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부자극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rrelation of Active Ingredients and End-use Products Pesticide o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농약원제 및 제품 간의 자극성 및 감작성 상관성 평가 연구)

  • Lee, Je-Bong;Shin, Jin-Sup;Park, Yeon-Ki;Jeong, Mi-Hye;Hong, Soon-Sung;Im, Gun-Jae;Kang, Kyu-Young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4 no.2
    • /
    • pp.79-85
    • /
    • 201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review the potentials of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of active ingredients and end-use products of pesticides for pesticide registration, prediction of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and data requirements for other purposes. Pesticide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referred to the Pesticide Manual(14th edition), while toxic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data submitted by the pesticide registrant. Totally 148 active ingredients and 149 end-use product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positive response, formulation type, and correlation between active ingredients and products. Among active ingredients, ratio of positive response to skin irritation, eye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were 18.8, 47.0 and 20.6% respectively. While, positive response to skin irritation, eye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of the products were 14.9, 38.9 and 23.6%, respectively. Emulsifiable concentrate showed the highest positive response among formulation types showing skin irritation 31.3%, eye irritation 81.3%, and skin sensitization 31.3%. On the other hand granule type showed the lowest response with skin 4.8, eye 14.3 and sensitization 14.8%. There was no correlation by active ingredient content o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of products. However, both active ingredients and products showed same positive response were skin 73.1%, skin sensitization 66.2%, and eye irritation 44.7%. By the these results, correlation between technical grade of active ingredients and end-use products would be use for pesticide management at the screening stage, especially skin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Recent Research Trend in Soft Tactile Sensor for Electronic Skin (전자피부(E-Skin)용 유연 촉각센서 연구동향)

  • Jee, Eunsong;Kim, Joo Sung;Kim, Do Hwa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1 no.1
    • /
    • pp.3-18
    • /
    • 2018
  • 전자피부(Electronic skin)는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는 인간 피부의 기능을 대체하여 외부 자극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인공피부로써, 최근 인간과 전자기기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피부의 주된 기능인 외부 물리적 자극을 인지하는 촉각을 모방하는 촉각센서는 많은 발전을 거쳐 왔으며,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촉각센서는 압력, 인장, 굽힘과 같은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며, 물리적 자극 신호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인지하는 연구들이 폭넓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소자의 구조에 따라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다양한 변환 방식들이 있으며, 최근에는 각 신호 변환 방식의 민감도, 반응속도, 자극 인지 범위 등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소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재의 변형을 주거나 생체의 기관 구조 및 외부 자극 인지 원리 등을 모사한 연구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촉각센서의 물리적 자극 신호 변환 방식과 소재 변형 및 생체 모사를 통한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촉각센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출평가를 위한 BEI 근거 - SODIUM HYDROXIDE(1)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53
    • /
    • pp.29-33
    • /
    • 2017
  •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의 직업적 노출에 대한 TLV-Ceiling은 $2mg/m^3$으로 권고하였다. 권고수준은 수산화나트륨 에어로졸이 눈, 점막, 피부에 심한 자극을 유발하고 수산화나트륨 분진이 상기도 기관에 자극을 유발하는 농도에 근거하였다. 노출기준은 눈과 상기도 기관에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권고하였다. 고농도의 수산화나트륨에 장기간 노출되면 비강 궤양과 눈과 피부에 심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 "감작제(SEN)", "발암성"의 경고주석을 권고하기에는 유용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

  • PDF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for Skin-care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 개발)

  • Lee, Jeon;Kim, Chi-Hyun;Chung, Geum-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9 no.1
    • /
    • pp.12-19
    • /
    • 2012
  • Recently, the market of skin-care device has been steadily growing up. In this paper, we tried to develop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more competitive than existing products. As the compound stimulus, biochemical stimulus of herbal extraction fluid, thermal stimulus of plate-shaped carbon fiber heater, and optical stimulus of near infrared LED were selected. By some evaluation tests, the thermal stimulation part and the optical stimulation part were found to be developed properly. Additionally, the efficacy of the mixed stimulus of thermal and optical stimulation was tested in C2C12 mouse myoblast. Through RT-PCR analysis, it was found that, by the developed compound stimulus, the expression of collagen I mRNA and collagen III mRNA increased by 4.9 and 1.3 times respectively.

