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평생교육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5초

가정과 교사의 학교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을 위한 탐색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School Life Long Education through Home and Family Life Education by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5
    • /
    • 2004
  • 본 연구는 학교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과 관련된 제반 양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 접근법을 통하여 모형화 시키고 이를 기초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본 탐색적 연구이다. 관련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변화하는 사회에서 평생교육과 가정생활교육의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는 학교가 가진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제반 특성 때문에 평생교육의 구심체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은 교육 수요자의 교육요구 측면이나. 교과 이미지와 정체성 강화 및 전공자의 사회적 기여를 증진시키는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평생 교육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교육의 연구와 현장 실천을 위하여 탐색적 체계모형이 제안되었고. 이 모형에 근거한 활성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 PDF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Activation Plan for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Life-long Education Point of View)

  • 전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9-17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학교교육과 가정과 교육의 관련성 및 의의 고찰, 가정과 교육의 관점에서 본 학교를 통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생교육 지도자로서 가정과 교사의 역할과 취득 가능한 자격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과 교육의 관점에서 평생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과 방향성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평생 교육 관련 문헌과 전국 l6개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된 가정과 교육에서의 평생교육 기본방향 및 활성화 방안의 6가지 측면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은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계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2. 프로그램은 기관별, 학교급별, 지역별로 특색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3. 프로그램은 목적에 따라 분류되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4. 프로그램은 주부나 성인여성만이 아닌 가족원 모두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 5. 가정과 교사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에 따르는 보상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6. 가족생활교육사로서의 자격을 갖추고자 하는 가정과 교사에게 다양한 교육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PDF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 분석: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ocio-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Older Adult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Patterns)

  • 김영석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59-97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65세 이상 노인 10,073명의 성별, 연령, 학력, 연가구소득, 최장기 일자리 지위, 건강상태에 따라 평생교육 참여여부, 참여영역, 참여기관, 참여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성별), 70-74세, 75-79세(연령), 중학교 재학/졸업, 고등학교 재학/졸업, 전문대학 휴학 이상(학력), 상용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최장기 일자리 지위), 그리고 건강상태의 노인집단이 평생교육에 보다 많이 참여하였다.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집단과 고등학교 졸업이상 집단, 그리고 제1, 2분위 소득집단과 제3, 4, 5분위 소득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생교육 참여영역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평생교육 참여기관과 관련해서는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은 70세 이상, 중학교 학력 이하, 3분위 소득 이하, 건강이 나쁜 집단이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 참여빈도와 관련해서는 무학에 비해 고등학교 재학/졸업 및 전문대학 휴학 이상 집단이,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상용근로자 집단이 자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려되고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불평등 현상이 노인 집단 안에서도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SSI Education and Scientific Literacy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 박신희;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75
    • /
    • 2022
  • 최근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으로 새롭게 평생학습능력이 제시되었다. 학생들이 삶 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과학교육을 넘어선 과학과 관련한 평생학습능력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에서 학생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를 과학적 소양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는 경험적 증거는 찾기 어렵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생학습능력을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어떻게 함양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평생학습능력을 함양하고 삶 속에서 접하는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SSI 교육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SSI 교육연구 속 진술을 검토하여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고 그 유형과 특성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교육 연구에서 주목하는 평생학습과 그것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위해 SSI 교육을 주제로 한 문헌 자료 18개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에 드러난 진술을 검토하여 SSI 교육 연구에 내포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화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은 4가지이며 '과학에 대한 인식', '과학과 일상의 연결', '참여적 시민성의 촉진', '정체성의 구성'이다. 다양한 SSI 교육 연구들은 이미 여러 맥락에서 평생학습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생학습 관련 담론의 4가지 유형은 UNESCO 평생학습 보고서에서 제시한 4가지 학습과 연결할 수 있었다. SSI 교육은 학생들의 삶의 경험을 학습의 일부로 바라보며, 학생들이 과학과 관련한 사회적 쟁점에 대해 책임감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리고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인성과 역량을 갖추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량은 평생학습능력으로서 학교 밖 학생들의 실제 삶과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평생학습과 관련한 담론의 확장과 학생들의 평생학습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시스템 전반에 걸친 운영과 관리가 요구된다.

대학 부설 평생 교육원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여주대학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Research abou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of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 김진용;오병완;유재휘;박경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91-201
    • /
    • 2004
  • 디지털 사회, 지식정보화 사회인 21세기는 유익한 정보를 획득${\cdot}$분석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창의력과 종합사고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양성교육 중심의 학교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향상교육, 재교육, 계속교육. 열린교육 관점의 평생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의 강력한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지역거점의 대학부설 평생(사회)교육원의 역할이다. 특히 지역거점 대학의 교육환경과 우수한 인적자원을 지역주민에게 제공하고 봉사함으로써 지역의 교육적 혜택과 정보와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을 거점으로 하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의 실증적 연구를 통해 평생학습을 위한 방향과 지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장애인평생교육'의', '을 위한', '으로부터' 내부 토대: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abilities)-학교(schools) 융합 (Internal Foundation on the 'of', 'for', 'from'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Converg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chools)

