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부미용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nstructing a Dataset for Assessing Skin Condition in Koreans for AI-Personalized Customized Skin Diagnosis (AI 초개인화 맞춤형 피부진단을 위한 한국인 피부상태 측정 데이터 구축)

  • Jeongho Lee;Juyeol Yang;Minseo Choi;Sang-Il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698-700
    • /
    • 2023
  • 최근 들어, 미용 상품을 선택하기 전에 자신의 피부 타입과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상품을 선택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기술적 요소의 중요성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피부 상태 측정을 위한 데이터셋이 한국인을 대상으로 측정한 데이터셋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피부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 정밀 피부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측정한 정밀 값, 그리고 피부과 전문의가 진단한 피부상태 진단 등급 데이트를 통합하여 제공을 한다. 추후 제작한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미용상품 추천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자 한다.

A Design of Application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gnition for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Skin Diseases (딥러닝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개인 피부질환 식별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 Bae, Chang-Hui;Kim, Hyeong-Jun;Cho, Won-Young;Ha, Ok-K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33-34
    • /
    • 2020
  • 사용자의 피부 관리 및 피부질환을 검사하는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은 유도 질문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기반으로 결과를 유추하기 때문에 부정확한 진단 결과를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미용관련 피부질환 이미지를 바탕으로 딥러닝 이미지 인식 기술 적용하여 건선, 사마귀, 여드름, 한포진을 대상으로 피부 미용질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시한다. 또한 이미지 인식률이 높은 ResNet과 SE-ResNe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피부질환 식별 적용 시 효과성을 실험적으로 비교한다.

  • PDF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for Skin-care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 개발)

  • Lee, Jeon;Kim, Chi-Hyun;Chung, Geum-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9 no.1
    • /
    • pp.12-19
    • /
    • 2012
  • Recently, the market of skin-care device has been steadily growing up. In this paper, we tried to develop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more competitive than existing products. As the compound stimulus, biochemical stimulus of herbal extraction fluid, thermal stimulus of plate-shaped carbon fiber heater, and optical stimulus of near infrared LED were selected. By some evaluation tests, the thermal stimulation part and the optical stimulation part were found to be developed properly. Additionally, the efficacy of the mixed stimulus of thermal and optical stimulation was tested in C2C12 mouse myoblast. Through RT-PCR analysis, it was found that, by the developed compound stimulus, the expression of collagen I mRNA and collagen III mRNA increased by 4.9 and 1.3 times respectively.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황선아;황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4-45
    • /
    • 2001
  •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개성적 표현 욕구에 따라 우리나라 미용산업은 헤어, 메이크업과 피부미용, 네일케어 분야로 전문화.세분화되면서 토탈 패션산업의 주요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 한 토탈 패션의 등장으로 미용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로 양적으로는 상당히 그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스 품질에 대해서는 고객들에게 확실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내 미용업계가 미용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일방적인 서비스를 창출하여 왔고, 고객이 바라는 서비스의 내용과 품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과 소비자 만 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ulcorner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중 소비자 만족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은 무엇인가\ulcorner 본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실, 시내중심가 미용실 그리고 집.직장 근처 미용실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은 그 규모나 소비 자 인식이 상이하여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조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대상은 서울 지역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중 2 20-30대의 주요 고객층으로 정하였고 편의 표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외 alpha값을 활용하였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의 개념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ISREL을 이용한 확인 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DV A)을 실시하였으며, 서비스품질 속성들 중 소비자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는 물리적 서비스(유형성, 접근성, 청결성), 판매원 관련 서비스(감정배려, 능력), 정책관련 서비스(점포운영, 명성, 신용카드) , 미용기술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있어서 점포 유형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서버스 품질에 가장 만족했으며, 시내중심가 미용실과 집근처 미용 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일을 살펴보면, 프랜차이즈 미용 실은 청결성($\beta$ =.30), 감정배려($\beta$ =.54), 명성($\beta$ =.60),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이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내중심가 미용실은 청결성($\beta$ =.39), 직원의 능력($\beta$ =.49), 명성($\beta$ =.59),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가 서비스 결정 요인이었고, 집근처 미용실은 청결성($\beta$ =.27), 감정배려 ($\beta$ =.57), 명성($\beta$ =.73),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 ($\beta$ =.60)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은 청결성, 감정배려, 명성, 상품관련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의미는 그 동안 개발된 소매점이나 패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기척도를 우리나라 미용실에 적용해 봄으로써 미용실의 특성인 유행성, 청결성, 미용실의 명성, 직원과의 친분 등을 포함한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차원과 그 신뢰성 과 유용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각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들을 통해서 좀 더 나은 미용서비스를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는데 실질적 의미를 지닌다.

