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령전기 아동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아동 건강 상태, 건강 관련 삶의 질 및 사회적 발달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Mother Interaction, Child's Health Statu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ocial Development)

  • 박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55-263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동안의 모아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발달, 건강 및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후 모아상호작용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전북 지역에 거주하는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 230명을 편의 표출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응답이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209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은 5점 만점에 $3.96{\pm}0.55$점으로 나타났고, 하부 영역 중 아동 영역 점수가 가장 낮고 양자적 영역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건강 상태는 5점 만점에 $3.75{\pm}0.62$점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100점 만점에 $83.89{\pm}10.20$점으로 나타났다. 하부 영역 중 운동 기능, 긍정적 기분, 활력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문제 행동, 식욕 문제, 수면 문제 영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아동의 사회적 발달은 24점 만점에 $19.66{\pm}3.57$점으로 나타났다. 모아상호작용, 아동 건강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과 사회적 발달 간에는 모두 긍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 아동의 주양육자인 어머니와 아동 간의 관계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였고, 이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 평가 문항 개발: 델파이 연구 (Developing Social Play Evaluation Items for Preschool Children: A Delphi Study)

  • 이선희;정민예;유은영;홍익표;김정란;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97-110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Parten의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를 바탕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Parten의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에 따른 조사 문항을 수집하였다. 이후 아동 작업치료 혹은 놀이와 관련된 치료 경력 7년 이상의 전문가 패널 22명을 대상으로 총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에게 각 조사 문항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평정하게 한 후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예비 문항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호자의 예비 문항 이해도 조사 후 전문가 자문 회의를 거쳐 평가 방법을 수립하였다. 결과 : 자료 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는 Parten의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인 6개 영역(몰입되지 않은 행동, 방관자적 행동, 혼자 놀이, 평행 놀이, 연합 놀이, 협동 놀이)으로 구성하였고, 몰입되지 않은 행동 12문항, 방관자적 행동 7문항, 혼자 놀이 14문항, 평행 놀이 16문항, 연합 놀이 17문항, 협동 놀이 23문항으로 총 89문항이 도출되었다.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 타당도 비율은 0.85, 안정도 0.15, 합의도 0.78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합 놀이 17문항, 협동 놀이 23문항인 총 40문항을 최종 예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평가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여 임상에서 평가도구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 (Health Status of Vulnerable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Health Management)

  • 강영실;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59-16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취약계층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상태와 어머니의 아동 건강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259명의 취약계층 가정의 어머니이며,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설문지이다. 자료는 2010년 1월부터 2월까지 경상남도 20개 보건소의 방문간호사가 가정방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S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비만 아동이 6.5%, 저체중 아동이 19.3%였으며, 건강문제는 아토피가 14.7%였다. 손 씻기 수행율은 화장실 사용 후 69.1%, 식사 전 63.3%였으며, 아침 결식 아동이 15.8%, 규칙적으로 식사하지 않는 아동이 32.0%였다. 어머니의 아동 성교육률은 45.7%, 정기적인 치과검진율은 56.3%였고, 시력검사와 청력검사를 하는 경우가 각각 66.8%와 61.1%였다. 성장발달 촉진을 위한 가정환경은 41점 중 34.3점이었고, 질병유무와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은 22점 중 17.5점이었고, 유치원 등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비만 아동과 저체중 아동의 비율이 높고, 기본적인 개인위생 습관과 식습관이 적절하지 못한 아동의 비율이 높았으며,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실태는 기초적인 건강관리와 아동의 성장발달 증진과 사고예방을 위한 가정환경의 조성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정방문 간호사들이 취약가정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정방문용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 Children)

  • 라진숙;채선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30-38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전 소재 3개 유치원에 다니는 만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의 15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전반적인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4점 만점 $2.69{\pm}0.35$점이었고, 세부적으로 볼 때, 장비 또는 경제적 지원 $2.61{\pm}0.61$점, 모델링 $2.42{\pm}0.54$점, 지역사회자원 이용 $2.55{\pm}0.47$점, 좌식활동제한은 $3.18{\pm}0.51$점으로 나타나 신체활동 지지 수준은 중등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미국 부모의 지지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다. 어머니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영향요인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 특히 월수입 500만 원 이상인 경우(${\beta}$=.417, p =.002)이며,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효능감(${\beta}$=.231, p =.003),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충분한 정보(${\beta}$=.173, p =.022),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교육경험(${\beta}$=.237, p =.00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신체활동 지지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과 충분한 전문적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추후연구로서 아동 신체활동 지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가족 중심의 아동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부모의 아동 신체활동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추가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self-esteem on children's emotional responsiveness and attention: through the child's self-esteem)

  • 한정원;이한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28-636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학령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 조사의 본조사와 어머니, 아버지 설문조사에 모두 참여한 가족 1383 가구(부모 1383쌍과 아동 138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정서적 반응과 주의집중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정서적 반응성과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령전기 아동과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령전기 아동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과 어머니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과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cademic Ability of Preschool-age Children

