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자문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eacher Perception about Barriers to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담임교사가 인식한 학교상담자와의 자문 관계에서의 장애요인 탐색)

  • Kim, Ji-Yeon;Park, Altteuri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16 no.1
    • /
    • pp.39-6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ive barriers to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opinions of 16 teachers work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Daegu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A second set of data was gathered to classify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teachers' statements through one-on-one interviews or the mai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barriers to the consultation with school counselors as perceived by teachers were represented in 51 statements. Dimensional statement analysis revealed two dimensions: (a) 'School counseling's traits - School counselors' traits' and (b) 'Psychological difficulties - Environmental difficultie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dentified 5 clusters: 'The responsibilities as homeroom teachers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with counselors', 'Teachers lack of awareness of their ability to seek consultation with counselors', 'Teachers lack of trust in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of the school counselors' role and lack of relevant experience with school counselors prevent teachers from seeking consultation', and 'School counselors are overworked due to the school counseling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cluster was 'Teachers lack of trust in school counselors'.

학교사회복지 학생을 위한 맞춤 복지서비스인가?

  • Im, Seon-Suk
    • Social Workers
    • /
    • no.2 s.46
    • /
    • pp.36-39
    • /
    • 2006
  • 학교사회복지 현장 실무자들에게 힘이 되는 격려의 메시지가 던져지기도 하고, 때로는 본의아니게 마음에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상황들을 접하면서 드는 생각은 학교사회복지의 발전이 ‘과연 누구를 위한 일인가‘라는 점이다. 또한 학생복지와 교육복지의 실현이라는 미명하에 사회복지사의 일자리 마련, 학교라는 공간에 대한 막연한 동경심, 새로운 분야에 대한 맹목적인 몰입 등과 같은 발상은 없었는지 자문과 반성을 해본다.

  • PDF

A Basic Study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Special School Facilities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Advice- (특수학교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사례조사 및 자문을 중심으로-)

  • Meang, Joon-Ho;Kim, Sung-Joong;Song, Byung-Joon;Kim, Jae-Young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0 no.2
    • /
    • pp.11-21
    • /
    • 2021
  • In order to create future-oriented special school facilities with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in response to various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uniform and formal framework to find appropriate special school space. This study was a basic research to construct an active detailed model of new and creative educational space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future society and educational direc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 criteria based on case studies and expert advice, deviating away from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that existing special schools' educational space had. The direction of plan was presented based on the compilation of expert consultation and analysis of best practice facility survey across the 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olicies in the long term by preparing a specific facility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 planning standards.

현대교육과 학교도서관

  • Kim, Du-Hong
    • KLA journal
    • /
    • v.1 no.5
    • /
    • pp.25-26
    • /
    • 1960
  • 원제목이 ‘중학교도서관은 학습조사의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다’ (The junior-high-school library can develop investigative skills)라고 되어 있는 이 글은, The Clearing House지에 게재되었던 것을 번역한 것이다. 저자 Fredrick R. Cyphert 씨는 미국 California주 Torrance통합교육구의 교과과정 자문위원이다. 학교도서관과 학습활동이 어떻게 연결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이제 우리의 중요 관심사로 되어있거니와, 이 글은 이러한 문제에 관하여 많은 시준를 던져주고있다.

  • PDF

종합 - 1

  • (사)한국여성발명협회
    • The Inventors News
    • /
    • no.39
    • /
    • pp.6-6
    • /
    • 2005
  • 최고 인기상품 선정된 `미니홈피` 누구나 쓸 수 있다 - 세계 각국 특허청, 특허넷 서비스 벤치마킹 줄이어 - 상표 사용 의사 없는 사람, 상표 등록 받을 수 없어 - 국내 처음, 학교 법률 자문인 등장!

  • PDF

(주)제원인터내쇼날 콤플릿 건강빵 세미나 - 간편하게 만드는 실속 웰빙빵

  • Korean Bakers Association
    • 베이커리
    • /
    • no.5 s.454
    • /
    • pp.152-153
    • /
    • 2006
  • (주)제원인터내쇼날은 지난 4월 5일 한국제과학교에서 창립 20주년을 기념한 콤플릿 건강빵 세미나를 가졌다. 이날 실연은 독일 Abel+Schafer사(社)에서 제품개발 및 기술자문을 맡고 있는 울프강융만 씨와 아시아 마케팅 매니저 요아킴 레어 씨가 맡아 2006년 독일월드컵을 기념하는 풋볼브레드, 김치가 들어간 빵과 과자, 케이크 등 우리 입맛에 맞는 프리믹스의 다양한 활용법을 선보였다.

