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안전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26초

학교안전의 효율적 유지방법에 관한 연구

  • 갈원모;손기상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39-244
    • /
    • 2002
  • 학교안전분야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크게 대별되며 각 분야의 학교별로 학생들의 행동양상이 다르고, 각 학교유지체제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학교 안전을 확보하고 미지의 사고발생을 예견하기 위해서는 여러 위험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각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확인이 첫 번째 취해야할 단계이고, 학교의 환경이나 시설 및 학생 위해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물질과 위험요인들에 관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위험정보를 분석함으로서 학교안전관리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중략)

  • PDF

2000년 이후 일본 학교안전정책의 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changes in Japanese school safety policy since 2000)

  • 박윤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3호
    • /
    • pp.51-60
    • /
    • 2017
  • 21세기 일본의 학교안전은 학교교육 정책의 변화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일본 학교교육의 목적은 "살아가는 힘(zest for life)"을 증진시킴으로써 자립 협동 창조적인 인간으로 육성하는데 있다. 이를 반영하여 학교안전의 목적도 어떠한 재난 상황에서도 학생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생존 역량을 강화하는데 두고 있다. 일본 학교안전의 주요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 강조 2) 가정 및 지역사회의 학교안전 역할 중시 3) 학교안전과 학교교육의 균형 4) 체험학습 및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을 통한 안전교육 강조 5) 안전한 학교시설 추구 6) 학교안전 개선을 위한 PDCA(Plan-Do-Check-Act) 적용 7) UN 안전학교 모델 도입 및 확산. 일본 학교안전에 대한 논의는 최근 제도적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 나라 학교안전에 의미 있는 시사를 줄 것이다.

학교안전지도사 도입방안 (An Introduction plan of School-safety Instructor)

  • 정지덕;김건희;강민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311-3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학교 폭력을 방지하고 학교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제도들 중 배움터지킴이와 학교보안관에 관한 선행연구 및 사건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금 논의되고 있는 학교 안전지도사 자격제도에 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제도들에 대해 다양한 문제점들이 두각 되었고 학교 안전지도사 제도가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방안으로 모색되었다. 하지만 학교 안전지도사 제도가 기존의 다양한 제도들을 일원화할 수 있어야 하며 교직원에게 한정하는 부분은 수정 보완 되어져야 한다. 또한 교내의 학교범죄방지와 학교안전뿐만 아니라 교외 활동시에도 관련 부처와 상호 유기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이뤄져야한다.

  • PDF

건설안전리포트 - GS 건설의 안전 메카, 안전혁신학교를 찾아

  • 최종덕
    • 안전기술
    • /
    • 제152호
    • /
    • pp.12-14
    • /
    • 2010
  • 5년전 '국내 건설업계 최초 안전혁신학교 설립'이라는 신문보도가 있었다. 산업안전 분야에 커다란 관심을 모았던 GS건설 안전혁신학교인데 지금도 그 명성을 높여가며 GS건설의 안전문화 메카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다.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GS건설 안전혁신학교는 건설안전 작업체험장, 재해체험장, 강의동을 갖추고 있다. 이곳에서 3박 4일 동안 GS건설 임직원 4,000여명과 협력사 임직원에게 안전교육을 하고 있는데 벌써 5년의 세월이 지났다. 그만큼 GS건설만의 튼튼한 안전문화가 만들어가고 있는 곳, 안전학교를 찾았다.

  • PDF

학교안전기준 내용 및 형식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field experts' perception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 조용;이병호;한종극;박윤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3호
    • /
    • pp.14-29
    • /
    • 2023
  •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학교안전기준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기준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 총 26명으로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안전기준안에 대한 시도교육청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의 심층 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기준 개발의 필요성, 학교안전기준 내용의 적정성, 학교안전기준 형식의 적절성, 학교안전기준안의 현장 적용성 등 넷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기준 개발 방향 설정에 관한 내용이다. 둘째, 학교안전기준 체계 및 내용 탐구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학교안전기준 내용 초안 마련에 관한 내용이다.

학교안전사고 발생현황 및 융·복합적 원인에 대한 연구 - 충남지역 초, 중,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Safety Accidents in School : among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Nam)

  • 김연정;이수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43-250
    • /
    • 2016
  •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 안전사고 발생현황과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예방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2010-2014년 까지 충청남도 학교안전공제회에서 학교안전사고에 대해 원인별, 시간별, 장소별로 지급된 건수가 기록된 데이터를 기술통계를 통해 전체 건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안전사고의 발생 건수는 연도가 지날수록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비해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별 분석결과 휴식시간에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하였고, 사고 발생장소로는 운동장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학생 부주의로 인한 사고 발생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안전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 중에 하나이므로 학교안전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 학생 교사요인, 학교시설의 물리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총체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과 실효성 확인에 대한 추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 프로그램 연구 (Study on Developing Basic Program for Preventing School Safety Accidents)

