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화장실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19초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이명화 센터장 '성(性)은 밝고 아름다운 것'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 레드리본
    • /
    • 통권50호
    • /
    • pp.6-7
    • /
    • 2003
  • 빨간 마후라, 원조교제, 학교근처 화장실에서 아기를 낳는 여고생 등, 언론을 장식하는 청소년관련 사건들은 청소년성교육이 절실함을 깨닫게 한다. 서울시가 후원하고 YMCA가 운영하는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는 청소년의 성교육을 책임지고 있다. 센터의 살림을 꾸리며 밝고 아름다운 성(性)을 가르치고 있는 이명화 센터장을 만났다.

  • PDF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Rates of and Related Factors to Const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은영;정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97-606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을 알아보고, 변비유무에 따른 식습관, 운동 활동 시간, 스트레스 및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남도의 6개 초등학교의 재학 중인 3, 4, 5, 6학년 7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 30일부터 2014년 5월 12일까지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 검정,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변비 발생률은 23.9%이었으며, 변비 발생률과 관련요인으로는 화장실 선호도, 쉬는 시간 배변 여부, 하루 식사 횟수, 아침 결식 횟수, 식사량, 학원수업 시간, 인터넷 이용시간, 스트레스, 학교화장실 환경에 대한 인식이었다. 특히 스트레스가 '상'의 경우 스트레스가 '하'보다 5.44배의 높은 변비 발생률을 보였다. 주관적인 증상만으로 변비를 진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자세한 문진과 신체검진을 포함한 변비 발생률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며, 초등학생의 변비 예방을 위한 교육 및 관리의 노력이 필요하다.

화장실의 범죄위험도 평가를 위한 행동이론 기반 리스크 노드 판정 알고리즘 (Behavioral Theory-Based Risk Node Judgment Algorithm for Evaluating the Crime Risk Level in Restrooms)

  • 윤신숙;송정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97-1206
    • /
    • 2023
  • 가상현실로 구현한 공중화장실의 위험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공중화장실에 존재하는 공간요소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대상과 평가 기준에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중화장실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안한 선행연구를 도입하였다.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Paul J. Brantingham과 Patricia L. Brantingham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과 범죄자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고 수립하였다. Ronald V. Clarke의 "일상활동 이론"도 도입하여 평가 접근 방식에 통합하였다. 공중화장실의 범죄자, 이용자, 공간적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범인의 행위, 범죄와의 공간적 관련성, 이용 중 이용자 노출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이용하여 공중화장실의 공간요소 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평가 도구 개발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아동화(兒童畵)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화장실 디자인과 색채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lor and Design of Toilet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Analyses of the Juvenile Pictures)

  • 윤현영;정유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50-57
    • /
    • 2015
  • Although the improvements in the health sanitary facil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were made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7th curriculum, color design and concept of toilets used by lower classes students were shown to be still insufficient and so,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color planning for toilets considering users' preferences. This study is targeting lower classes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s under Seoul Gangseo Offi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oilet color design direction preferred by children as users. Therefore, the toilets of elementary school were investigated and at the same time, juvenile pictu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the color space used in the current design, the following gives a substant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pact for man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leads to an interesting use of color.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to improve the toilet to a more familiar environment with high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when using color in design space through color preference.

초등학교 저학년 화장실 공간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강서교육지원청 관할 초등학교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Guideline of Toilets Design for Elementary Lower-Grade Students - Based on the Survey for Elementary Schools under Seoul Gangseo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

  • 윤현영;정유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307-317
    • /
    • 2013
  • Elementary school's physical environment is critical to lower grade students. Among the many physical conditions, Toilet, which belongs to health and sanitation category is very important to those who start school for the firs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the guidelines of toilet design reflect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lower grade students. The research was executed as follows. Firstly, focused survey groups were carefully chosen. Five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being all open after 2005 under Seoul Gangseo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Secondly, field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toilet usage,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to June 2012, by visiting schools to see basic facilities, taking pictures and making actual measurement in each toilets. The architectural analysis was focused on location, moving line, actual size and space zoning, while the interior analysis being on finishing materials and the design of sanitary equipments. And the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lighting fixture, art works or signage were analysed, too. Finally,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find out preferences of lower grade students. As a result, the guidelines of toilet design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or the Physical part, it is necessary for related facilities to be concentrated in order to give easy access. In addition, good ventilation, better lighting and to install sanitary equipments ergonomically are required. Furthermore, safe and clean maintenance should be considered. Psychologically, the design should be directed for making lower grade students come to toilets with comfort and more pleasantly.

공중화장실의 안전문제 해결 위한 가상현실 구현 시 상호작용 요소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Factors in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to Solve Safety Problems in Public Toilets)

  • 윤신숙;송정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67-11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실제문제 해결을 위한 가상현실 모델링에서 물리적 형태를 전자적으로 모사하는 것 뿐 아니라 모사의 대상이 되는 객체와 사용자의 상호관계까지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하여 실제공간에서 일어나는 사용자와 공간의 상호작용 요소를 가상현실 적용에 추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공중화장실의 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가상현실 모델링을 배경으로 하는데, 가상현실 모델링에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요소를 추가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원칙이 있어야 한다고 보고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기본전략을 활용하였다. 공중화장실 위험도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자연 감시, 영역성 강화, 활동 활성화, 유지관리를 기준으로 공중화장실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한 상호작용요소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전문가의 의견과 각 요소에 대하여 산출한 위험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기본 전략과 같이 일정한 원칙에 따라 상호작용 요소를 도출한 것이 타당성 있음을 보였다.