  • PDF

도서관 발전정책 수립에 바라는 바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3 no.2 s.333
    • /
    • pp.2-19
    • /
    • 2002
  • 도서관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문화관광부는 2월 5일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수립계획(안)을 발표하고 금년 상반기 중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동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계획이 수립되면 도서관 육성과 진흥에 대한 도서관계, 시민단체, 언론 등의 여망을 기반으로 각 부문에서 산발적으로 추진되어 온 도서관 진흥 정책을 종합하여 관계부처간 협력을 통해 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 동안 문화관광부는 1991년부터 지난해까지 도서관 건립지원에 769억원, 공공도서관의 콘텐츠 확충에 228억원(1995~2001)을 투입하는 등 도서관 육성 및 진흥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으며, 그 결과 1991년 267관이던 공공도서관이 2001년에 485관(건립중 포함)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처럼 절대 부족한 도서관의 확충과 함께 지식정보화시대 도서관을 지식정보유통의 핵심기관으로 확성화시키고자 2000년부터 관계부처와의 역할 분담을 통해 공공 및 학교도서관 정보화기반 조성 및 도서관 소장자료의 디지털화(콘텐츠 확충) 등 '도서관정보화 종합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계획수립은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이 주도하여 도서관계 전문인사와 공동연구로 추진하고 자문위원단을 구성하여 계획의 기본방향 및 내용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게 되며, 문화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도서관협회 등이 지원기관으로 참여하여 정부정책으로 연계되어 그 활용성을 높이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에서는 기본적으로 국립중앙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학교 및 대학 도서관 부분에 대해서는 관계부처간 효과적인 정책협의체계 구축을 통한 정책적 지원부분에 초점을 두고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재정립, 도서관 관종 간의 협력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도서관 운영활성화 등 도서관의 조직ㆍ기능ㆍ인력ㆍ프로그램 등의 측면에서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마련, 궁극적으로는 도서관및독서진흥법 개정 등 도서관발전의 법ㆍ제도적 지원 토대를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도서관정보화 부문에 대해서는 2003년부터 2단계 도서관정보화사업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현재 민간 컨설팅업체를 통해 추진중인「도서관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종합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를 중심으로 정부 6개 부처가 '학교도서관 활성화대책 기획단'을 구성하고 학교 및 대학도서관 발전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그리고 대통령자문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에서 4월 3일 '도서관 정보인프라 활성화 방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한 바 있다. 우리 「도서관문화」에서는 도서관 및 관련 부문의 각계 인사들에게 정부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등 계획 수립에 바라는 바를 알아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Consulting: Based on the Schools not Employing a Teacher Librarian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교사 미 배치 학교를 중심으로 -)

  • Song, Gi-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2
    • /
    • pp.335-3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plans to improve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especially in case of a teacher librarian is not assigned. As a result of analyses, consulting through methods of the School Library Assistant Group lacks spontaneity, expertise, council, and independence. Besides, each office of education operates it as a marketing. A main goal of school consulting is to foster independent problem- solving of individual school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build an union management system, develop a standard staff manual, construct DLS based on-line consulting, and desig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f consultants for its successful consulting.

  • PDF

A Study on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학교도서관 평가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Byun, Woo-Yeoul;Lee, Byeong-Ki;Kim, Su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5 no.1
    • /
    • pp.51-7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Major issue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were identified through school library evaluations and an analysis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of the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The issues include evaluation organizations, purposes of evaluation, selection of objects, evaluation period length, systems of evaluation, and ways to receive results.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ere selected through surveys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Finally this study proposed a more effective evaluation system which emphasizes the self-regulation and responsibility of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Korea.

A Study on the Recognition about Cell and Gene Domain to be Taught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s by Secondary Biology Teacher (초.중등학교의 세포, 유전 영역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 생물 교사의 인식 조사)

  • Jeong, Jae-Hoon;Yoon, Jung-Ju;Son, Jong-Kyung;Lee, Tae-Sang;Kim, Yo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5
    • /
    • pp.636-64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secondary biology teachers' recognition about cell and gene concepts that should be taught in biology according to each school level and to classify the concepts into essential, optional and non-essential one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in consultation with 5 biology professors after selecting some biological concepts from some data about the recommendations of BSCS, biology, study for the connection with biological contents in each school level.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biological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146 individuals) from all over Korea for studying the concepts of the cell and gen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The number of essential concepts in the cell and gene domain increases as the school levels go up. Moreover, secondary biology teacher recognized that there must be much more cell and gene concepts that should be taugh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ompared to those sugges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and BSCS' recomme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