  • 김태환;강경수;김태복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1-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 중고등학교에서 학교안전사고와 관련된 비극적인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연에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 있다. 하지만 현재 실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예방이 아니라 사고 후 대처에 중점을 두고 해결해 나가고 있어 인식의 변화와 학교안전에 대한 실천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따라서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 프로그램으로 안전사고에 대한 매뉴얼 개발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안전교육을 위하여 교사의 학교안전교육 이수의 의무화, 학생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시청각 교육의 활용, 교사가 기술 및 지식을 습득하기 어려운 화재경보기, 전기 안전점검, 건강이상 유무판단의 검진 등의 전담 민간 기관의 활용 및 안전교육활성화, 자격제도 도입을 통한 전문가 배출을 통하여 학교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학교 안전사고가 교사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afety Accident on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 최미리;박정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535-548
    • /
    • 2007
  • 학교 안전사고가 학교 교사들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안전사고가 학교 교사들에게 주는 피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06년 인천지역 학교의 학급 담임 11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였고 안전사고의 실태, 학교 안전사고가 학교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 안전사고로부터 교사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성된 설문을 조사하고, 통계처리를 위해 문항별 백분율(%)을 산출하고 남녀별, 경력별, 직급별 변인간 차이를 알기 위해서 $X^2$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 안전사고 실태 1) 안전사고 발생 시간은 쉬는시간과 교과시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의 성별에 따라 안전사고 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안전사고 발생 장소는 교실과 운동장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2) 사고원인은 학생의 부주의와 학생간의 다툼이 가장 큰 원인이며 사고원인에서는 경력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안전사고가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 1)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을 때는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바꾸거나 포기하겠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성별, 경력, 직급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2) 교사들의 안전사고 개선방향으로는 면책특권 민사적 책임순으로 나타났다.

  • PDF

학교 현장의 해양안전 교육 활성화 방안

  • 김홍범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7-218
    • /
    • 2023
  • 대한민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정학적 위치에 따라 국민은 바다를 이용하여 다양한 해양수산업에 종사하고, 해상 교통로 이용하고 있다. 최근 해양 관광산업의 발달로 연간 1억 3천여명이 바다를 이용한다. 안전한 바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안전의식이 고취되어야하고, 해양안전문화 확산이 범국민적으로 필요하다. 해양안전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대국민 해양안전교육이 수반되어야 하며, 학교 현장에서 해양안전교육의 활성화는 교육의 효율성, 효과적 측면에서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해양안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원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학교에서 해양안전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학교 교육 현장 해양안전교육 시행의 현재 갖고 있는 문제점을 식별하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양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학교 내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국 공립학교의 경비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Affecting Factors on the Safety on School -Focusing on U.S Public School Security Guard Patterns-)

  • 신소라;조윤오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137-163
    • /
    • 2013
  • 이 연구는 미국 공립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내 안전을 미치는 요인과 학교 내 안전에 효율적인 경비형태를 분석함으로서 국내 학교 내 안전을 높일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종속변수로 하는 중범죄모델과 범죄의 유형에는 포함되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비행행위 및 집단행위로 범위를 한정시켜 종속변수로 하는 학교폭력모델로 나뉜다. 첫 번째, 학교 내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결과, 중범죄안전 모델과 학교폭력 안전 모델의 설명력은 각각 10.3%, 12%이며, 중범죄안전 모델을 살펴보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t=2.521, p=0.012), 학교활동 부모참여(t=11.733, p=0.000), CPTED활동(t=3.206, p=0.001), 학교 내 경비활동(t=2.983, p=0.003)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범죄로 부터의 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안전 모델에서도 유사하게 학교활동의 부모참여(t=10.399, p=0.000), CPTED활동(t=7.238, p=0.000), 학교내 경비활동(t=4.018, p=0.000)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학교폭력으로 부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어떠한 유형의 경비활동이 학교 내 안전을 높이는지 분석한 결과, 중범죄안전 모델과 학교폭력안전 모델, 두가지 모델의 설명력은 각각 4.4%, 3.9%이며, 중범죄 안전 모델에서는 학교에서 실행하는 경비활동 중 지역경찰과의 협조(t=2.112, p=0.035), 교칙관리(t=3.309, p=0.001), 경비순찰활동(t=2.548, p=0.01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범죄로 부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학교폭력안전 모델에서는 경비활동 중 지역경찰과의 협조(t=2.364, p=0.018), 교칙관리(t=4.142, p=0.000)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중범죄로 부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교사에 대한 교육보다 학생에 대한 교육이 학교 내 안전에 긍정적이고, 학교 운영에 부모참여도 교육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참여가 학교안전을 위해 필요하다. CPTED활동의 경우, 미국의 사례의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여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경비활동에 관하여는 가시성을 높이고 지역경찰과의 협조를 원활히 하는 방안이 학교 내 안전에 긍정적 영향 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