  • PDF

The suggest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for improving certificate utilization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kin care (피부미용전공자의 자격증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재편성 제안)

  • Hong, Mi-Sook;Kim, Yun-J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1
    • /
    • pp.536-543
    • /
    • 2017
  • Most of Korea's beauty college education focuses on the subject rather than the industrial field of the industrialized world. It is centered on subjects rather than on-site job modules, and training sessions are required for graduation of the training period rather than having flexible configurations. Therefore,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industrial field training are becoming mismatched because of the goal of acquiring a certificate in skin care major subjects. Based on this problem,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about the certificate utilization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kin care and 294 students were surveyed. It was found that it had a high degree of utilization to take a job, but that it had below normal level on utilization after entering the industrial field.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I propose to review the need to reorganize the skin care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eginning in 2014. Education experts at the college of skin care should continue to develop a curriculum centered on academic subjects and industrial field curriculum as closely as possible, by focusing on the direction and trend of the industry's branches and industry experts.

A Study on Women's Preference for the Use of the Esthetic Shop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kin Beauty Home Care (여성의 피부 관리실 이용 선호도 및 피부 미용 홈 케어 만족도 조사 연구)

  • Kim, Hyeon-S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5
    • /
    • pp.288-295
    • /
    • 2021
  • This study includes online and offline surveys of 255 people conducted from March 11-29, 2021, into women's preferences in esthetic shops, and examines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skin and beauty home ca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o obtain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Cronbach's α and a frequency analysis, and applied a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the results on preferences in esthetic shops, the largest number of respondents (56.1%) said they use professional esthetic shops, but those in their 20s and office workers (57.1%) preferred dermatology clinics. When choosing esthetic shops, the importance of employee skill (skilled, trendy) was high (38.8%), and in skin care, the importance of knowing basic cosmetics use (M=4.47), such as cleansing and functional cosmetics (M=4.20), was very high. According to results on the current status of home care for skin beauty, other factors of highest importance (M=4.50) were in terms of marriage, being a university graduate (M=3.84), and experience in a service job (M=4.06).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not only specializing in skin beauty but also combining professional esthetic shops and home care.

A Study on Skin Health Knowledge and Treatment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 and non-major in skin care- (피부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리에 관한 연구 -피부미용 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을 중심으로-)

  • Choi, Sung-Im;Kwon, Young-Nang;Lee, Geai-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2886-2894
    • /
    • 2012
  •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female university students' concern with beauty care, their skin condition, knowledge and treatment comparing the majors with the non-majors in Seoul. This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m focused on their education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beauty care in the same living spac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jors' average point on the concern with skin health care was higher than the non-majors(p<.01). There were more combination skin type in the major group, and more dry skin type in the non-major group. Also,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two groups in frequency of double cleansing after makeup, exfoliating, massaging or applying mask packs, using sunscreen(p<.01, p<.001, p<.01, p<.01). Further, intake rates of instant food and moisture were meaningfully different between them(p<.001, p<.05). In addition, the majors more tended to purchase cosmetics efficiently through lots of channels, and showed more active attitude to buy high-price cosmetics with outstanding properties although they have financial burden(p<.001). It wa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in skin care industry and education are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