충남지역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들의 식품위생 태도와 개인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Students by high school type in Chungcheongnam-do)

  • 김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73-1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유형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위생 태도와 개인위생 관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 7월 16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충남지역 16개 고등학교의 학년 당 30명씩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회수 및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214 부(인문고등학생 473명과 특성화고 741)에 대해 SPSS(ver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인문계 고등학생은 특성화 고등학생보다 식품을 살 때 유통기한을 더 확인하고(3.79, 3.60), 조리 가열된 식품을 보관 후 그대로 먹는다는 응답이 낮았고(2.85, 2.98), 식품의 특성에 맞게 냉장 냉동 보관 저장한다(3.90, 3.76)고 하였다. 인문계 고등학생이 특성화 고등학생보다 식사 전 손씻기(3.66, 3.52), 화장실 다녀온 후 손씻기(4.30, 3.95), 올바른 방법으로 손씻기(3.63, 3.45)를 잘하였고, 식사시간 중에 돌아다니기(2.19, 2.43)와 식사시간 중간에 화장실을 적게 가는 것(2.28, 2.47)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일반 고등학생과 특성화고등학생들은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 관리 부분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일반 고등학생이 특성화 고등학생보다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를 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그 정도는 높지 않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학교유형에 따라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 관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함을 제언한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모션 인식 수도꼭지 개발 및 연구 (Study in the Development of Motion Recognition Tap-water using Ultrasonic Sensors)

  • 김동현;유재호;주종수;안종필;김재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09-316
    • /
    • 2022
  • 기술의 발전은 사람의 삶을 편하게 개선했고, 더 쉽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발전해 왔다. 우리는 주로 화장실에서 물의 온도를 맞추기 위해 뜨거운 물로 틀고 온도를 점점 맞춰가며 자신이 원하는 온도를 피부로 찾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물의 온도를 눈으로 볼 수 있고, 안전한 시스템을 포함하면서 화장실의 인테리어까지 도울 수 있는 장치가 있으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했고,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다. LCD와 LED를 넣어 우리가 온도를 촉각적으로 느끼기 전에 시각적으로 먼저 알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실험 결과 수온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와 LCD에서 표시되는 온도는 실 온도와의 오차가 없었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거리 측정 실험에서는 27cm까지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다. 28cm 이상부터는 2% 정도의 오차가 발생했지만, 수도꼭지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사용하기에는 큰 불편함은 없다.

농촌지역 초등학교 화장실의 거주후 평가 연구 -H군의 D초등학교를 중심으로 (POE of Toilet of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 한종구;박동소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9-16
    • /
    • 2007
  • Educational Facility has a specialty that similar design is repeatedly taken place so the importance of POE(Post Occupancy Evaluation) is increased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 appeared at the former projects. The POE could provides help to the design of next project and the direction when the need of remodeling is faced. Through the process of POE, the repeat of design mistakes could be prevented and the good information related with building efficiency and other problems c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of next school project . In this study, the POE of Manbalro(barefoot) toilet of D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of H county is performed. The toilet is renovated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f H county educational office in Chungcheong Namdo Province. The study is focused on the user's behavior at Manbalro toilet for carrying out indicative POE by the subjective response of user's. From the research, several being reformed items is proposed however the toilet is evaluated as a successful project that design purpose of initial stage is applied well.

  • PDF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 분석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학교와 미완료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nam Area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Comparis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Utilities in Schools-)

  • 전영;김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447-1456
    • /
    • 2014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 중 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총 39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회수율 73.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이 부적절한 14부를 제외하고 총 275부(분석율 70.3%)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소 운영 특성 현황으로 학교형태가 초등학교 51.6%였으며, 공립이 77.8%였다. 급식유형으로 도시형이 54.9%였으며, 조리종사자수는 평균 6.27명이 근무하였고 1일 급식횟수는 1식이 84.7%로 2 3식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급식실시기간은 11~15년 3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인 경남지역 학교 275곳 중 32.7%인 90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67.3%인 185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 총 185곳 중 향후 현대화 계획이 있는 곳은 24.9%인 46곳뿐이었다. 셋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보유 실태 차이의 분석 결과,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학교에서는 검수실(P<0.01), 전처리실(P<0.001), 식기세척실(P<0.001), 소모품보관실(P<0.001), 조리원전용화장실(P<0.05), 경의실(P<0.01), 샤워실(P<0.001), 세탁실(P<0.001), 보일러실(P<0.05), 배식운반차 보관실(P<0.05)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에서는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면적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1.71)와 미완료된 학교(1.60)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전처리실(P<0.001), 식품보관실(P<0.05), 소모품보관실(P<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5), 샤워실(P<0.01)의 면적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보다 높았다. 다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전체 평균값이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32)보다 미완료 학교(2.62)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여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 설비 실태 차이에서는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77)보다 미완료된 학교(3.3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01).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바닥(P<0.05), 출입구(P<0.001), 배수(P<0.001), 수도(P<0.01), 조명(P<0.001), 수세시설(P<0.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01), 화장실 샤워실(P<0.001), 전처리실(P<0.001)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의 인지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식소의 외부고객인 학생, 교직원의 만족도 향상과 내부 고객인 급식종사원과 영양(교)사의 바람직한 직무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경남지역에서 학교급식시설의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를 대상으로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조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현대화 사업을 실시할 경우 급식 위생 관리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부대시설의 설치 시 급식인원수, 작업량과 작업자 인원수에 맞도록 시설별로 적정 수준의 면적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향후 경남지역 학교급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설비 및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