6 Pascual-Leone, J.(1987). Organismic processes for neo-Piagetian theories: a dialectical causal account of cognitiv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22, 531-570.   DOI
7 배진호, 김진수, 윤봉희(2005). 식물을 활용한 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관찰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제 30권, 37-68.
8 변정호, 이준기, 권용주(2009). 과학교육에서 제시하는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31-540.
9 송판섭, 한광래(1995). 촛불 실험을 이용한 초등학교(3-6)학년 아동들의 관찰능력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1), 73-84.
10 신동훈, 신정주, 권용주(2006). 생명현상에 관한 초등학교 관찰수업 과정과 관찰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5(4), 339-351.
11 신현정, 유상욱 역(2000). 시각심리학. 시그마프러스. [원전: Solso, Robert L. (1994). Cognition and the visual arts. MIT Press].
12 우종옥, 이항로(1995). 고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15(1), 92-103.
13 이봉우, 김희경(2007). 외국 과학교육과정의 관찰과 측정 기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87-96.
14 이봉우, 박보화, 김희경(2007). 우리나라 3-10학년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분석 : 관찰 측정 탐구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21-431.
15 이정모(2009). 인지과학-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6 이혜원, 양일호, 조현준(2005). 초∙중학생의 관찰, 예상, 가설의 이해. 초등과학교육, 24(3), 236-241.
17 최선영, 강호감(2002).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06-716.
18 하소현, 곽대오, 성민웅(2001). 초.중.고등학교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6차와 7차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02-113.
19 한광래(2003). 메뚜기를 이용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관찰 능력 조사. 초등과학교육, 22(1), 121-129.
20 Biederman, I. (1987). Recognition-by- Components: A Theory of Human Image Understanding. Psychological Review, 94(2), 115-147.
21 Funk, H, J., Fiel, R. L., Jaus, H. H., & Sprague, C. S. (1979). Learning by science process skill.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22 Gagne , R. M. (1964). "Psycological Issues in Science - A Process Approach" The Psycological Bases of Science - A Process Approach. AAAS.
23 Klopfer, L. (1990). Learning scientific inquiry in the student laboratory. In E. Hegarty-Hazel(Ed), The student laboratory and the science curriculum (p.101). London; Rutledge.
24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과정에 대한 과학 철학적 연구-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25 교육부(2000). 초.중.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교육부.
26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7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2005). 생명현상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31-439.
28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14(3), 251-264.
29 김도욱(1996). 지식중심의 과학교수 학습을 탐구 중심의 교수학습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관찰 특성에 대한 인식 변화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15(1), 107- 122.
30 김정길, 김해경(1992). 초등학교 학생들의 관찰능력에 관한 연구(I); 반성 화강암과 역암의 관찰에 대하여. 초등과학교육, 10(2), 286-298.
31 김정오 외 역(2007). 감각과 지각 제 7판, 시그마프레스. [원전:Goldstein, E. B. (2007). Sensation & Perception (7th ed.). Thomson Learning, Inc.]
32 김춘일 역(1995).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원전: Arnheim, R.(1995). Art and Visual Percep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박명희, 박윤복, 권용주(2005).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초등과학교육, 24(4), 345-350.
34 박종원, 김익균(1999). 과학적 관찰의 의미와 탐구 과정에서 학생들의 관찰 행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87-500.
35 박영우(2008). 탐구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 조직. 청주교육대학교 논문집 제 44집. 4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