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 인식도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7초

학교도서관의 정보시스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도 조사 연구 (A Review Study on Recognition of Teachers for Information System of School Library)

  • 유양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확산이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인식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인식도 정도 분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의 근본적인 대안을 찾는데 있다. 분석된 자료는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교육프로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하는데 기인 할 수 있다.

  • PDF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 안다인;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5-270
    • /
    • 2018
  • 학교도서관이 학교에서 핵심적인 교육요소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적절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도서관에서 교사인식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이 학교도서관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전제로 하고, 그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교사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비교과교육적이고, 이는 학교도서관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학교도서관이 통제 가능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도서관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도서관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교사인식의 개선방안을 학교도서관 활동에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 황혜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45-264
    • /
    • 2015
  • 본 연구는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고, 이용주체의 특성에 따른 학교 급에 따른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 대한 시설 및 환경, 장서 및 자료, 프로그램, 기타사항, 학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 등에 대한 인식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방향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차이에 기반을 둔 학교도서관의 지향점 설정 및 학교도서관 운영 전반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 중등학교 학교도서관에 대한 동일 학교급내 학년별 차이에 대한 규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원들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Services: Targeting the Teachers in Incheon City Office of Education)

  • 박주현;허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81-6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재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498명을 대상으로 독서실태, 학교도서관 인식과 정서,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 학교도서관 활용 수업 경험,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급과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에 따라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은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담당교사의 인식을 통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 중등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through Library Teacher's Perception)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7-172
    • /
    • 2003
  •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학교도서관활성화에 있어서 일반교사들의 역할과 중요성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본 논문의 중심내용으로 대구광역시 중등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실태와 함께 도서관의 기능, 운영의 문제점, 개선방안 등에 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사서교사가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현 체제하에서는 도서관담당교사의 업무경감, 도서관 연수교육 강화, 교내 도서관 지원부서 설치. 교육청의 강력한 학교도서관 지원정책과 전담부서 설치 등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Teachers' Expectations for Reforming Primary School Library Services)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9-146
    • /
    • 2001
  • 학교도서관 봉사의 목적이 학교 교육을 위한 것이므로 학교 교육의 목적과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항상 새롭고 보다 훌륭한 시설과 풍부한 정보자료를 개발하여야 하며 유능한 전문직 사서교사는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학교내외에서 야기되고 있는 저해 요인들로 실질적으로 유명 무실한 학교도서관을 보다 능률적이고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시키는 초석이 될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봉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교 도서관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제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사서의 역할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도, 사서교사의 배치 필요성, 다양한 봉사에 대한 기대,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수강에 대한 윤곽 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 PDF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사례 분석 - 대구 S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Library: A Case Study of Daegu S High School)

  • 강봉숙;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7-13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실험적 운영 사례를 공유하여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길잡이를 제공하고 관련 활동을 확산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대구 S 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실험적으로 이루어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 사례를 설명하고 그 의의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학생 이용자가 가진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였다. 추가로 메이커 교육 경험 여부와 학년별 변인 등에 따라 메이커 교육 인식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 프로그램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하지만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여 기존의 학교도서관 교육과 메이커 교육 모두에서 긍정적 이미지와 역량 함양 효능감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을 지닌 것으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이 학교도서관 교육에 대한 전반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역량 함양 효능감 인식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학교도서관 메이커 교육의 확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3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참여율이 날로 저조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평가의 변화 추이와 평가 참여 인력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지표 변화 추이 등을 문헌조사로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전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은 09년에 22.2%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17년 7.2%까지 낮아졌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양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 인식은 2.84점, 질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는 2.97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운영 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지표 타당도 인식 평균은 3.90점으로 가장 높게, '지역사회 봉사'는 2.2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평가 미참여 이유에 '학사 업무 처리가 바빠서'의 평균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해 낮은 인식이 조사된 바, 평가지표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정책 마련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평가 운영주체는 평가의 결과를 다시 학교도서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 역할 인식유형이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Library Roles on Their Library Use Behaviors)

  • 이승연;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5-401
    • /
    • 2023
  •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장소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기본 역량과 변화 대응력을 키울 수 있는 곳이다. 학교도서관의 활용은 교사의 지도가 필수적이므로 교사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교사의 인식을 외부환경으로 간주하여 그 중요성을 계량적인 척도로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도서관 인식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사람 중심적인 접근 방법인 잠재프로파일 분석기법(Latent Profile Analysis, 이하 LPA)을 사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검토하기 어려웠던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복합적인 인식과 그 인식의 대표적인 유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인식유형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운영과 활성화 방안을 맞춤형으로 제안하였다.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 역할에 관한 지역 주민과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and School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Reading Cultural Center: Focusing on Gyeonggi-Do)

  • 조미아;허정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7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 주민과 학교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지역 사회에 개방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대다수는 학교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운영된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담당 사서는 지역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