  • Moon, Kyung-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205-213
    • /
    • 2022
  • 본 연구는 2014년도에 조사가 완료된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자아발달, 사회성발달, 학습준비도, 학업능력의 잠재변수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 학령전기 아동의 학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차(2014년도) 자료의 2150가구 중에서 해당 자료의 미응답자와 시스템 결측치 1037가구를 제외한 1113가구의 초등학교 취학전 만 6세의 아동들이다. 연구 모델의 경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발달과 학업능력 사이에서 자아발달이 학업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사회성 발달과 학습 준비도를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에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능력에 미치는 자아발달, 사회성발달, 학습준비도 중에서 학습준비도가 가장 큰 비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학업능력은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겸비한 인재로 육성하기 위해서 학습준비도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피부전기반응을 이용한 아동의 정서 구분 (Differentiation of Children's Emotion with Electrodermal Activity)

  • 장은혜;이경화;양경혜;방석원;김재우;이형기;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174
    • /
    • 2001
  • 정서와 생리 반응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아동정서에 대하나 생리반응 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지표인 피부전기 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서를 구분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참여자들은 남녀 학령 전\ulcorner학령 아동 132명이었다. 다섯 정서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한 자극세트는 각 정서를 유발하는데 적합하다고 평가되는 배경음악과 조명 하에서 인형을 통해 들려주는 정서유발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정서가 유발되기 전 안정상태와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피부전기활동을 측정하였다. 안정상태에 비해 모든 정서상태에서 피부전기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다섯 정서간에 피부전기반응의 변인들인,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수준의 수와 피부전도반응의 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피부전기반응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서 구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BOT-2) 단축형을 사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운동능력에 대한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Motor Ability of Preschool Aged Children by Using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Short Form)

  • 홍기훈;김도연;강혜빈;박태영;윤은정;이지영;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40
    • /
    • 2016
  • 목적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운동 적합성 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BOT-2) 단축형을 사용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운동 능력을 제시하고, BOT-2의 표준화를 위한 선행 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과 김해의 만 4세~6세 8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BOT-2 단축형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하였다. 기술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운동능력의 평균값, 표준편차를 제시하였고, 성별과 나이에 따른 운동능력의 차이는 독립 t 검정과 분산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만 4세와 5세간 원점수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0), 만 5세와 6세간의 미세운동 정확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14). 미세운동정확성, 미세운동 통합, 균형 항목에서 여자의 평균이 높았다(p = .022, p = .006, p = .031). BOT-2 개발 대상 아동에 비해 4세와 5세 아동은 높은 원점수 평균을 나타내었고(p = .007, p = .000), 전 연령에서 높은 표준 점수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전 학령기 아동의 운동능력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을 제시하였고, 나이와 성별에 따른 운동능력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학령전기 아동으로 연령이 제한되어 일반화의 한계가 있으나 BOT-2 단축형 학령전기 아동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 부모에 대한 심적 표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MENTAL REPRESENTATION OF PRESCHOOL CHILDREN:ASSOCIATION WITH PARENTAL MENTAL REPRESENTATION)

  • 이경숙;이혜란;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21-33
    • /
    • 1999
  • 자기보고 능력이 부족하다고 알려진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는 외부관찰자의 보고에 의존하는 점이 많고 아동 자신의 내적인 경험, 생각, 감정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acArthur Story-Stem Battery(MSSB)를 사용하여 정상 아동의 내적 마음의 표상의 발달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학령전기 아동의 임상 평가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만 3세부터 7세까지의 정상 아동 55명(남아 32명, 여아 23명)에서 MSSB, 언어평가(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지능평가를 시행하고 비디오로 녹화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서적인 갈등 상황을 설정한 놀이에서 아동들은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보상/죄의식, 처벌, 개인적 상해 등의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이 흔히 표현되었다. 2)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은 긍정적 표상, 훈육적 표상, 부정적 표상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3) MSSB 내용 주제요인 분석 결과, 비전형적 부정적 반응, 공격성, 개인적 상해, 배제로 묶이는 공격적 주제, 애정, 제휴, 죄의식/보상으로 묶이는 친사회적 주제, 처벌과 불복종으로 묶이는 반항적 주제 세 가지로 나타났다. 4)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내용 주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표상은 친사회적 주제와(r=0.40), 부정적 표상은 공격적 주제와(r=0.52) 그리고 훈육적 표상은 반항적 주제와(r=0.75)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부모에 대한 정신적 표상과 MSSB 정서 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에 대한 긍정적 정신적 표상과 불안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r=-0.43)를 보였다. 6) MSSB 내용 주제와 정서 반응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적 주제(r=0.28)와 반항적 주제(r=0.29)는 고통의 감정 반응과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사회적 주제는 근심(r=-0.29), 불안(r=-0.43)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정서적인 갈등을 야기하는 놀이 상황에서 학령전기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흔히 보였으며 부모들은 자신들을 도와주는 긍정적인 표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격적 주제를 많이 보이는 아동들은 부정적인 정서 반응과 부모에 대해 부정적인 정신적 표상을 많이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PDF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모아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by Preschoolers' Mothers)

  • 박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36-4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cognition of mother-child interaction by preschoolers' moth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of 12 preschoolers. The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Downe-Wamboldt's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Results: From the data, 170 significant statements were selected and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and three domains (maternal, child, dyadic). First, the maternal domain consisted of maternal sensitivity, acceptable responsiveness, and child developmental encouragement. Second, the child domain consisted of child's sensitivity, responsiveness, and initiative. Third, the dyadic domain consisted of mutualit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schoolers' mothers recognize the significant qualitative aspects of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instruments for preschooler-mother interaction need to be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