  • 김영준;김화수;권량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67-74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평생교육의 내부 토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내용 의미의 구성체계에 대해 장애인평생교육을 기준으로 주체를 의미하는 '의(of)', 목적을 의미하는 '을 위한(for)', 실천적 주요 기반을 의미하는 '으로부터(from)'와 같이 세 가지 요소로 분류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은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의 내부 토대를 형성하기 위해 학문적 근거나 실천적 적용 모델 및 방안을 논의하거나 실제화한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분석이 일차적으로 고려되었으며, 이차적으로는 문헌분석의 근거를 기초로 하여 연구 내용의 구체성을 제고하기 위해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장애인평생교육의 내부 토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주체, 목적, 실천적 주요기반을 종합하여 발달장애 토대화와 학교 토대화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제시되었다. 위 두 가지 토대 요인에 의하여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의 내부적 보편성을 일차적으로 확립하고, 연계적으로 감각장애 유형 및 일반평생교육 분야와 융합하는 측면이 반영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전반의 장기적 안정성 측면이 분석되었다.

한국 평생교육 정책의 유형화와 발전과제 (Characteristics of Lifelong Learning Policy and Developmental Tasks of South Korea)

  • 최돈민;김현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47-69
    • /
    • 2018
  • 이 연구는 한국의 평생학습 정책 집행과정을 정책의사결정 모형으로 유형화하고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평생학습 정책은 2000년에 평생교육법의 제정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평생교육법에 따라 평생학습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다양한 열린 교육제도를 도입하였다. 그 결과 한국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학습기회의 제공, 평생학습도시 선정, 평생학습문화 구축, 평생학습결과의 인정, 평생학습 중심대학 선정 등 다양한 평생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국민의 평생학습을 지원하였다. 한국은 정부가 평생교육정책을 결정하고 재정 지원을 담당하지만 평생교육예산이 교육부 예산의 0.07%에 불과하여 아직도 학교교육 위주의 교육정책을 추진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한국의 정부관료적 평생교육정책은 그린(Green, 2000)의 입법모형에 비추었을 때 국가주도 모형이다. 그러나 이는 교육비 부담을 국가가 담당하는 것이 특징인 모델이므로 학습비를 대부분 개인이 부담하는 한국의 현실과는 맞지 않는다. 따라서 한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평생교육 모형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한국의 평생교육 제도는 앨리슨(Allison, 1971)의 정부 / 관료주의 모델, 지글러와 존슨(Ziegler and Johnson, 1972)의 입법모델, 그리핀(Griffin, 1987)의 사회통제 모델, 그린(Green, 2000)의 국가주도 모델로 특징지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학습 활동은 학습시장의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NGO의 활동과 취약계층에 대한 학습비 지원을 통해 평생학습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가정과교사가 인식한 학교 평생교육을 위한 가정과 자원의 활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se of them and the moves to strengthen home economics resources for school lifelo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teachers' view)

  • 김성희;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7-141
    • /
    • 2006
  •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삶의 문제들을 지혜롭고 창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가정과교육의 인적 물적 자원이 학교 평생교육에 어느 정도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활성화시킬 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전국의 중 고등학교 가정과교사들을 체계적 무선표집하여 질문지를 발송한 후 최종 회수된 135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과교사들의 학교 평생교육 업무 참여 실태는 낮은 편이며 주로 컴퓨터 강좌를 맡고 있어 전문성 발휘가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과 교사들은 학습자를 가르치기를 원하지만 강사의 역할보다는 학교 평생교육 관련 제반 업무를 여러 가지 맡고 있어서 과중한 업무가 부담되고 있다. 학교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중 1/5 정도에서 가정과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주로 자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ulcorner$취미 여가생활 프로그램$\lrcorner$인데 이는 가정과교사들이 미래사회에 가르쳐야 할 중요도가 가장 낮다고 여기는 프로그램 내용이다. 가정과교사들과 학부모 및 지역주민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개설을 희망하는 프로그램 내용은 $\ulcorner$자녀교육 프로그램$\lrcorner$으로서, 학습자의 요구도에 걸맞으면서 그들의 가족생활을 강화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직접적인 프로그램 강좌개설이 필요하다. 가정과 관련 실습실의 실태는 조리실습을 할 수 있는 정도의 형태여서 개방을 위해서는 실습실의 확충 및 시설 면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 가정과 관련 학교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가정과교사들은 교육 연수를 통해 전문성을 길러 양질의 프로그램으로 학교 평생교육의 강사로서 참여할 의향이 있으며 이를 뒷받침해 줄 정부의 지원과 노력한 만큼의 적절한 의상을 바라고 있다.

  • PDF

초등학교에서의 평생교육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for Lifelo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권2호
    • /
    • pp.63-7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lan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sis on the ranking of program by survey, the demand of users, the system of teaching-learning and relationship of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program of the lifelong education by the regional groups and users is the same as

    , 2. The facilities of the lifelong education by the main spatial sections is the same as
    , 3. The relation ship of the lifelong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is the same as , 4. The functional diagram of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is the same as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