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곡률이 있는 고화질 (UHD급) 디스플레이의 4차원 편집 툴 및 입체형 전자출판 솔루션 개발 (The development of 4 dimension Authoring Tools and Electronic publishing for high quality(UHD class) display with curving)

  • 홍요훈;김현진;최영교;송승준;송승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17
    • /
    • 2017
  • 본 연구에서 개발하려는 개발기술의 핵심은 "평면이 아닌 곡률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4차원 편집환경을(시간포함)제공하는 매니지먼트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콘텐츠를 가공하고 편집하여 디스플레이에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는 세계최초의 곡률디스플레이 고화질(UHD급 ${\times}$ 250)용 4차원편집 환경 제공 엔진" 이다. 세부개발기술과 내용은 첫째, 세계최고의 플렉시플 고화질(UHD급 ${\times}$ 256 스크린)멀티스크린 동기화를 위한 4차원 비디오월(시간배열 포함) 편집환경 기술을 구현하며 둘째, 곡률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입체화된 비디오월 및 디지털사이니지 환경을 위한 360도 인지 센서 환경이 구축된 양방향 인터렉티브 UI/UX용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셋째, 세계 최초로 입체화된 전자북 구현을 위한 편집 툴 소프트웨어 개발 구현을 하였다.

FTS (Facing Target Sputtering)장비를 이용한 알루미늄 무기산화막 박막에 관한 연구

  • 방승규;이동욱;배강;김화민;손선영;정상권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9-169
    • /
    • 2012
  •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평판 디스플레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현재에는 기존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잘 휘어지고 높은 투과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판의 경우 용제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 및 기계적인 안정성이 취약한 점과 대기중의 수분이나 산소가 플라스틱 기판을 통하여 소자내로 침투하게 되어 금속전극을 산화시키거나 기포 또는 흑점 등과 같은 비 발광 영역이 확산되어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진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고밀도 플라즈마 형성이 가능하고 저온공정이 가능한 FTS (Facing Target Sputtering) 장비를 이용하여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판위에 낮은 수분 투과율 또는 산소 투과율을 갖는 양질의 무기 산화막을 적층하기 위해 저 투습도 및 기계적인 경도 향상을 위한 비 반응성 박막으로 $Al_20_3$층을 Ar분위기에서 증착하였고 그 위에 박막의 stress 감소, 유연성 향상을 위한 반응성 박막으로 Al을 Ar과 $O_2$를 비율별로 증착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무기산화막들을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시광 영역에서 모두 80% 이상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 XRD (X-ray Diffraction)를 사용하여 결정성을 확인,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FM (Atomic Force Microscope)을 이용하여 박막의 구조와 표면향상 및 표면조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박막에서 밀집도가 좋으며 거칠기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수분 투과율(WVTR)을 알아보기 위해 Mocon (Permatran W3/31)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0{\sim}3.0{\times}10^{-3}g/m{\cdot}day$의 낮은 수분 투과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로 볼 때 향후 FTS 장비를 이용하여 양질의 플라즈마를 형성하여 알루미늄 무기산화막을 이용한 고밀도 다층막을 형성하면 더욱 낮은 수분투과율을 갖는 가스차단막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반도체 소자 및 디바이스의 Pachaging으로도 사용가능 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지원하는 2011년도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의 연구수행으로 인한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 PDF

미래 지향적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양자점 기반의 발광소자 연구 현황

  • 오누리
    •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
    • 제20권1호
    • /
    • pp.15-22
    • /
    • 2019
  • 양자점 발광소자를 이용한 다양한 미래 지향적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하여 간략히 짚어보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터 최근 이루어진 초박형 디스플레이,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등을 소개하였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얇아진 두께로 인하여 얻어지는 많은 장점들을 살펴보았고,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주름 형태의 소자부터 AC-EL 방식으로 양자점의 색 변환을 이용한 소자들을 살펴보았다. 아직까지 해결하고 탐구해야 할 주제들이 많이 있으며 실용화까지도 다소 많은 해야 할 일들이 남아있다. 또한, 향후 기대가 되는 다기능 발광소자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기존의 구형의 코어/쉘 형태의 양자이라는 정형화된 생각을 넘어 새롭게 양자점을 디자인함으로써 새로운 응용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응용을 통해 4차산업에서도 필수적인 통신, 센서 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신개념 디스플레이를 알아볼 수 있었다. 앞으로 미래 디스플레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 등에서 광학적, 화학적, 전기적 우수한 특성을 갖는 양자점을 적용시키는 연구는 점점 많아지고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전계발광 소자로써 응용을 위하여 많은 연구진이 힘을 쏟고 있다. 친환경 조성의 높은 광효율을 갖는 양자점을 제조하고, 소자 측면에서 본질적인 성능 향상이 무엇보다 중요하기도 하겠지만 이와 함께 미래 지향적인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양자점을 새롭게 응용하고 다양하게 적용시켜 보는 일은 향후 우리 미래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중요한 일이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해 본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서 ITO층의 파괴 특성을 고려한 설계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Flexible Display Considering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ITO Layer)

  • 김민규;박상백;채수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2-558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on flexible display has been increasing as a future display due to its bendable characteristics. An ITO(indium tin oxide) layer, which is part of a flexible display, can be broken easily while bending because it is made of brittle materials. This brittle property can cause the malfunction of flexible display. To analyz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ITO layer, bending test was conducted commonly.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know specific phenomena on bended ITO layer by simple bending test onl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FE(finite element) model is developed similarly to a real flexible display to analyze stress distribution of flexible display under bending condition, especially on ITO layer. To validate FE model, actual bending test was conducted and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by measuring reaction forces during bending. By using the developed model, FE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design parameter (Thickness & Young's Modulus of BL) on ITO Layer was performed. By explained FE analysis above, this research draws a conclusion of reliable design guide of flexible display, especially on ITO layer.

