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의 관점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학생의 이차함수 표상에서 나타난 그래프 사용 모드 및 표상의 유연성 분석 (An Analysis Modes Related to Use of Graph and Flexibility of Representation Shown in a Quadratic Function Represen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이유빈;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27-141
    • /
    • 2016
  • 본 연구는 Chauvat의 그래프 사용 모드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이차함수 문제해결에서 나타나는 그래프 표상의 사용 모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으로부터 Bannister (2014)의 표상의 유연성을 통해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이차함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그래프 표상 모드는 계산 도표학적 모드이며, 조작적 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오류를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함수의 이해를 대상과 과정 관점에서 표상의 사용으로 분류한 Bannister(2014)의 유연성의 분류에서는 과정 관점으로 함수를 이해하고 두 표상 사이에 조작이 일어나지 않는 경직된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에서 학생들을 위한 그래프 표상 사용에 대한 교육 및 다양한 관점으로 함수를 이해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 고찰 - 초·중등학생의 참여 관점에서 - (Students'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 implications from the German case)

  • 강구섭;김진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105-124
    • /
    • 2016
  • 평생학습이 하나의 전 사회적 문화로 형성되고 일상에서 향유되는 사회가 평생학습 사회이다. 평생학습도시 사업은 그러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단위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의 내용을 고찰하고 우리의 평생학습도시 프로그램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중등학생 참여의 관점에서 독일의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에서는 개인학습지원, 다음 학제 단계로의 전환과정 지원, 직업 및 진로 지도라는 세 가지 방향에서 초 중 고등학생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평생학습도시 프로젝트가 급변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평생교육의 실질적인 대상을 확장하고 초 중등학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학습 관련 필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학교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수학학습 동기화요인 분석

  • 유윤재;조석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3호통권20호
    • /
    • pp.149-161
    • /
    • 2004
  •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와 관련하여 학생들의 수학학습실태를 분석하고 암묵적 이론의 관점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학생들의 수학학습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동기화 요인의 구성은 비슷한 학령의 일반학생 및 과학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과학 영재의 과학 본성과 탐구 관점 분석 (An Analysis on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Inquiry of Science Gifted Students)

  • 이항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511-530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이 과학개념을 잘 이해하는 데 필요한 과학의 본성과 과학탐구 관점의 인식률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내용타당도 지수 97.0%, 신뢰도 지수 0.86인 총 19문항으로 구성된 과학의 본성과 과학탐구 관점 검사지를 40명의 과학영재집단과 35명의 일반학생집단에 투입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의 본성 관점에 대한 과학영재집단의 인식률은 세부 논의 관점에 따라 다르나 20.0~97.5%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은 67.0%(일반학생 집단 50.0%)였으며, 특히 '과학자들의 의견이 다를 수 있다'는 하위 관점의 인식률은 여성과학영재가 높았다. 과학탐구 관점에 대한 과학영재집단의 인식률은 세부 논의 관점에 따라 다르나 27.5~77.5%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은 53.0%(일반학생집단 41.8%) 이었으며, 하위 요소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방법'에 대한 인식률은 여성과학영재가 높았다. 과학영재들 중에서 과학의 본성 관점을 잘 못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33.0%였고, 과학탐구 관점을 잘 못 인식하고 있는 비율은 47.0%였다.

수학 평가문항의 출제 및 채점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udents' Mathematics Test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7
    • /
    • 2005
  •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의 평가를 위한 시험의 출제 및 채점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이 어떠한지를 고찰해 보고, 이 과정에서의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 A교육 대학교의 일급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268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를 조사하여 각 영역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교사가 수학 문제지를 출제하거나 학생의 수학답안을 채점하는 과정에서 겪는 혼란과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어려움의 유형으로는 문항 자체에 모호성을 가지고 있거나 문제를 잘못 출제한 경우, 학생들의 수준이나 관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경우, 평가 문항 출제 기법상 문제가 있는 경우, 그리고 기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수학 문항을 출제 할 때 상호 점검으로 오류를 최대한 피하도록 하고, 수학 문항을 바르게 출제할 수학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채점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답을 보다 유연하게 보는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 PDF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화학 전지에 대한 이해 분석: 분자적 수준의 미시적 관점에서 화학 평형과 연계하여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n Chemical Cells : In Relation to Chemical Equilibrium from the Microscopic Viewpoint at Molecular Level)

