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년별

Search Result 1,3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Comparison of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according to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 중요성인식,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의 차이비교)

  • Kang, ji-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29-430
    • /
    • 2016
  • 본 연구는 핵심기본간호술을 중심으로 간호학생이 학년별에 따라 학습경험, 중요도 인식, 수행자신감 학습 자기효능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지역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 재학중인 231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에서 6월 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학습경험은 학년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5.009, p<.001).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에 따른 학년별 학습경험의 차이검정을 살펴보면 핵심술 상영역, 핵심술 중영역, 핵심술 하영역에서 모두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요성인식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288, p>.773).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에 따른 학년별 차이는 핵심술 상영역과 핵심술 하영역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핵심술 중영역은 학년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행자신감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845, p<.001). 핵심기본간호술 난이도에 따른 학년별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핵심술 상영역, 핵심술 중영역, 핵심술 하영역모두에서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 자기효능감은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70, p<.019).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학년별 효율적인 실습운영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학습경험을 높이고 중요성인식에 따른 학습경험을 높이고 수행자신감과 학습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 모색이 절실히 필요하다.

  • PDF

University Students' Use of Educational Smartphone Applications (대학생들의 교육용 앱 사용 현황)

  • Nam, Sang-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7-158
    • /
    • 2016
  • 이제는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 용품이 되었다. 수많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은 편리하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해 주고 있다. 대학생들에게도 사용하는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실태는 관심의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대한 양적인 조사를 연구 범위로 한다. 조사방법론으로는 대전의 한 대학교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하여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사용 여부와 사용 시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선택 경위를 파악하는 설문방법을 취한다. 먼저 성별과 학년별 스마트폰 종류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교육용 앱 사용 여부와 사용시간,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선택 경위에 있어 스마트폰 종류,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에 따른 차이를 SPSS 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검증 결과는 성별 보유 스마트폰의 종류는 차이가 없으나 학년별로는 신입생보다 재학생들이 아이폰을 사용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폰 종류별로 교육용 앱의 사용시간에 차이가 있어 안드로이드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이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긴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성별, 학년별 사용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Scientific Reasoning Differences in Science Wri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s (초등학생들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의 학년별 차이)

  • Lim, Ok-Ki;Kim, Hyo-Na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6
    • /
    • pp.839-85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ce reasoning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writing. For this purpose, science writing activities and analysis frameworks were developed. Science writing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ird to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high level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a national achievement test in Seoul. A total of 320 writing materia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Science writings show science reasoning at 52 % for $3^{rd}$ grade, 68% for $4^{th}$ grade, 85% for $5^{th}$ grade, and 89% for $6^{th}$ grade. Three types of scientific reasoning such as inductive reasoning, deductive reasoning, and abductive reasoning appeared in science writing of the third to sixth graders. The abductive reasoning appeared very low in comparing with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Level three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science writing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levels of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in science writing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grade and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ades. But the levels of abductive reasoning did not show an increasing aspect according to increasing grade and also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ades. The levels of inductive reasoning and deductive reasoning of the 3rd grade was very low in comparing with the other grades.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s, and Grades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태도 분석)

  • Choi, Youn-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7
    • /
    • pp.148-15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s, and grades. Attitudes-towards-dance inventory(Jadranka et al., 2004) which covered affective, cognitive, and action aspects of attitudes, as well as to reflect, in a similar number of item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s dance was used to investigate dance attitude for 483 dancers who are collegian. Mal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among dance attitudes than female students(p<.05). Dancers who major practical dances revealed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than dancers majoring ballet and Korean treditional dance(p<.05). In addition, freshmen have a more positive danc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compared with seniors. It was suggested that more subjects should be studied from considering major, local university as future study.

A Study on the Educational Utility of Smartphone (스마트폰의 학습 활용에 관한 분석)

  • Nam, Sang 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99-200
    • /
    • 2012
  • 본 연구는 2012년 4월 2일부터 2012년 4월 8일까지 519명의 대전 소재 4년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의 학습 활용에 대한 실태를 설문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학습 활용도와 학습 활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해 보고 또한 학년별, 성별 차이를 SPSS 18 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 스마트폰의 학습 활용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라는 응답이 40.6%에 달하고 "그렇다"라는 응답과 "정말 그렇다"라고 하는 긍정적 응답은 26.6% 및 5%인 반면 "그렇지않다", "정말 그렇지 않다"라는 부정적 응답은 21.9% 및 5.9%를 나타내 학문적 활용성은 의미를 찾기 어려운 결과를 나타냈다. 성별, 학년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스마트폰이 학습 활용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이 무엇인가 하는 응답에는 "주로 엔터테인먼트에만 쓰게 된다"는 응답이 47.3%로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였고 "학습할 콘텐츠가 별로 없다"는 응답이 20.48%, "화면이 작아 학습에 부적합하다"는 응답이 17.1%로 뒤를 이었다. 이 역시 학년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성별로는 이유의 차이가 있었다.

