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시설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Equipments for Units in High-rise Apartment (고층 공동주택의 세대 내 피난시설의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Se-Hong;Sa, Jea-Chun;Jang, Young-Jin;Lee, Jae-Moon;Nam, J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183-186
    • /
    • 2011
  • 모든 공동주택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피난시설은 고층부분에서 사용의 제한, 세대 간 보안 및 사용자의 제약 등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되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공동주택의 용도 특성상 조기 피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화재 때문에 세대 내 출구가 폐쇄되고 재해약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우며, 화염과 복사열로부터 안전을 해결하기에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보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완강기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피난방법이 적용된 피난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피난대피시설"은 공동주택 발코니 또는 외벽에 콤팩트(compact)하게 접혀 있다가 화재 시 수동 또는 감지기와 연동해 쉽게 작동되어 대피공간 용도와 유사시 자력으로 피난층까지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화재실과 접하는 부분은 $1,200^{\circ}C$의 복사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소재로 구성되며 1차적으로는 화재 장소에서 외부 공간으로 일탈한 후에 2차적으로 아래층으로 사다리를 이용하여 피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연구개발의 주안점은 화재 시화염과 복사열로부터 공간 일탈을 하여 재실자를 보호할 수 있는 대피공간의 개념과 피난시설에서 피난층으로 피난할 수 있는 적극적인 피난방법을 접목한 것이 피난시설 개발의 핵심이다.

  • PDF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Evacuation and Evacuation Facility due to Fire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화재에 따른 피난 및 대피시설의 효율성 제고 방안)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83-286
    • /
    • 2016
  • 국내에 다수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의 공동주택 중 대피공간 규정이 신설된 1992년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은 현재에도 대피공간 및 피난시설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계획 및 시공, 준공된 준초고층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대피공간 및 이에 준하는 시설은 사생활 침해 및 타 용도 공간 활용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피난 및 대피공간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타 시 도의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관련 현황 및 사례 조사와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피난시설 및 대피공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성이 높은 대피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 및 인센티브 제도, 가이드라인 등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gulation Plan of Evacu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Cinema User (영화관 이용자의식에 기초한 피난시설 규제방안 연구)

  • Chung, Pyung-Rah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3
    • /
    • pp.105-11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suggestion regarding how to make systematically improve the evacuation facilities of the cinema which is a large indoor space and utilizing by a numerous people. For the first, as a method of study, an analyzed on researching documentary recorders which are concerned with building codes regarding the evacuation facilities of cinema is made, and Secondary, carried out a survey of questionnaire for finding what the most audiences' idea regarding evacuation facilities of the cinema while they are utilizing the facilities,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In the focus of the users, the result of analyzation reveals that as the item of practical facilities such as width and number of exit ways from viewer seats, width of corridors are highly suggested to improve practical system.

Research on Awarness and Improvement of Subway Evacuation Facilities (지하철 피난시설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Jung Myungjin;Kim Dongsu;Kim Yeongjun;Kim Yein;Lee Soobin;Lee Inkyoung;Jeong Hoseung;Pyun Seo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507-516
    • /
    • 2024
  • Through the use a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subways have become a represent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city center. Due to the extension of subway line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way users, there is a risk that safety for evacuating human lives in case of fire will not be secured.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citizens' perceptions of evacuation faciliti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find alternatives. An online survey of 115 subway passengers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citizens' awareness of subway evacuation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awareness of evacuation facilities was high in the order of guidance lights, life-saving devices, emergency lights and portable lights, special evacuation stairs, and evacuation stair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ere not well aware of evacuation facilities, and people's indifference was the most common cause. As a solution to the lack of awareness, responses to active advertising and promo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activities were the highest.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vacuation Safety in Welfare Facilities of Handicapped (장애인 복지시설의 피난안전성평가에 관한 연구)

  • Hong, Hae-Ri;Seo, Dong-Goo;Kwon, Young-Sook;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44-347
    • /
    • 2011
  • 최근 대형화된 재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축물의 피난설계가 중요시 되고 있지만 일반인에 비해 재해 시 피난이 곤란한 재해약자가 이용하는 시설에서의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피난안전성평가를 실시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장애인시설의 피난안전을 위해서는 피난개시시간, 엘리베이터 피난, 내장재, 발코니 유무, 출구 폭 등의 문제점에 관한 대책이 시급하며 또한 성능기반 피난안전설계 의무화가 우선시 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피난기구의 적응성 비교 연구

  • Choe, Gyu-Chul;Na, P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2-13
    • /
    • 2013
  • 국가화재안전기준(NSFC 3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방대상물별 피난기구를 선정하여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상황을 가상하여 행동실험을 통해 피난기구별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순한 체험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노인요양시설이나 유아교육시설과 같은 피난 시 협조자의 도움이 필요한 시설에서의 피난기구 선정은 현 기준에서 제시한 다수의 피난기구가 그 적응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ire Safety Facility Codes and Analysis of Field Conditions of Emergency Light (피난유도등의 화제안전시설기준 및 현장실태조사 분석)

  • Kim, Hyang-Kon;Kim, Dong-Ook;Kim, Dong-Woo;Lee, Ki-Y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3-2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유도하는 피난유도시설의 설치기준과 지하철역사, 대형편의점(마트), 종합병원 등 의료시설, 학교 등 교육시설과 같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건축물에 설치된 피난 유도등의 현장적용사례와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건축물에서 재실자의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예상되는 인명 안전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소방시스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화재 발생 위치와 확산 경로에 관계없이 획일적으로 피난 방향을 표시하고 있는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최적의 피난 경로를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활용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ire Equipment in Multiple Complex Center (다중 복합문화센터에서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Kim, Kwang-Tae;Kim, S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1-104
    • /
    • 2012
  • 본 연구는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에서 피난설비 및 피난동선의 적합성 여부와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화재나 비상시에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적정성 여부와 소화설비의 적정한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조사 결과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몰려들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부상의 위험성이 높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시스템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전문성과 적정 유지관리시스템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지하층에서 지상으로 완전 피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 PDF

Social Welfare Facilities Study on Fire Safety Management (사회복지시설 화재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Kyu-Chool;Lee, Ki-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13-217
    • /
    • 2011
  • 사회복지시설 화재사례 분석과 국내외 화재시 피난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현행 소방관련법으로 설치된 소방시설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향후 개선되거나 보완하여야 할 조치로는 복지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피난시설과 경보시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특성에 맞는 경보시설의 설치를 제안하였고, 사회시설 건축시 내연재료 사용과 방염처리를 통한 원천적인 화재안전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urvey on Present Condition of Fire Safety Manage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for Evacuation Safety Design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관리 실태 조사)

  • Hong, Hae-Ri;Seo, Dong-Goo;Kim, Dong-Eun;Kwon, Young-Sook;Park, Hyun-Sik;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272-275
    • /
    • 2011
  • 본 연구는 고령자시설의 현황과 고령자의 군집보행속도를 조사한 전보에 이어 고령자를 고려한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노인요양시설의 근무자의 소방안전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화재시 재실자의 피난가능여부와 소방서와의 연락체계에 관한 질문에서 초기피난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노인요양시설의 비상구 및 주야간 상시 관리자 수 및 피난시설에서 대응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향후 체계적인 피난안전계획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