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어튜터링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Analysis of Learning Efficiency of Computer Programming Classes with Peer Tutoring (피어 튜터링을 적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 Ahn, You-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43-24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단계별 학습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피어 튜터링 제도를 적용하여 정규 수업과 병행하여 운영하고 피어 튜터링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참여 전과 후의 성적 변화를 비교해봄으로써 피어 튜터링 제도가 단계별 학습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분석해본다.

  • PDF

An Analysis of Study Achievement based on Learning Types for Peer Tutoring Learners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피어 튜터링 학습자의 학습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 Ahn, You Jung;Kim, Kyong-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39-34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수업과 병행되어 운영된 피어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 참여한 튜터링 팀의 구성원들의 학습 수준 차이 정도와 튜터링 운영 방법 및 자신의 역할에 따라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tudent Initiated Learning Community(Peer Tutoring)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 Sun, Bok-Keun;Kim, Byeong-Sam;Jung, Joon-Oh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2 no.4
    • /
    • pp.126-134
    • /
    • 2009
  • The deterioration of freshmen's scholastic performance has been markedly intensified and this phenomenon leads to serious problem in managing a college curriculum. In this study, peer tutoring, as a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in Hoseo university, was introduced and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on freshmen's scholastic performance was analyzed. In managing the program, a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guided, a systematical network was built up among participants, tasks were assigned to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peer tutoring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s, increased the leadership and responsibility as well as helped to enhance the interest in studying and improved the scholastic performance for both tutors and tutees.

Study about Tutoring Learing Performances of the Selection Methods of Tutors (튜터 선정이 튜터링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 Ahn, You Jung;Kim, Kyung-Ah;Oh, Suk;Park, Byoung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415-4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피어 튜터링 교수법을 적용하여 단계별 수준별 학습을 수행하고자 할때 튜터의 선발 방법에 따라 튜터링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두 가지 수업 유형에 각기 다른 튜터 선발 방법을 적용하여 운영해보고 그에 따른 튜티들의 학습효과를 분석해보았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GF(Tutoring Game in Flipped Learning) for Game Programming Course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한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피어튜터링에 관한 연구)

  • Choi, YoungMee;Kim, SeongJo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5 no.1
    • /
    • pp.125-134
    • /
    • 2015
  • This paper designs a peer tutoring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for effective game programming(TGF), suggests a result of survey and a lesson learned from game programming in terms of students' and professors' perspectives in hands-on program training using Snake game programming as an applied example. The TGF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of game programming course.

An Analysis of Computer Programming Learning Efficiency Depending on the Way of Learning Community Organization (학습 공동체 구성 방법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93-29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피어 튜터링을 적용할 때 팀 구성 방법을 다르게 하여 참여 학습자들의 성적 변화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팀 구성시 친분보다는 수준을 고려할수록 성적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며 특히 친분에 의한 팀 구성시 학습자들의 학습 수준 차이가 크면 상위 학습자 성적 하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uter Programming Ability for The Learners Participated in Custom Learning Programs (수준별 맞춤형 프로그램 학습자들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95-29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규 수업과 병행하여 운영된 수준별 맞춤형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능력 향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준별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수준별 전공스터디와 피어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참여 학생들이 별도 학습을 통해 얼마나 실력 향상이 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자들과 비참여자들의 상대적인 성적 변화를 분석한다. 나아가 참여 학생들이 졸업 후의 취업률과 취업 분야 그리고 고용상태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실력 향상이 원하는 분야로의 취업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도 분석해본다.

  • PDF

An Analysis of Programming Learning Efficiency for High-Leveled learners based on Types of Learning Communities (학습 공동체의 유형에 따른 상위 수준 학습자들의 프로그래밍 학습 효과 분석)

  • 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259-26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1년 과정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상위 수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학습을 위한 다양한 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을때 어떤 유형이 상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한 상위 학습자가 튜터로 참여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 성적 변화가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가르치는 활동이 본인의 학습 이해도를 높이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 PDF

A Case Study of Programming Languages Education using Learning Community (학습 공동체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 사례 연구)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333-334
    • /
    • 2013
  •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은 컴퓨터 분야의 필수 과목으로 교육되고 있으나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지전문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튜터링 제도를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를 활용한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학습 공동체 프로그램의 참여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활용 결과 학습자들의 성적이 단기간의 프로그램 참여로 많이 향상되지는 않았지만 튜터와 튜티 모두 프로그래밍 과목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고, 수업 참여도가 높아졌으며, 참여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여 탈락자 감소에는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Learning Models Personalized for High-Leveled Learners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es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상위 학습자들의 맞춤형 학습 유형 탐구)

  • Ahn, You-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45-24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상위 수준 학습자들을 위한 맞춤형 학습 모형 사례들을 살펴본다. 동일한 학습자들에게 여러 가지 학습 모형들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효과적인 학습 유형이 어떤 것인지 탐색해보고 그 학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들의 성적 변화를 분석해봄으로써 상위 수준 학습자에 적합한 맞춤형 학습 모형을 탐구해가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