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중감소

Search Result 1,57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Method to Reduce the Wind-Load Applied on High-Rise Buildings using the Resizing Method (재분배기법의 고유진동수 조절 특성을 이용한 고층건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감소 방법)

  • Choi, Se-Woon;Park, Sung-Woo;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725-728
    • /
    • 2010
  • 풍력실험결과를 이용한 풍하중 산정 방법은 고층건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일반적인 고층건물의 경우, 이 방법은 구조물의 형상에 변화가 없다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가 증가할수록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크기는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재분배기법은 단위하중법을 통해 계산되는 변위기여도를 근거로 하여 구조물의 형상은 유지하면서 각 부재 단면의 크기만을 변화시켜서 구조물의 강성을 조절하는 설계기법이다. 이 방법은 효과적인 물량 재분배를 통해 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증가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재분배기법을 이용하여 고층건물 구조설계 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크기를 합리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풍력실험을 실시한 실구조물에 적용한 결과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 크기가 감소하고, 이를 통해 구조물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amping and Stiffness of Nailed Joints between Wood and Plywood : Response to Loading Rate (합판과 목재사이 못 접합에 있어서 하중 속도에 대한 Damping과 강성 (stiffness))

  • Cha,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0 no.1
    • /
    • pp.72-78
    • /
    • 1992
  • 지진과 관련있는 하중 속도에서 damping을 측정하기 위하여 합판과 목재 사이에 한개의 못을 사용한 접합에 대하여 조사 했다. 조사된 하중은 sine function 의 15Hz와 ASTM하중 속도 사이에서 행했다. Damping 율은 4Hz까지의 하중 속도에서는 증가를 보였으며 그후 15Hz 까지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강성은 높은 하중 범위에서 slip moduli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다. 낮은 하중 범위에서 2.5Hz까지 증가 하였으며 그후는 감소 하였다. Damping 율과 slip modulus는 하중 속도와 상관 관계가 낮은 반면 work capacity와 dissipated energy는 높은 상관 관계를 보았다.

  • PDF

기계적인 잔류응력 이완방법의 원리와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김용완;김희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5 no.2
    • /
    • pp.1-8
    • /
    • 1987
  • MSR 처리를 실제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잔류응력과 기계적성질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MSR 처리는 소성변형을 유발시켜 높은 인장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하며, 잔류응력이 낮은 부위에 대해서는 잔류응력 재배치에 따른 응력치의 변화가 수반된다. (2) 잔류응력 감소량은 MSR 하중에 비례하여 증가 한다. (3) 모재의 항복응력보다 낮은 하중으로 MSR 처리를 하면 충격치의 감소는 무시할 정도이지만 모재의 항복응력보다 높은 하중으로 행하면 응착금속에서 충격치의 감소가 현저하다. (4) MSR 처리를 하게되면 항복응력이 높아지고, 잔류응력이 감소해서 선형의 응력-스트레인의 관계를 가지는 범위가 넓어져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상태가 된다.

  • PDF

A Study on Effect Factor of Load Transfer Efficiency in Concrete Pavement (콘크리트포장에서 하중전달효과 영향인자 연구)

  • Yang, Hong-Suk;Suh, Young-Chan;Kwon, Soo-Ah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3 no.3 s.9
    • /
    • pp.147-158
    • /
    • 2001
  •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ccounting for the structural capacity of concrete pavement is load transfer efficiency. Load transfer efficiency is affected by slab temperature gradient, construction of dowel bars, degree of aging, and crack wid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load transfer efficiency of concrete pavement;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oad transfer efficiency; and to present the proper measuring method of load transfer efficiency. As a result from this study, load transfer efficiency was affected primarily by the average temperature in concrete slab. Load transfer efficiency de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and increasing crack width. For the sections with dowel bar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load transfer efficiency regardless of temperature changes. For the sections without dowel bars, however, there on great losses of load transfer efficiency at low temperatures. For the old pavement, even in the sections with dowel bars, the load transfer efficiency reduced as the temperature dropped For the sections in this study, 1.4% reduction of the load transfer efficiency was observed for each $1^{\circ}C$ drop in the slab temperature.

  • PDF

Determination of the Strength and Stiffness Degradation Factor for Circular R/C Bridge Piers (원형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강성 및 강도감소지수 결정)

  • 이대형;정영수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73-82
    • /
    • 2000
  • 본연구의 목적은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교량 교각의 비선형 이력거동을 해석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반복적인 횡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교각의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도출하고자 수정된 trilinar 이력거동모델을 이용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비선형 거동특성과 각 하중단계에 따른 교각의 중립축을 구하여 소성힌지부의 모멘트와 변형률을 구하고 반복하중하에서의 강성의 변화를 해석적으로 모형화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강성을 갖는 5가지 지선을 갖춘 형태의 이력거동모델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구한 하중-변위 이력곡선을 이용하여 축하중비 주철근비 및 구속철근비에 따른 강도감소지수와 강성감소지수의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일반식으로 제안하였다 새로운 이력거동 해석 모델을 프로그램 SARCF III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철근콘크리트 교각에 강도 및 강성감소 현상을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a Bellows Expansion Joint subjected to Monotonic Loading Due to Structural Uncertainty (단조하중을 받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구조적 불확실성에 의한 민감도 분석)

