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중전달율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 (An Indeterminate Strut-Tie Model for Prestressed Concrete Beams)

  • 채현수;윤영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801-814
    • /
    • 2015
  • 이 논문에서는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해석 및 설계 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비선형 파괴거동 특성 및 복잡한 하중전달 메커니즘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반영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행 설계기준서의 스트럿-타이 모델 규정을 이 연구에서 제안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에 접목시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해석 및 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의 하중분배율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부정정 스트럿-타이 모델 및 하중분배율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파괴실험이 수행된 47개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극한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행 설계기준서의 스트럿-타이 모델 방법에 의한 평가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철도인접지역 건물에 대한 진동전달율의 영향성 평가 (Transmissibility Effect Evaluation of Buildings Near Railroad Areas)

  • 김지현;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31-138
    • /
    • 2011
  • 건물설계단계에서 신축예정건물의 열차진동영향평가를 위하여 국내의 4개의 열차진동 가속도응답 계측치와 진동전달율(Transmissibility)값을 이용한 이론치를 비교하여 TR값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이 TR 방법을 통하여 철도인접지역 위치한 신축 예정지반을 선정하고 지반진동 계측을 실시하였다. 계측한 지반의 가진진동수와 수직가속도응답과 신축 예정건물의 바닥슬래브를 MIDAS로 해석한 고유진동수를 통해 진동전달률을 산정한 후 신축건물의 진통예측을 실시하였다. TR을 적용한 가속도응답 예측치를 열차진동 가속도응답 계측치와 비교한 결과 3.61%~37.1% 오차범위에서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TX, 경의선, 시멘트 열차 주행 시 지반의 가진진동수는 7.19~10.61Hz 사이에 선명한 피크를 확인 할 수 있다.

로보트용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planocentric gear reducer used in industrial robots)

  • 이성철;오박균;권오관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87년도 제5회 학술강연회초록집
    • /
    • pp.41-49
    • /
    • 1987
  • 관절 로보트를 위시한 각종 매니퓨레이터 장치의 관절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감속기를 내재하지 않는, 직접구동 방식이 연구중이지만 모터는 고속회전율 시키는 것이 동력밀도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 감속기를 사용하여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토오크를 증대하여 매니퓨레이터를 구동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원통형 핀을 내치차 치형으로 사용한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설계 기술을 개발하였다. 치형 수정계수를 도입하여 수정계수 변화에 대한 치형의 변화와 접촉 하중 및 응력의 변화를 검토하고 로오크 전달시 기구에 작용되는 하중을 해석하여 내접 유성식 감속기의 설계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증기발생기 스너버 링크장치 계통의 기하학적 해석

  • 이상호;윤기석;김태완;전장환;김종민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9권6호
    • /
    • pp.42-48
    • /
    • 1997
  • 원자로 냉각재 계통의 주요 구성요소중의 하나인 증기발생기는 원자로의 정상운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너지를 2차 측으로 전달하여 터빈을 구동하기 위한 증기를 생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동적하중으로부터 증기발생기를 보호하고, 정상운전시 고온 고압에 의해 발생하는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유압식 스너버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를 지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증기발생기 스너버의 이동거리를 해석하기 위한 링크장치의 기하학적 계통을 모델링하여 제시하고, 스너버의 이동거리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추출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스너버의 강성값 결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레버기구의 하중분담율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재 건설중인 1000Mwe급 표준 가압형 경수로 발전소의 고온 성능시험과정에서 실측한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피로실험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체 경사가로줄눈부의 하중전달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ad Transfer Efficiency of Skewed Transverse Joint of Concrete Pavement by the Fatigue Test)

  • 황승의;배주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03-211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load transfer efficiency of skewed transverse joint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with the fatigue model test. A 1/12 scale model was used to satisfy the geometry, loading, material similitude, which are variables to the skew angel of transverse joint. As the test results by fatigue load 700kgf applied, the deflection and stress of transverse joint were decreased as to increasing of skew angle of transverse joint. In addition, load transfer efficiency of transverse joint with skew angle is better than the load transfer efficiency of transverse joint without skew angle.

  • PDF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 (EPDM) 발포체의 충격음 저감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act Sound Insulation Properties of EPDM Micro Cellular Pad)