  • 김현정;홍훈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31-738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면담을 통해 화학 전지에 대한 개념 이해를 분자적 수준의 미시적 관점에서 화학 평형과 연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전극을 전해질에 담그자마자 전극의 금속이 산화되는 반응과 금속 이온이 환원되는 반응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것과 화학 전지의 화학 평형 상태를 고르는 것에 대한 이해는 높았다. 그러나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미시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어, 화학 전지에서의 전위차 발생, 전자의 흐름, 반쪽 전지의 전위 측정, 산화전극과 환원전극 사이의 전지 전위값 계산하기 등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교실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수학교육의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the Classroom Ecology)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11
  • 교실생태학은 교과를 지도하는 상황을 하나의 유기체로 파악하는 생태학적 은유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수학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생태학과 교실생태학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실 생태학적 관점에서 수학 교실의 체계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실생태학적 관점에서 교실 연구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실생태학적 관점의 수학교육은 수학 수업을 둘러싼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총합으로 전체론적-유기체적 관점을 통하여 상생의 관계를 모색하고 지향한다. 또한 교실생태학적 관점에서 수학교육은 학생이 처한 사회의 삶의 맥락을 바탕으로 교실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생의 추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교실생태학적 관점에서는 교실 안의 여러 구성 요소들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함께 여러 요소간의 상호 관계 및 교실을 둘러싼 체계에 대한 거시적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실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호작용 체계와 학생을 포함한 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다. 따라서 수학 교실생태학은 역동적이고 다변적인 교실 환경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요소들의 역학적 관계를 고려하고, 수학 수업 개선을 위한 연구의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대수 문장제 해결을 위한 학생들의 풀이 과정 분석: 일련의 표시(Chain of signification) 관점의 사례연구 (An Analysis of the Student's Algebra Word Problem Solving Process)

  • 박현정;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1호
    • /
    • pp.141-16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수 문장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이전지식이나 경험을 어떻게 적용하는가를 조사하고자 학생들의 풀이과정에 대한 유사성을 일련의 표시(chain of signification)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3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A나 학생C는 (반)열린 공식을 해법 원리로 생각하여 구체화하는 과정을 일련의 표시로 구성하였다. 학생A와 학생C는 문제를 읽으면서 숫자 정보와 텍스트를 기반으로 정신적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그 의미(기의)와 기록(기표) 과정을 점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표시 과정을 구성하였다. 학생A의 표시과정은 숫자나 문자, 그리고 그리기가 혼합된 것이었다. 그러나 학생C와 학생B는 단지 숫자나 문자만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학생B는 특정한 문제정보만을 근거로 그 상황을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하여 자신이 구성한 규칙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행착오에 대한 유사성을 구성하였다.

  • PDF

기호학 관점에서의 문자와 식 분석 (Letters and Expressions in View of Semiotic)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1호
    • /
    • pp.59-76
    • /
    • 2003
  • 학교수학에서 학생들이 수학을 학습하고 문제해결을 하는 데에는 기호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기호학의 분야인 구문론, 의미론, 화용론의 관점에서 수학 7-가 문자와 식 영역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교수학적으로 대수 기호가 도입되고 전개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호학 관점에서 교과서의 대수 기호를 분류하고 문제 구성 분포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대수 개념 설명과 문제들은 주로 구문론과 의미론의 관점이 많았으며, 화용론적 관점의 언급은 거의 없었다. 마지막으로, 대수 기호에 의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을 예측하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문론과 화용론의 점수가 대수적 문제해결 점수의 예측 변수였다.

  • PDF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al Pathway of Spatial Reasoning on Earth Revolution and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s)

  • 맹승호;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81-494
    • /
    • 2018
  • 이 연구는 3개월 동안 별자리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그것을 묘사하고 그와 같은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별자리와 태양, 지구의 위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다층 서답형 문항(multi-tiered constructed response items)을 초등학생들에게 시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을 이해할 때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의 유형을 구분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네 곳의 6학년 학생들 6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을 학습하기 전과 단원 학습한 후에 각각 동일한 검사지로 검사를 행하여 응답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응답 결과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지구의 공전 운동을 이해하는데 적용된 공간적 추론의 유형을 수준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서 각 수준별 학생들의 분포를 비교하여 교사의 교수활동을 통해 개별 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결과 하위 정착점은 별자리가 지구 주위를 돌고 있다고 해석하는 지구 중심 우주관에 근거한 서술이 있었다. 중간 단계 수준의 응답으로 지구의 운동을 평면적으로 이해하거나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함에 따라 별자리도 지구를 따라서 움직인다는 직관적인 태양 중심 우주관에 해당하는 서술이 있었다. 학생들의 응답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별자리의 운동을 지구의 공전에 따른 겉보기 운동으로 이해하고, 점차 지구에서 보는 관점의 관측 사실을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관점의 설명 모델로 전환하여 이해하는 서술이 있었다. 상위 정착점 수준의 학생들은 태양 중심 우주관에 근거하여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과 지구의 공전을 과학적으로 서술하였다. 학습발달과정의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학생들의 실제 응답 결과에 근거한 발달의 경로를 조사한 Evolutionary LPs 에 해당하며, 직관적 사고의 극복 여부, 지구에서 보는 관점과 지구 밖 우주에서 내려다보는 관점 간의 전환 능력 등이 초등학생들의 학습발달의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임계 포인트가 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