  • Son, Hoyoung;Lee, Jong-Ryun;Jeon, Bub-Gyu;Ju, Bu-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305-306
    • /
    • 2023
  • 지반 침하 및 액상화 등에 따른 과도한 상대변위로 인한 매립배관 시스템의 손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종종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은 사용된다.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형과정에서 회선의 벽두께 감소와 같은 구조적인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벽두께 감소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매립배관 시스템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회선의 벽두께 감소에 의한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평가는 필요하다. 하지만 회선의 벽두께 감소가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로써 고충실도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하여 단조하중을 받는 벨로우즈 신축이음관의 벽두께 감소에 의한 성능을 평가하고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회선의 벽두께 감소를 20%로 적용하였을 때 최대하중은 약 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번 회선의 벽두께 감소가 최대하중 감소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Failure Mode II on Crack Initiation and Crack propagation Steps Using Multilevel Fatigue Loading Test (다단계 피로하중 실험을 통한 균열 발생 및 전파단계에서 파괴모드 II 영향 분석)

  • Hong, Seok Pyo;Park, Sae Min;Kim, Ju 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9
    • /
    • pp.853-860
    • /
    • 2017
  •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e II on the 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stages, the effects in the fatigue threshold region under a mixed-mode I+II loading state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the case of mixed-mode I + II, during the crack initiation stage, as the loading application angle (${\theta}$) increased, cracks occurred in the lower load owing to the effects of mode II, while the crack propagation rate decreased. The effects of mode II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the crack propagation stage by means of multilevel loading direction variation. Following mixed-mode I+II ($0^{\circ}{\rightarrow}{\theta}{\rightarrow}60^{\circ}$), as the load application angle increased,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decreased, as did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which occurred later. Following mixed-mode I + II in case of(${\theta}{\geq}75^{\circ}$),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was found to increase, while the fatigue life decreased.

Characteristics on the Vertical Load Capacity Degradation for Impact driven Open-ended Piles During Simulated Earthquake /sinusoidal Shaking, (타격관입 개단말뚝의 동적진동에 의한 압축지지력 저감특성)

  • 최용규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2 no.6
    • /
    • pp.51-64
    • /
    • 1996
  • After the model open-ended pile attached with strain gages was driven into a pressure chamber, in which the saturated microfine sand was contained, the static compression loading test was performed for that pile. Based on the test results, ultimate pile capacity was determined. Then, either simulated earthquake shaking or sinusoidal shaking was applied to the pile with the sustained certain level OP ultimate pile load. Then, pile capacity degradations characteristics during shaking were studied. Pile capacity degradation during two different shakings were greatly different. During the simulated earthquake shaking, capacity degradation depended upon the magnitude of applied loa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pile top was less than 70% of ultimate pile capacidy, pile capacity degradation rate was less than 8%, and pile with the sustained ultimate pile load had the degradation rate of 90%. Also, most of pile capacity degradation was reduced in outer skin friction and degradation rate was about 80% of ultimate pile capacity reduction. During sinusoidal shaking, pile capacity degradation did not depend on the magnitude of applied load. It depended on the amplitude and the frequency , the larger the amplitude and the fewer the frequency was, the higher the degradation rate was. Reduction pattern of unit soil plugging (once depended on the mode of shaking. Unit soil plugging force by the simulated earthquake shaking was reduced in the bottom 3.0 D, of the toe irrespective of the applied load, while reduction of unit soil plugging force by sinusoidal shaking was occurred in the bottom 1.0-3.0D, of the toe. Also, the soil plugging force was reduced more than that during simulated earthquake shaking and degradation rate of the pile capacity depended o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load.

  • PDF

SA106 Gr.C 모재와 용접재의 파괴인성에 미치는 온도와 하중속도의 영향

  • 김진원;박치용;김범년;김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324-329
    • /
    • 1998
  • 본 연구는 주증기배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SA106. Gr.C의 모재와 용접계에 대해서 파괴인성에 미치는 온도와 하중속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양한 온도와 하중속도에서 J-R 시험 및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두 재료 모두 동적변형시효의 영향을 받고 있는 온도영역에서 약 40% 정도의 파괴인성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하중속도에 따른 파괴인성 감소영역은 serration과 인장강도 증가 영역의 하중속도 의존성과 일치하였다. 원자력발전소 운전온도에서 모재와 용접재 모두 하중선변위속도가 4.0mm/min 일 때 파괴인성치의 최저를 보였으며, 하중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동적하중속도(800, 40mm/min)일 때 최대를 보였다. 모재와 용접재를 비교하면 용접재에서 serration이 뚜렸했고, 보다 넓은 온도영역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인장강도의 증가가 보다 고온에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용접재가 모재에 비해 냉각률이 크고 미세한 결정입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망간의 함량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Undrained Behavior of Model Drilled Shafts to Inclined Repeated Loadings (경사반복하중을 받는 모형현장타설말뚝의 비배수 거동)

  • 조남준;박정순;이장덕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3
    • /
    • pp.77-82
    • /
    • 2001
  • 반복하중을 받는 현장타설말뚝에 대한 두 가지의 주요 관심사항은: (a) 지지력의 변화 가능성 그리고 (b) 누적변형량에 의한 기초의 가능성 저하이다. 이러한 인자들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모형점토지반에 설치된 24개의 모형현장타설말뚝에 대한 정적 및 동적경사재하시험(12개의 압축 및 12개의 인발)을 수행하였다. 경사반복압축재하시험에서는 반복하중에 의한 지지력의 변화가 무시할 정도였으며, 누적변형량은 송전철탑의 기능성에 영향을 줄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경사반복인발시험에서는 과도한 누적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현장타설말뚝주변과 점토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면적의 감소 결과, 반복경사인발하중에 의해서 경사인발지지력의 현저한 감소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정적경사인발지지력의 50에서 70퍼센트에 해당되는 반복하중을 받는 대부분의 현장타설말뚝들은 인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