  • PDF

Status of Use of Kakao Talk (카카오톡 사용 현황)

  • Nam, Sang-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7-218
    • /
    • 2015
  • 스마트폰의 확산과 그에 따른 카카오톡의 괄목할 열풍과 발맞추어 대학생들의 카카오톡 사용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사용에 대한 양적인 조사를 연구 범위로 하고 조사방법론으로는 대전의 한 대학교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하여 카카오톡의 사용시간을 파악하는 설문방법을 취한다. 먼저 성별과 학년별 스마트폰 종류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카카오톡 사용시간에 있어 스마트폰 종류,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에 따른 차이를 SPS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검증결과는 성별과 학년별로 스마트폰의 종류는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종류별로도 사용시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tudy Group (대학생의 학습동아리 참여 실태)

  • Nam, Sang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29-130
    • /
    • 2017
  • 학습동아리는 대학생들에게 학업보충 뿐 아니라 자격증취득, 취업준비 등 여러 목적으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아리 참여 실태에 대한 조사를 연구 범위로 한다. 조사방법론으로는 대전의 한 대학교의 학생들에게 설문을 통하여 학습동아리 참여 여부와 미참여 시의 이유, 그리고 참여 시 참여 이유 등을 파악하는 설문방법을 취한다. 먼저 성별과 학년별 학습동아리 참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미참여 이유와 참여 이유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년에 따른 차이를 SPS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검증 결과는 남학생의 학습동아리 참여가 높고 학년별로는 신입생보다 재학생들이 당연히 참여 비율이 월등히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참여 이유로는 자발적 필요성이 70%에 달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미참여 이유는 아르바이트 등으로 시간이 없다는 응답이 50%를 넘어 경제적 형편을 반영하고 있다. 성별, 학년별 참여, 미참여 이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Monitoring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on Science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지모니터링 기능의 효율성 분석)

  • Ko, Kawng-Byung;Ko, Se-Hwan;Kim, Beom-Ki;Choi, Kwan-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6
    • /
    • pp.1173-118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monitoring skills of elementary students on science by the grade and sex.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001 elementary students of $2{\sim}6$ grade from 5 schools. The instrument of study, TSCM I (Test of Science Cognitive Monitoring I ) for $2{\sim}4$ grade and TSCM II for $4{\sim}6$ grade were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monitoring skills was 63.4% for $2{\sim}4$ grade and 57.4% for $4{\sim}6$ grad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monitoring skills of 3 and 4 grad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2, while 5 and 6 was higher than 4 graders. Girls were higher than boys for 2 and 3 grade, but 4${\sim}$6 grad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ex.

The Convergence Study of Stress Cop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o the Grade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와 실습 만족도에 관한 융합 연구)

  • Park, In-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9-420
    • /
    • 2019
  • 본 연구는 학년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와 실습 만족도를 규명하는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도 J시에 소재한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3학년은 141명, 4학년 142명 총 283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 중 소극적인 대처 유형은 총 96점에서 3학년 63.75(${\pm}6.57$)점으로 4학년 62.21(${\pm}6.45$)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t= 1.75, p=.045). 대상자의 실습 만족도는 학년간 차이는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t=2.87, p=.003).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와 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적극적 대처 유형과 실습내용 만족도(r=.151, p<.05), 소극적 대처 유형과 실습시간 만족도(r=.138, p<.035)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추후 실습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임상 실습 전 긍정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극적이고 효율적인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에서의 융합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al Health Knowledge and Education Effect in School-Based Oral Health Clinic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초등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교육효과분석)

  • Yang, Jin-Yo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248-255
    • /
    • 2014
  •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d, perceived, and practiced oral health knowledge provided by an elementary school-based oral health clinic (SBOHC). It is respectively investigated by gender and year of school. The paper will be relevant for developing specified oral health programs in elementary SBOHCs. By choosing three elementary schools that operate SBOHC in the school district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April 11 to April 30, 2013,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given out to be answered directly by 350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and their responses were collected. Of the collected responses, 326 responses were explored by using the SPSS 12.0. Those students' scores of oral health knowledge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school year, not for gender. In them are included correct tooth brushing time, dental caries symptoms, gum disease symptoms, and correct tooth brushing method. Change in tooth brushing metho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gender and school year. In conclusion, every SBOHC should develop a variety of specified educational programs that depend on gender and grade in each elementar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