Neural Correlates and Electrodermal Activity Produced by Humor and Joy (유머와 기쁨에 따른 뇌 활성화와 말초의 피부전기 반응)

  • Suk Ji-A;Jang Eun-Hye;Lee Ok-Hyun;Lee Young-Chang;Soh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73-3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뇌의 반응과 말초신경계의 변화를 통하여 유머와 기쁨의 긍정적인 정서의 구분이 가능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fMRI와 말초신경계 반응 측정 실험 각각을 수행하는 동안, 유머와 기쁨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 자극(2분)이 제시되었고, 실험이 끝난 후 심리적인 평가도 함께 수행되었다. fURI 실험은 boxcar design으로 한 session 내에 두 block으로 구성되었다. 말초신경계 반응실험에서는 안정상태와 정서상태에서의 피부전기 반응을 측정하였다. fMRI 결과, 유머자극과 기쁨자극 제시 시 공통적으로 precentral Cortex, temporal Cortex, precuneus 가 활성화 되었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우측 middle temporal cortex, 우측 inferior frontal cortex, 좌측 middle frontal cortex 에서 큰 활성화를 보였다. 피부전기 반응(EDA) 분석 결과 두 정서 모두 안정상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피부전도수준(SCL)과 피부전도반응의 수(NSCR)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Tactile Emotion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of EEGs (뇌파의 시가-주파수 분석을 통한 피부감성평가)

  • 임재중;손진훈;강대임;여형석;김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90-93
    • /
    • 1997
  • 외부환경의 변화에 의한 감성의 상태를 특정 자극을 인식한 후 나타나는 생리신호의 정량적인 분석기법을 개발함으로써 감성과 생리신호간의 상관관계를 찾고자 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자극은 모터를 이용하는 자극기를 제작하여 부드러운 천과 거친사포를 피검자의 왼손바닥에 제시하였다. 그리고, 피검자에게 피부자극을 제시할 때 피검자가 자극의 특성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뇌파를 검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서는 nonstationary한 신호분석에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wavelet변환을 이용한 시간-주파수 EEG 신호의 특정범위에서의 시간-주파수 에너지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자극시의 뇌파와 자극시으 뇌파를 비교하였을 때 부드러운 자극을 제시한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에너지가 우세함을 보였으며, 거친 자극에 대해서는 20-30Hz대역에서의 우세한 에너지 분포가 관찰되었다.

  • PDF

Clinical research on the skin saftey of the human derived lactic acid culture (인체 유산균 배양액의 피부 안전성 임상 연구)

  • Min, Kyung-Nam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7
    • /
    • pp.123-129
    • /
    • 2022
  • It was to establish the usage possibility as cosmetic material by testing stimul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which were cultured from human scalp's dead skin cell by patching it to the skin in the form of solubilized essence. Cultured L. mesenteroides diluted to 1% concentration and essence which contains it were patched to 31 and 32 participants' back each for 24 hours and established the stimulus figures by the specialists in 30 minutes,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hey were taken off. They are both revealed as non-stimuli due to the result of 0.011 and 0 points each and therefore they are safe when used as skin product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test and the other previous studies which reported the L. mesenteroides as anti-allergic,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L. mesenteroides is usable for cosmetics and worth further research.