투명 태블릿 시스템 분석 (Transparent Tablet System Analysis)

  • 김한호;박천경;박연지;이의재;최종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1-222
    • /
    • 2015
  • 미래의 핵심진화 방향으로 플렉시블 (flexible)화와 투명(transparent)화가 회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란 영상이 Off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소자가 인지 가능한 수준의 투과도를 가지며 영상이 On상태에서도 투과도가 일부 유지되는 디스플레이를 통칭한다. 본 장에서는 투명디스플레이 배경연구에 대한 내용과 투명태블릿(Transparent Tablet)개발 및 응용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분석 내용을 소개한다.

  • PDF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 이진호;추혜용;서경수;강광용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6호통권96호
    • /
    • pp.48-61
    • /
    • 2005
  • Flexible display는 플라스틱 등 휠 수 있는 기판에 만들어진 평판 디스플레이로, 우수한 표시특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접거나 구부리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의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의 차세대 기술로 평가되어 전세계적으로 급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Flexible display는 원리적으로 종이와 같은 수 센티미터 이내로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을 사용하게 되며, 기존의 딱딱한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가볍고, 얇고, 내충격성이 강하며, 구부림이 자유롭다. 본 고에서는 flexible display의 핵심 기술, 주요기관의 최근 flexibledisplay 연구 개발동향 및 발전전망 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투명 전도막의 산업화를 위한 공정 최적화 (Process Optimization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ransparent Conducting Film)

  • 남현빈;최요석;김인수;김경준;박성수;이자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21-29
    • /
    • 2024
  •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스마트폰와 태블릿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기기가 더욱 디지털화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고성능을 갖추며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절감을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고가 소재를 대체하는 전도성 고분자인 PEDOT과 투명 기판인 PET를 적용한 TCF의 제조 공정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PEDOT 코팅을 이용한 TCF 생산 공정에서 주요 변수인 생산 속도 (m/min), 코팅 최고 온도 (℃), PEDOT 공급 속도 (rpm)에 따른 표면 저항률 (Ω/□)을 반응표면분석법을 사용하여 최적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산 속도 22.16 m/min, 코팅 최고 온도 125.28 ℃, PEDOT 공급 속도 522.79 rpm으로 최적 조건을 도출했다. F 값은 18.37, P-값은 < 0.0001, 결정계수(R2)는 0.9430으로 결과의 신뢰성이 높음을 확인했다. 최적 조건에서의 예측값은 145.75 Ω/□이며, 실험값은 142.97 Ω/□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량 생산 공정에 적용하면 기존의 생산 수율 보다 높은 수율을 달성하고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플렉시블 OLED 패시베이션용 유기 박막 제작 및 특성 (Fabrication of Organic Thin Film for Flexible OLED Passivation and Its Characterization)

  • 김관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96
    • /
    • 2020
  • Polyimide thin film was prepared by annealing the polyamic acid that was synthesized through co-deposition of diamine and dianhydride. The polyamic acid and polyimide thin film were characterized with FT-IR and HR FE-SEM. The average roughness of the film surface, evaluated with AFM, were 0.385 nm and 0.299 nm after co-deposition, and annealing at 120 ℃ respectively. OLED was passivated with the polyimide layer of 200 nm thickness. While the inorganic passivation layer enhances the WVTR of OLED, the organic passivation layer gives flexibility to the OLED. The in-situ passivation of OLED with organic thin film layer provides the leading technique to develop flexible OLED Display.

10 ${\mu}m$ 폴리이미드 기판에 성막된 플렉시블 투명 전도막용 Nitrocellulose/MWCNT 복합체의 제작 및 특성 (The Properties of the Nitrocellulose/MWCNT Composites Fabricated on the 10 ${\mu}m$ Polyimide Film for the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on Film)

  • 장경욱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7-121
    • /
    • 2010
  • The composite films were fabricated by air-spray method under the 2 kgf/$cm^2$ pressure using the multi-walled CNTs solution and the nitrocellulose on a 10 ${\mu}m$ polyimide film substrates. We obtained the composite films which were sprayed with the MWCNT dispersion by varying the spray time from 20, 40 and 60sec. The electrical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sandwiched-structure-composite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by an UV/VIS spectrometer and a Hall Effect equipment. As a result,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all thin films in the visible range, as well as the electrical conductance shows an available value for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carrier concentration and the light transmittance rate for the fabricated sample are between $3.733{\times}10^{10}$ and $6.551{\times}10^{14}cm^{-3}$, around 35 to 95%,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