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과 이해도

Search Result 8,14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urvey on Understanding of Disaster Management Terminology (Focusing on Students and Workers in Related Departments) (재난관리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관련학과 학생 및 종사자를 중심으로))

  • Kim, Young-Min;Lee,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19-420
    • /
    • 2022
  • 재난관리현장 및 관련 학문 분야에서는 사건(incident), 사고(accident), 위험(risk), 위기(crisis), 재해(disaster), 재난(disaster)과 같은 유사성이 있는 전문용어들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문용어의 경우 관련 학과 학생 및 종사자들은 그 내용과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와 관련한 전문용어의 정의를 명확하게 나타내는 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 3조에서 재난에 대한 정의는 명시하고 있지만, 재난과 재해와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 수 없으며, 위험과 위기에 대한 차이점을 또한 파악하기 어려움에 있다. 이러한 이유로 관련 학과 대학생 및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재난에 사용되는 용어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지 못하고, 명확하게 구분하지 아니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다. 용어의 혼용은 국민들에게 재난에 관한 의식의 혼란을 유발하고, 혼란스러움으로 인한 무관심이 발생, 그 무관심에 의해 재난에 관한 의식이 저하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의식의 하락으로 비롯되는 대응의 부적절함을 방지하기 위해 1) 관련 학과 학생 및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용어의 이해도 조사, 2) 관련 용어의 정의를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대학수학에 필요한 기초 개념 이해도 측정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57-68
    • /
    • 2005
  • 무한, 극한, 연속, 미분가능과 같은 중요한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대학수학 교양과정의 미분적분학 수강생들에게 필수적이다. 이들 개념의 이해 수준을 부록1, 2, 3을 통해 알아보고 평가를 분석한다. 평가결과는 이해도가 낮은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수법이 필요성을 알게 하고 수학적 기본개념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정의의 정확한 이해를 돕고 구체적인 예제를 제시하는 교수법 개발에 수학교수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 PDF

대학수학에서, 실수를 이용한 학습지도

  • Kim, Byeong-M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45-55
    • /
    • 2005
  • 대학수학 1학년 과정(미분적분학)에서 정리, 정의 등 개념의 이해를 도와주기 위해 학생들이 갖는 어려움을 그들이 자주 겪는 실수를 통해 찾아내어 분석하고 올바른 이해의 길로 안내한다. 실수를 탓하기보다 학생의 편에 서서 이해하고 도움을 주도록 한다. 흔히 부딪칠 수 있는 예제 문제를 풀어보게 하고 공통으로 저지르는 실수를 제시하여 개념의 이해나 문제풀이를 바르게 하도록 이끌어 준다.

  • PDF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구조동력학-제 1부:단자유도 구조물의 지진해석과 응답스펙트럼

  • Lee, Dong-Geun
    • 건축구조
    • /
    • v.13 no.1
    • /
    • pp.46-58
    • /
    • 2006
  • 구조동력학 이론에 기초하여 내진설계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조동력학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먼저 알고 이들이 내진설계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글은 구조기술자 여러분이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3부로연재될예정이다. 제1부: 응답스펙트럼과구조물의동적해석 제2부: 등가정적해석법과반응수정계수의배경 제3부: 능력스펙트럼법에의한비탄성해석 제1부에서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지진해석을 통하여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원리와 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지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응답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방법과 다자유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알아내기 위한 응답 스펙트럼 해석법에 관하여 소개한다. 제2부에서는 구조동력학 이론에 근거하여 등가정적해석법이 유도된 근거와 반응수정계수를 사용하게 되는 배경을 소개하여 구조기술자들이내진설계에좀더확실한이해를할수있도록할것이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비탄성해석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능력스펙트럼법의 배경과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성능점을 찾는 방법과 구조물의 비탄성 지진응답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함으로써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를 위한 기초 이론을 확실히 이해할수있도록할것이다. 구조동력학에 관한 내용을 여기에 상세히 소개하자면 엄청난 분량이 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이 글을 읽는 구조기술자들이 구조동력학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구조동력학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지 못한분들은이글을읽기전에먼저구조동력학에관한알기쉬운서적을 먼저 읽도록 추천한다.