  • 이경원;이정희;손호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38-148
    • /
    • 2000
  • EPDM 발포체의 정적/동적 특성을 측정하여 재료 특성과 진동 특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이로부터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정적/동적 특성은 material test system (MTS)를 사용하여 시편의 형상, 두께, 초기하중, 발포도 등에 따라 정적 탄성계수, 동적 탄성계수, 전달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정적 탄성계수와 동적 탄성계수의 경우, 형상이 단순하고 두께가 얇을수록 큰 값을 나타냈고, 전달율과 동적 탄성계수는 상호 비례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징적으로 동적 탄성계수가 증가하면, 전달율의 특성 피크치는 같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증가 혹은 고주파수 영역으로의 전이의 형태로 일어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실적 모사 시험장치를 통해 충격에 따른 주파수별 진동 속도측정과 유한 요소 해석 모델을 사용하여 mode shape에 의한 충격 해석 결과를 알아보았는데, EPDM 발포체를 사용함으로써 2.5-3.5배의 진동 속도 저감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mode shape의 경우 몰타르와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구조물에 비해 진동 충격에 대한 변위가 급감함으로써 충격음 저감재로서의 EPDM 발포체의 적용 가능성은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줄눈형식에 따른 공항 콘크리트 포장 하중전달율 비교 (Comparison with Load Transfer Efficiency for Joint Types in Airport Concrete Pavements)

  • 안지환;전성일;권수안;김민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9-20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is to compare load transfer efficiency of key joint and dowel joint for airport concrete pavement. METHODS : As AC150/5320-6D of FAA's [Advisory Circular] was changed into AC150/5320-6E, Key joint type of rigid pavement were excluded from Construction Joints. LTE(Load Transfer Efficiency) of dowel joint and key joint were compared by times and seasons through pavement temperature measurement, ocular investigation and HWD measurement. RESULTS : For the joint performance grade of No. 2(The second) runway of airport, 12% of poor rate was observed in key joint and 2% of poor rate in dowel joint. Poor rate of key joint was increased to 17%, if only No. 3~No. 6 slabs, which are mostly loaded from the airplanes, were applied for the study. In apron area, LTE poor rate of key joint was high in winter, and LTE poor rate of dowel joint was at least above 'Fair' grade. In summer, 'Fair' for key joint, 'Acceptable' for dowel joint appeared. CONCLUSIONS : As results, dowel joint was superior than key joint for LTE. Deviations of seasons and times were smaller in dowel joint's result. And LTE in winter was lower than LTE in summer.

지하 암반 공동내 지보시스템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 방법 (A Method for Assessing Structural Safety of Ground-Support Systems in Underground Rock Cavern)

  • 장승필;서정문
    • 지질공학
    • /
    • 제6권1호
    • /
    • pp.23-31
    • /
    • 1996
  • NATM공법에 의한 지하 암반공동에서 숏크리트내의 불평형력이 지보 시스템에 전달되는 하중 전달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지보시스템내의 응력 재분배 과정을 모델링하였으며,그에 따른 지보시스템의 해석모델을 제안 하고 숏크리트의 탄성거동에 관하여 고찰하였다.응력 재분배 모델을 이용하여 설계변수가 변화함에 따라 지보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숏크리트의 최대 압축응력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암반의 수평지압계수 및 탄성계수가 구조응답에 큰 영향을 미치나 지보시스템 자체의 특성 변화가 응답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적었다. 구조재의 안전율을 평가할 수 있는 상관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지하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연속 2-거더교에서 수평브레이싱이 하중 분배 및 비틂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teral Bracing on the Load Distribution and Torsional Behaviors in Continuous Two-Girder Bridges)

  • 황민오;윤태양;박용명;조움돋이;황순용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671-68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연속 2-거더교에서 하부 수평브레이싱의 유 무에 따른 하중분배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제 교량으로부터 1/5 축소 제작된 모형 교량을 이용하여 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편재하된 하중에 대해 수평브레이싱이 설치되면 바닥판과 가로보의 구조적 기능이 향상되어 하중의 분배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석모델을 사용하여 수평브레이싱 유 무에 따른 하중분배율을 정량적으로 평가해 본 결과, 수평브레이싱이 미설치된 경우는 대부분 바닥판에 의해 편재하 하중의 21% 정도가 반대측 거더로 전달되었고, 설치된 경우는 가로보와 브레이싱, 그리고 바닥판 모두 하중분배에 기여하여 하중분배효과가 1.7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평브레이싱이 설치로 인해 가로보와 바닥판, 그리고 수평브레이싱 부재가 유사폐합단면을 구성하여 시험체의 비틂 강성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주상복합건물 전이층의 거동 분석과 헌치의 적용성 평가 (An Evaluation and Response Analysis of Hybrid Building System by Introducing Haunch at the Transfer fool)

  • 장성훈;김희철;홍원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01
  • 상부 벽체와 하부 골조로 구성되는 주상복합건물은 전이층에서 수직적인 강성과 강도의 불연속성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구조는 전이층에서 춤이 큰 보에 의하여 하중이 전달되면 설계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실제 전이보의 설계시 춤을 매우 크게 하여 요구되는 강도보다 큰 안전율이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이층의 단순화모델을 이용하여 보의 높이 및 지지면의 길이에 따른 아치거동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분석하고 두 변수를 포함하는 헌치부재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중요 변수와 헌치의 기울기는 1:1의 비율에서 사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전이보를 대신하여 사용한 결과 중력방향의 상부 아치거동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력 집중부위에서의 응력 감소와 깊이 전이보의 높이감소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