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위범주화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75 seconds

A Parsing Technique for Korean Using Shift-Reduce Algorithm (SHIFT-REDUCE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자동 분석 기법)

  • Kim, Jee-E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439-442
    • /
    • 1994
  • 본 논문은 PC 환경에서 한국어 문장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을 제시한다. 상대적으로 어순이 자유로운 언어인 한국어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분식 기법으로 shift-reduce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shift-reduce 분석 기법은 구문론 및 의미론적 하위 범주화어 의한 분석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bottom-up과 left-right에 의한 분석 과정을 보완하여 준다.

  • PDF

The Process of Group Writing and Processes Factor (집단글쓰기수업의 단계별 하위요소 탐색)

  • Kim, Semi;Kim, S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4
    • /
    • pp.585-598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group writing through three steps of group writing course consist of collecting information, organizing information, and revision. A total of 19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science argument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e group writing activity. They made up a group of four or five and chose one subject from among socioscientific issues for group writing. The discussion contents and writing were analyzed inductively to find the group writing components at every ste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onents in the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were (1) sharing information (2) understanding information. and (3)judging information. Second, components in the step of organizing information were (1) categorizing information, (2) decentralization, (3) balancing information, and (4) reflection. The last, process components in the step of revision were (1) unification of form, (2) global review, and (3) improving readability.

Syntax analysis of Korean based on CFG using Sentence Pattern Information as a constraint (문형을 제약 조건으로 하는 CFG 기반의 한국어 구문분석)

  • 이현영;황이규;배우정;이용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190-192
    • /
    • 1999
  • 한국어는 용언이 의미적 제약을 통해 문장을 지배하는 SOV 구조의 언어이다. 또한, 조사나 어미와 같은 기능어의 발달은 물론 관형절은 내포하는 문장이 주류를 이룬다. 따라서 한국어의 구문분석은 부착에 따른 많은 구문 모호성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건단일화 기반의 CFG문법을 기술하고 문형을 구문 제약으로 하여 구문모호성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문형은 한국어의 특성을 용언의 하위범주화에 맞게 재분류한 문장의 구조적 유형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형은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여 39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런 문형 정보를 이용하여 관형형 어미를 갖는 용언이 최대의 정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관형절에서 발생하는 부사 및 체언구 부착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문형은 이중주어나 이중 목적어 문장을 처리할 수가 있어 한국어에서 발생하는 많은 구문모호성을 해결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vocabulary instruction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 on English verbs (의사소통 능력을 높여주는 어휘 지도에 대한 연구: 동사를 중심으로)

  • Kim, Bu-Ja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 /
    • v.12 no.1
    • /
    • pp.131-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English vocabulary which is geared toward improving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focuses on English verbs, which may be followed by patterns according to subcategorization. Learning verbs must include learning about patterns as well as meaning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verbs receptively and productively, or communicative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language progression proposed by Willis (2003), a teaching strategy which helps learners learn English verb patterns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was proposed. The effect of the teaching strategy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learned English verb patterns intentionally through the teaching strategy proposed by this study significantly improved themselves in the ability to use them receptively and produc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the teaching strategy including improvisation, recognition, rehearsal, system building, exploration and consolidation is helpful to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 PDF

Korean Dependency Parsing Using Statistical/Semantic Information (통계/의미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의존 파싱)

  • Jang, Myung-Gil;Ryu, Pum-Mo;Park, Jae-Deuk;Park, Dong-In;Myaeng, Sung-H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313-319
    • /
    • 1997
  • 한국어 의존 파싱에서는 불필요한 의존관계의 과다한 생성과 이에 따른 다수의 구문분석 결과 생성에 대처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존 파싱 과정에서 생기는 불 필요한 의존관계에 따른 다수의 후보 의존 트리들에 대하여 통계/의미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 트리를 결정하는 구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구문 분석에서 사용하는 통계/의미 정보는 구문구조부착 말뭉치(Tree Tagged Corpus)를 이용하여 구축한 술어 하위범주화 정보 사전에서 얻었으며, 이러한 정보를 활용한 구문 분석은 한국어 구문 분석의 모호성 해소에 적용되어 한국어 구문 분석의 정확도를 높인다.

  • PDF

Developing Knowledge-Based Korean Syntactic Parser In terms of Mobile Configuration and Marker Theory (모빌구조와 표지 개념에 의한 지식기반적 한국어 구문분석기 개발)

  • Woo, Soon-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84-190
    • /
    • 2003
  • 이 글은 활용 개념과 수형도를 근간으로 기술되어 온 한국어 문법 모델에 대한 대안으로 표지 개념과 모빌 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한국어 구문분석기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조사와 어미를 독자적인 토사 단위인 표지로 처리함으로써 국부 구조의 통사 범주와 문법적 기능을 명확하고 일관되게 구분할 수 있으며, 모빌 구조는 한국어의(상대적) 자유 어순 현상을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이에 의거한 문법 모형은 언어학적 지식과 구문분석 엔진 사이의 독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향후 구문분석기의 성능 개선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구문분석기는 언어학자에 의해 구축된 지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지식기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동사의 하위범주화 정보, 첨어 유형정보, 의미정보가 핵심적인 언어 지식으로 이용된다. 모빌 구조에 의한 구문분석은 국부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구문적 중의성을 최소화하며, 의미정보는 주어진 술어의 논항적 자격을 검증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여 구문적 중의성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 PDF