  • PDF

Hermeneutics and Science Education : Focus on I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Theory (해석학과 과학교육 : 개념변화이론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 Ha, Sangwoo;Lee, G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1
    • /
    • pp.85-94
    • /
    • 2015
  • Constructivism gave many implications to science educ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brought confusion about its implication to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Hermeneutics has possibilities of being able to reduce confusion as well as opening a new horizon. Hermeneutics seeks the meaning of 'real understanding' through the concepts of horizon, hermeneutical circle, and fusion of horizons. Both hermeneutics and constructivism have positive attitude to students' pre-understanding and accept contextualization of knowledge. Thus, they both can criticiz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propose an alternative. Moreover, hermeneutics approaches human understanding holistically with the concept of horizon, and pays attention to the circularity of the process of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hermeneutics can open a new horizon and give new discourse to science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and practice of science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 Park, Hyun-Ju;Lee, Kum-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3
    • /
    • pp.390-39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 aspect of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the goal of modern sc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y gender and major. on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investigat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eveloped by Lee (2003)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The instrument has three sub-scales; a scientific world view,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enterprise. The instrument is only expected to give, and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on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 total of 12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liberal arts, and physical exerci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cience education major students were verified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followed by liberal arts students and then physical exercise students. Moreover, men revealed slightly more comprehension that of women. More than 80% of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nswered 11 out of 23 questions, approximately 50%. In the area of scientific inquiry, both science education and liberal arts students showed more comprehension that those in physical exercise. All participants showed relatively lower comprehension of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contribution than other subjects, but displayed a greater comprehension of the ethics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most students have relatively low apprehension in the contribution of science, while higher apprehension in the ethics of scienc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onnam Province on the Meteorology Terms in Geography Textbook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북한 중등과정 지리 교과서 기상학분야 용어에 대한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의 이해)

  • Hong, Jeong-Min;Jeong, Young-K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1
    • /
    • pp.15-19
    • /
    • 2006
  • In this study, the meteorology terms in the geography text books of North Korea which includes all of the meteorology educational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earth science text books in South Korea. Forty science terms which are the same meaning but composed of different words are picked up to investigate the degree for 89 high school students in Chonnam province to perceive the meanings correctl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is on the average 30% higher in terminology of South Korea textbooks than in those of North Korea. But, students' perceptions on 9 North Korean terms is rather higher compared to South Korean terms. Twenty six (83.9%) terms which are difficult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erceive correct meanings are those lately composed of North Korean native words. Most of meteorology terms in South Korean textbooks are derived from the Chinese characters or imported from foreign language terms are easier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erceive correct meanings than those of North Korean terms derived from North Korean native language.

A Brief Review of Noise Science (소음과학과 그 이해)

  • 이수갑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0
    • /
    • pp.933-938
    • /
    • 1995
  • 소음 공해의 문제는 수세기에 걸쳐 지속되어왔고, 현대 사회는 인간과 기계에 의한 소음으로 조용하고 평온한 삶을 영위하기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소음은 일반적으로 원하지 않는 소리라고 정의된다. '원하지 않는'이란 말이 소음(noise)을 물리학적인 소리(sound)와 구멸하는 것이다. 아름다운 음악도 어떤이에겐 청각적 혼돈 상태로 느껴질 수 있듯이 어떠한 주어진 소 리를 '소음'이라 서술하는 것에는 심리 음향학(psychoacoustics)적인 요소가 강하므로 소음에 대한 연구는 그저 단순한 과학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음향학에 단단히 기초하고 있고 그전문어들을 이용한다. 따라서 음향학의 기초적인 이론과 심리음향학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소음의 영항과 소음 환경을 이해한 뒤, 소음의 제어에 대한 예를 보는 것으로 소음 과학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 PDF

현대논리학적 단초들을 중심으로 한 라이프니츠 논리학의 이해

  • Ha, Byeong-Ha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2
    • /
    • pp.91-118
    • /
    • 1998
  • 라이프니츠는 일반적으로 현대논리학의 선각자라고 부른다. 그래서 라이프니츠 논리학에서는 현대 논리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단초들을 발견할 수 있다. 라이프니츠의 논리학을 대표하는 개념으로는 흔히 보편수학, 보편기호학 그리고 논리연산학을 들곤한다. 라이프니츠의 보편수학의 이념은 연대 논리학이 논리학과 수학의 통일에서 출발할 수 있는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했다. 이러한 현대 논리학의 출발에 있어서는 상이한 두 입장을 발견할 수 있는데, 부울, 슈레더의 논리대수학과 프레게의 논리학주의가 바로 그것이다. 이 두 입장은 "논리학과 수학의 통일"에 있어서는 공통적인 관심을 보이지만, 논리학의 본질을 라이프니츠의 보편기호학에서 찾느냐 또는 라이프니츠의 논리연산학에서 찾느냐에 따라 상이한 입장을 취한다. 이외에도 보편과학이나 조합술을 이해하지 않고는 라이프니츠 논리학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갖기 힘들다. 이 두 개념은 특히 타과학이나 과학적 방법론과 관련지어 논리학이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논리철학적인 조명에 있어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Checklist Development of Articulating Reading Appreciation (독서감상 표현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Susang;Lim, Yeojoo;Joo, So-Hy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2 no.4
    • /
    • pp.205-228
    • /
    • 2021
  •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on articulating reading appreciation, which will be used as the initial data for book recommendation for library users. As reading comprehension is prerequisite for reading appreciation, researchers analyzed research articles on reading comprehension to find out the core factor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categorize them. Studies on reader response theory and literacy education were also examined: key words and phrases that will stimulate readers' response to reading were extracted and formed as questions. These questions were reviewed by experts on reading education. The final checklist consists of 14 questions - 4 questions on literal·inferential comprehension, 3 on evaluative comprehension, and 3 on appreciative compreh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