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이 패션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9초

하이패션의 스누드(Snood) 코디네이션에 나타난 이미지 (The Image Expressions of High-Fashion Snood Coordination)

  • 양아랑;이효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6호
    • /
    • pp.1153-116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ordination images seen in comprehensive fashion items and their features. This will be done from the viewpoint of both the creativity as well a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tems and images. For the method of study, I explored the idea of "snood" style, analyzing its features of 42 pictures appearing from the 2006 S/S to 2010 F/W collec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nood" sty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 muffler and turtleneck. With looping design connected at both ends, it can be placed around the neck or head, creating the image of wearing a hood. After having examined the selected data and pictures, one can largely divide the exclusive high-fashion image categories into three types: feminine, avant-garde, and finally, active & functional sportive image. First, the orthodox image is widely accepted by most as it has forever evolved within the original tradition of the practically functional muffler(scarf). Second, since the metamorphic image tends to lend itself to free ideas, you can wear a snood around the shoulders like a collar. Worn together with the same type of clothing, the snood can be seen as an effective suit. Third, the aim of image emphasis is to highlight certain points, or make some features more noticeable, as a means of possibly attracting more interest and attention. The image of snood arises out of the use of shapes, colors, and other accessory parts. As mentioned earlier, snood stands out as an independent item instead of just being an accessory to clothing. Its primary function as a style coordinator is emphasized in order to create more distinctive fashion images. Through this study, I thereby intend to provide fashion style data on the latest trends, and high-fashion codes of snood coordination.

현대패션에 표현된 글래머 룩에 관한 연구 (제1보) (A Study on Glamour Look Expressed in Fashion (Part I))

  • 한수연;양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288-1300
    • /
    • 2006
  • Glamour in fashion, which stands for attractive physical feature with certain mystique, has been used without accurate analysis thereof. This thesis is purported to provide comprehensive study of glamour in fashion and to contemplate glamour look reflected in fashion history, thereby to establish the styles of glamour expressed in fashion trends and to provide the basi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categorical basis of fashion design. For such purposes, this thesis first provides the study on the glamour in fashion, and to conduct a case study by analyzing photographic materials. The glamour expressed in the fashion desig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six aesthetic values: luxury, excess, masquerade, appropriation, sensuality and decadence. In the modern history, glamour looks in fashion design started out as so-called Blooming Age Glamour Look, dating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 the late 1920s, which was represented by luxurious haute couture style of courtesans. Thereafter Golden Age Glamour Look appeared in the movie costumes in the Hollywood from the late 1920s to mid-1950s. Sensuality, decadence and masquerade are the central features. Subsequently, Pop Age Glamour Look appeared with fashion styles of pop stars,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appropriation and excess. In the 1980s and the 1990s, Glamour Renaissance Look appeared as glamour looks which were spread out to people in various clas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luxury and appropriation. Based upon the foregoing historical survey, there are four representative styles in glamour looks, including (1) luxury glamour derived from Blooming Age Glamour Look, (2) hyperfeminine glamour derived from Golden Age Glamour Look, (3) kitsch glamour derived from Pop Age Glamour Look, and (4) romantic glamour derived from Glamour Renaissance Look.

20세기 후반 디자인 트렌드의 형성요인과 색채 트렌드 분석 (The Analysis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Design Trends and Color Trends in the Late 20th Century)

  • 김현경;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5-20
    • /
    • 2007
  •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트렌드의 형성요인 및 디자인 트렌드를 분석하여 메가트렌드와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나타난 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여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를 예측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트렌드의 형성요인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기술 영역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20세기 후반 (1970$\sim$2002년) 메가트렌드의 변화를 분석하고,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을 도출하기 위하여 패션, 공간, 제품, 시각 디자인 분야의 대표적인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세기 후반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를 분석하여 근 미래의 색채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세기 후반 트렌드는 여성적 사고, 자연으로의 회귀, 은둔 속 안식 트렌드로 된다. 둘째, 디자인트렌드의 흐름은 70년대부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하이테크가 지속되면서 80년대 후반 에콜로지를 반영하였다. 90년대, 모더니즘이 다시 부각되고 에콜로지 경향이 지속적으로 디자인에 나타났으며, 2000년대 초, 여성적 사고와 자연으로의 회귀로 대표되는 트렌드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20세기 후반 디자인의 색채트렌드는 Red 중심에서 Purrple Blue 중심으로, grayish 중심에서 dull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근 미래에는 Purple Blue, Yellow Red, Green 색상과 grayish, dull, deep 색조, 여성적이고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무채색 계열이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트렌드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메가트렌드와 디자인트렌드와의 연관성을 규명함으로써 향 후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트렌드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로와 접하는 건물의 경우 모서리부 광고 효과가 지배적이며 대부분 곡선돌출형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서리 저층부를 필로티로 계획하여 보행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대신 입면을 투명하게 하여 간접광고(내부전시)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특히 원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약제재의 변비약 수준으로 변비 개선 효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재료 배합비의 개선이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