Patterns of Autonomic Responses to Affective Visual Stimulation: Skin Conductance Response,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Vary Across Discrete Elicited-Emotions (정서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패턴: 유발정서에 따른 피부전도반응, 심박률 및 호흡률 변화)

  • ;Estate M. Sokhadz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79-91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IAPS(국제정저사진체계) 사진자극에 의해 유발된 각각의 주관적 정서상태에 특정적인 자율신경계 반응이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부정적 정서(분노, 슬픔, 놀람)와 긍정적 정서(행복, 흥분)를 유발하는 IAPS사진을 각 60초 동안 제시하였을 때 유발되는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을 측정하였다. 시각자극이 주어진 초리 30초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심박률 감속 및 호흡률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뚜렷한 피부전도반응이 출현하였다. 심박률 감속은 혐오보다 흥분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피부전도반응의 진폭은 혐오보다 흥분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부전도반응의 진폭이 상승하는 시간은 슬픔, 행복, 놀람보다 혐오에서 더 짧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자율신경계 반응(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은 정서상태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며, 특정 정서상태에서 자율신경계 반응은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매우 전형적인 반응패턴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 특정적인 자율신경계 반응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해주며, 생리신호분석을 통해서 심리적 정서를 결정할 수 있는 형판(template)의 구성을 위해서 다양한 자율신경계 정서반응의 지표를 포괄적으로 측정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

Zymomonas mobilis에 의해 생성된 Fructan (Levan)의 특성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개발

  • 이재섭;양은경;이정하;김철호;박수남;이종원;김기호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8 no.1
    • /
    • pp.186-201
    • /
    • 2002
  • Fructan(Levan)은 식물체 및 미생물에서 발견되는 탄수화물로 이는 과당(fructose)이 $\beta$-2, 6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polysaccaride 이다. 본 연구에서는 Fructan을 생성하는 미생물(Zymomonas mobilis)과 10% sucrose(기질), 1-2% 효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30-37$^{\circ}C$, pH 5.0-7.0에서 20-24시간 동안 배양한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3배량의 알코올을 가하여 침전, 건조하여 얻은 Fructan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보습효과에 있어서는 Hyaluronic acid와 유사하였으며, keratinocyte에 대한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3-D culture에 의해 구축된 생인공 피부내에 0.05%의 sodium lauryl sulfate (SLS)를 사용하여 피부자극에 의한 초기 염증 반응을 유도한후 0.01mg/m1, 0.05mg/m1의 Fructan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SLS만을 처리한 생인공피부와 비교하여 세포증식효능을 보였고, SLS 자극물질로 유도된 전염증성 조절인자인 interleukin-l$\alpha$(IL-l$\alpha$)의 분비량을 조사 하였을때 0.01mg/ml, 0.05mg/ml의 Fructan을 처리한 생인공피부의 IL-l$\alpha$ 양이 Fructan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Fructan이 생인공 피부내 피부 세포의 증식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또한 피부자극물질에 의한 염증반응에 대해 자극완화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섬유아세포 및 동물을 이용한 안전성 시험에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원료로 평가되었다.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Studies on Natural Dyes Extracted from Chrysanthemum (국화로부터 추출한 천연염료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및 피부자극성 시험에 대한 연구)

  • Kwon, Jung-Ki;An, In-Jung;Lee, Jin-Seok;Kim, Hae-Ri;Park, Ha-Seung;Kim, Dong-Chan;Choi, Byung-Jun;Lee, Kyu-Min;Park, Yong-Jin;Jung, Ji-You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7 no.2
    • /
    • pp.188-193
    • /
    • 201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o acute oral toxicity and skin irritation of Chrysanthemum dye in Sprague-Dawley (SD) rats. SD rats were orally treated with Chrysanthemum dye at a dose of 0, 1 and 2 ml/kg body weight.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 rats were observed for 14days. In primary skin irritation test, SD rats were dermally treated with Chrysanthemum dye and observed for 3 days. To ensure the safety of Chrysanthemum dye such as the following were observed and tested. We examined the body weight, the feed intake, the clinical signs, the ophthalmological test, the histopathological test, the mortality and skin irritation.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weight, feed intake and histopathological test between control and Chrysanthemum dye treated group. In the result of skin irritation test, Chrysanthemum dye did not induce erythema and edema after topical application. Primary irritation index was "0" in the tes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hrysanthemum dye has no effect on acute toxicity and side effect in SD rats and is non-irritant material based on the score "0" of primary irritation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