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운영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7초

지상(紙上) 블로그 - 학교도서관, 책 읽기에 교과교사와의 협동수업을 더하다

  • 소병문
    • 도서관문화
    • /
    • 제53권3호
    • /
    • pp.24-27
    • /
    • 2012
  • 채 10년도 안되는 기간동안 학교도서관은 천국과 지옥을 오가고 있다. 2002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 주도로 시작된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을 통해 낡은 학교도서관 시설은 현대식으로 바뀌었으며, 교원으로서 사서교사는 1998년부터 지속적으로 현장에 배치되었고, 2007년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나름 학교도서관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관심을 받았다. 먼지 쌓이는 교실 한 칸도 되지 않던 창고같던 학교도서관은 늘어난 장서와 PC를 포함한 다양한 IT 기기,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교구 등을 갖추면서 나름 도서관답게 바뀌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학교도서관 운영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많지는 않더라도 교사라는 지위로 사서교사가 전국의 초 중등학교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던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관 관련 법에서 늘 구석에 있던 학교도서관은 "학교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이라는 단독법안으로 제정되어 법리 상 관심을 받던 시기였다. 여기에 더해 책 읽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책읽기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나름 학교도서관이 활성화되는 것 같았다. 하지만 화려하게 바뀐 학교도서관은 자격이 있는 인적자원 배치와 지속적인 장서의 공급 등을 통해 유지되기보다는 운영시간 연장 등 시설 자체의 운영에 초점이 맞춰지는 시기로 바뀌었다. 98.6%에 이르는 학교도서관 설치 대비 46% 밖에 되지 않는 인적자원의 배치 현황, 그나마 학교도서관에 배치된 인적자원의 14.7%만이 정규직 사서교사, 사서(직원)이라는 현실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인적자원 배치에 대한 기대를 더 이상 할 수 없는 어려운 시기로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단독법안으로 학교도서관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던 "학교도서관진흥법"은 학교도서관 관련 시설, 인적자원, 운영에 대한 분명하고 명확하지 않은 법조항 때문에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어 오히려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일부의 비판도 받았다.

  • PDF

사서 배치 학교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 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Library Committee of the School Library that Employs Librarians)

  • 하지윤;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5-246
    • /
    • 2018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현황을 조사한 기초연구이다.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일반 현황 및 필요성, 운영위원의 구성, 역할, 역할 수행 능력, 운영상의 어려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5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주요 결과는 첫째, 응답자의 소속학교 중 94.9%가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고 필수위원인 위원장, 부위원장, 교사위원, 학부모위원의 구성율은 80% 이상이었으며, 둘째, 교사위원은 역할 수행에서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도서관 사서는 교사위원에 대한 기대감과 협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셋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의 서비스와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기구이지만, 교사진의 협력과 참여가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 단위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방침이나 규정의 성문화 및 정교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역할과 사명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연수의 정례화, 외부위원 위촉이 원활할 수 있는 교육청 단위별 공공도서관-학교도서관 협력체계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 황혜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45-264
    • /
    • 2015
  • 본 연구는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고, 이용주체의 특성에 따른 학교 급에 따른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 대한 시설 및 환경, 장서 및 자료, 프로그램, 기타사항, 학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 등에 대한 인식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방향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차이에 기반을 둔 학교도서관의 지향점 설정 및 학교도서관 운영 전반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 중등학교 학교도서관에 대한 동일 학교급내 학년별 차이에 대한 규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공공 통합형 도서관 운영사례 -강남구립 학교전자도서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of Gangnam-gu)

  • 한윤옥;이승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82
    • /
    • 2003
  • 서울의 강남구청에서는 2001년 9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15개 초등학교에 학교전자도서관을 설치하여 학생은 물론 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빈교실만 제공하고, 운영인력과 운영비는 모두 강남구청에서 지원하고 있다. 이것은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일종의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이며, 이와 같은 통합형도서관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양 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울 강남구청에서 자체예산으로 설립한 학교전자도서관의 운영 상태와 이용만족도를 조사, 평가함으로써 학교-공공통합형 도서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모델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 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31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참여율이 날로 저조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평가의 변화 추이와 평가 참여 인력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지표 변화 추이 등을 문헌조사로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전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은 09년에 22.2%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17년 7.2%까지 낮아졌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양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 인식은 2.84점, 질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는 2.97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운영 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지표 타당도 인식 평균은 3.90점으로 가장 높게, '지역사회 봉사'는 2.2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평가 미참여 이유에 '학사 업무 처리가 바빠서'의 평균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해 낮은 인식이 조사된 바, 평가지표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정책 마련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평가 운영주체는 평가의 결과를 다시 학교도서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Followed by Environment Changes of School Libraries)

  • 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93-516
    • /
    • 2009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변화한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라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이 무엇인지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도서관 사서 배치관련 법규 및 사서교사 배치현황을 분석하고, 비정규직 사서업무에 대한 면담 분석 및 정규직 사서교사, 비정규직 사서, 도서관 담당교사가 실제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운영전문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 PDF

미국 학교도서관 운영 원리에 관한 연구 - 채플힐/카보로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e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With Special Reference to Chapel Hill/Carroboro City Area -)

  • 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07-225
    • /
    • 2002
  • 이 논문은 미국 학교도서관 현장에 대한 직접 관찰을 바탕으로 그 운영의 일반 사항과 주요 원리를 소개하고 우리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검토한다. 연구자는 1년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힐에 체재하면서 '채플힐-카보로 학군'에 속한 모든 학교도서관을 관찰하여 미국 학교도서관 현장의 실제를 보고한다. 그리고 우리 학교도서관 발전과 관련하여 선진 학교도서관 현장으로부터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따를 것인지 모색한다.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nalysis on the Operating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 장보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13-331
    • /
    • 2019
  • 본 연구는 유명무실하게 존재하는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일반학교 학교도서관과 비교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별, 학교 설립별 일반학교와 비교했을 때 특수학교는 장서, 예산, 열람좌석,이용 측면에서 현저하게 미흡한 수준이다. 특수학교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57.9권, 대출자료 수는 10.8권인 반면 일반학교는 96.7권 29.6권이다. 예산은 특수학교가 일반학교의 30% 수준이며, 일반학교의 90%이상이 20석 이상의 열람좌석 수를 보유한 반면, 특수학교는 75개교(42.9%)에 불과하다. 소장 장서 대비 이용량에서도 채 1권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전담직원이 있는 학교는 47개교(26.8%)이며, 사서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는 20개교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장애인 기관과의 협력, 기본적인 장서와 전담인력, 시설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경기 지역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of Gyeonggi Province)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1-44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방학독서교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방학 중 독서교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100개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로부터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1)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의 여부, 2) 독서교실 운영의 목적, 3) 독서교실 참여 대상, 4) 독서교실 운영을 위해 참여하는 사람, 5) 독서교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다. 분석 결과,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운영하였고, 운영 목적은 학생들의 독서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근거하여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 김미나;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1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