Development of Broad-Coverage Korean Dependency Parser BCD-KL-Parser (한국어 구문분석 시스템 BCD-KL-Parser의 개발)

  • Kim, Minho;Kim, Seongtae;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7
    • /
    • 2018
  • 본 연구진은 모든 형태소 분석 후보에 적절한 의존관계를 부여하여 구문분석 트리 후보를 순위화하여 제시하는 한국어 구문 분석 시스템 BCD-KL-Parser를 개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최종목표는 형태소 분석후보와 구문분석 트리 후보를 줄여나감으로써, 구문분석의 정확도와 실행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BCD-KL-Parser에서는 형태적 중의성 해소규칙을 정의하여 형태소 분석후보의 수를 줄이고, 용언의 하위범주화 정보와 선택제약 정보 그리고 의존관계 제약규칙을 정의하여 구문분석 트리 후보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21세기 세종계획 구문분석 말뭉치'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2,167문장에 대하여 UAS 92.27%를 달성할 수 있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Image electronic Dictionary to Study Language for Speech Disorders (언어장애인의 언어학습을 위한 이미지 전자사전의 구축)

  • Cho, Jin-Kyoung;Ryu, Je;Han, Kwa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669-672
    • /
    • 2005
  • 단어가 지니는 의미를 이미지로 처리하면 그 단어의 이미지가 단순화되면서 높은 인식률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여 언어장애인들을 위한 유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학습도구에 하나로 이미지 전자 사전을 구축하고자 한다. 우선 동사와 조합되는 용어들의 패턴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그 패턴들을 영역과 자질의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그 카테고리에 속하는 기본 데이터들을 정리하여 분류된 데이터를 하위범주화 방식을 통해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더욱이 언어장애인들이 많이 쓰이는 단어를 조사하고, 그 단어를 중심으로 한 모듈을 이용하여, 각각에게 해당되는 이미지를 수집함으로 단어들의 의미를 표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언어장애인이 직접 명사와 동사를 조합하여 그 완성여부를 검토할 수 있는 학습기능을 추가함으로 인해 보다 실생활에 유용하고 교육적인 이미지 전자 사전을 구축하였다.

  • PDF

Parallels between Korean Verbs and Nouns in Subcategorization (한국어 동사와 명사사이의 하위범주화에 있어서의 평행성)

  • 노용균
    • Language and Information
    • /
    • v.1
    • /
    • pp.27-65
    • /
    • 1997
  • Nouns in the Korean language are subcategorized for various frames(called SUBCAT lists) in much the same way as verbs are. Assuming a monostratal grammar and building on analyses of various 'little elements' as clitics, such as the ones given by No(1991), Chae(1995,1996), and Oh(1991), I delineate the ranges of SUBCAT lists for the Korean verbs and nouns and show that the two word-classes have heavily overlapping frames. Twenty five SUBCAT lists are identified for verbs, and twenty four for nouns, of which twenty three find associated lexical items in both. By the way of justification, I offer analyses of noun--verb collocations in terms of the new five-valued syntactic feature COLLOC along with SUBCAT, which subsume 'light verb' constructions. It is hoped that this work will have given clear syntactic underpinnings to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practical lexicography.

  • PDF

Maximally Efficient Syntactic Parsing with Minimal Resources (최소자원 최대효과의 구문분석)

  • Shin, Hyo-P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242-248
    • /
    • 1999
  • 이 논문은 지역적 동사구 분할에 바탕을 두고 서술어가 문말에 위치하는 언어에 특성에서 기인하는 속성을 반영하는 부분적 그러나 빠른 구문분석에 관해 논한다. 즉 완벽성 보다는 신속함 그리고 신뢰에 바탕을 둔 새로운 한국어 구문분석에 대해 논의한다. 기존의 문법이론 대신 한국어의 형태적 통사적 특성에 기인한, 성분들의 분할(partitions)에 의한 단위 (chunks)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근간은 동사구 장벽(VP-barrier) 알고리즘이며, 이 알고리즘은 한 문장안에서의 다양한 동사의 파생접사에 의해 형성되는 관형화, 명사화, 부사화 등의 파생구조와 내포된 동사구(인용문, 종속문 등)에 의해 형성되는 지역적 동사구내에서 그 성분들의 논리적인 분할을 구성하고 다시 그 다음 요소와 체계적으로 결합하는 관계로 확장하여 가능한 구조들을 생성한다. 다시 언어의존적인 발견적 규칙(heuristics)들을 점수화하여 가장 높은 점수의 단위구조를 적격한 구조로 선택한다. 이 방법은 하위범주화 및 의미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빠른 구문분석이 요구되는 시스템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집단적인 노력이 아닌 개인적인 노력 및 최소의 자원으로도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