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플럭스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24초

FK KoFlux 관측지에서의 지역 규모 열 플럭스의 추정 : 타워 관측에서 MM5 중규모 모형까지 (Inferring Regional Scale Surface Heat Flux around FK KoFlux Site: From One Point Tower Measurement to MM5 Mesoscale Model)

  • Jinkyu Hong;Hee Choon Lee;Joon Kim;Baekjo Kim;Chonho Cho;Seongju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8-149
    • /
    • 2003
  • KoFlux는 생태계와 대기 사이에 교환되는 이산화탄소, 수증기 및 에너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높이고, FLUXNET과 CEOP등의 지역, 대륙 및 전구 규모의 관측망에 기여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그거나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 때문에 KoFlux의 대부분의 플럭스 타워는 관측에 이상적이지 못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탄소 및 에너지 교환의 정량화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군락 규모에서 지역 규모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관측과 모델링을 병용한 다양한 접근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규모의 현열 플럭스를 추정하기 위해 타워 플럭스 관측, 대류 경계층(CBL) 수지 방법, MM5 중규모 모형, 그리고 NCAR/NCEP 재분석 자료의 네 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면적을 대표하는 현열 플럭스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비록 제한된 짧은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나, 예비 분석을 통하여 (1) 해남 농경지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현열 플럭스가 지표의 불균질성을 보였고, (2) CBL 수지 방법으로 얻어진 지역 규모의 현열 플럭스는 수평 이류 효과의 계산 방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3) MM5 중규모 모형은 타워 플럭스 관측 값과 아주 유사한 현열 값을 수치 모사하였다. 그러나 관측지의 불균질성과 두 방법이 대표하는 면적의 근본적인 차이를 고려할 때, 플럭스 발자국 분석, 지리정보 시스템 및 관측지의 위성 영상 분석에 근거한 타워 플럭스의 공간 대표성을 정량화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디공분산 방법 기반의 플럭스 타워 순 복사에너지 검증: 설마천, 청미천 유역 (Validation of Net Radiation Measured from Fluxtower Based on Eddy Covariance Method: Case Study in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Watersheds)

  • 변규현;신지예;이연길;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111-122
    • /
    • 2013
  •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물과 에너지 순환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수문학적, 생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주춧돌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은 여러 가정사항에 따른 시스템적 오류를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소평가된 잠열 플럭스 원시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몇몇의 보정방법 중 보엔비를 활용한 방법이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서 여기에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한 순 복사에너지 및 기타 플럭스(현열, 지열)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의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1) FAO 56 기반의 일평균 순 복사에너지 (2) Bastiaansen (1995)가 제안한 순간 순 복사에너지. 본 연구의 결과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 상당히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했다. 또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관측된 잠열플럭스를 보엔비 보정방법에 적용시킨 결과 에너지수지에 더욱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폐회로 습도계를 이용한 수증기 플럭스 관측시관의 감쇠 효과에 관하여 (On the Effect of Tube Attenuation on Measuring Water Vapor Flux Using a Closed-path Hygrometer)

  • 홍진규;김준;최태진;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80-86
    • /
    • 2000
  • 에디 공분산 방법은 생태계와 대기간의 질량과 에너지 교환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다른 미기상학적 방법과는 달리 많은 가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접 측정으로서, 스칼라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고속 반응의 개회로 또는 폐회로 기기를 필요로 한다. 후자를 사용할 경우, 흡입된 공기가 관을 통과하면서 스칼라의 농도 변동의 감쇠가 일어난다. 이러한 관 감쇠 효과는 측정하고자 하는 난류 플럭스를 과소 평가하게 한다. 난류 흐름의 감쇠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서 개회로 기기와 폐회로 기기로 측정된 수증기 농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에 의하면, 폐회로 기기에서 얻어진 스펙트럼이 0.5 Hz 이상의 영역에서 개회로 기기에서 얻어진 스펙트럼과 서로 다름을 보였다. 낮에는 관 감쇠에 의한 수증기 플럭스의 손실이 5% 이내였으나, 밤에는 풍속이 작고, 난류의 강도가 약하여 플럭스 손실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론적으로 계산된 플럭스 손실은 관측 결과와 고주파수 영역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수증기가 관의 벽과 상호 작용하면서 플럭스 측정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개회로나 폐회로기기 모두 5% 오차 내에서 수증기 플럭스 관측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가 안정할 때는 플럭스 산출시 고주파수에서의 영향을 신중히 고려해 주어야 한다.

  • PDF

솔더페이스트로 솔더링 후 잔류 플럭스 오염물에 대한 준수계 세정제의 금속치구를 이용한 세정성능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s of Residual Flux Cleaning Ability by Alternative Semi-Aqueous Cleaners Using Metal Test Tools After Soldering with Solder Paste)

  • 이동기
    • 청정기술
    • /
    • 제14권2호
    • /
    • pp.103-1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솔더페이스트(solder paste)로 솔더링후 표면에 잔류하는 플럭스(flux)의 효과적인 세정성능 평가방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솔더링시 플럭스의 퍼짐오차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 고안한 금속치구를 이용하여 1,1,1-TCE 및 플럭스 제거용 몇 가지 대표 준수계 대체세정제에 대하여 세정시간에 따른 플럭스 제거율을 무게측정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세정시간 변화에 따른 각 세정제의 세정효율을 측정한 결과 측정값들의 상대표준편차(RSD)가 약 4%이하로 data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솔더페이스트로 솔더링후 대체세정제의 잔류플럭스의 세정성능 평가시험에 본 연구에서 적용한 금속치구(metal test tool)를 이용한 평가방법이 유력한 방법으로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 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우수하다고 알려진 몇 가지 대표 준수계 대체세정제 중 ST100SX와 750H가 고활성 플럭스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나 기존의 1,1,1-TCE에 비해서는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드리프트 플럭스 모델과 2-유체 모델 사이의 상관 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rift-flux Model and the Two-fluid Model)

  • No, Hee-Che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233-236
    • /
    • 1993
  • 상 변화가 없고 압력 변화가 없는 일차원 이상 유동에 있어서 드리프트 플럭스 모델자 2-유체 모델 사이의 상관 관계가 연구되었다. 증기 보존식은 드리프트 플럭스를 통하여 운동량 보존식에 의존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관계가 얻어졌다. 2-유체 모델로부터 출발하여 트리프트 플럭스의 파라미터의 함수로 표현된 계면 마찰식을 얻었다. 또한 기공 전달식을 유도함으로써 드리프트 플럭스는 2-유체 모델의 마찰력과 상호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 PDF

비휘발성이며 불연성인 새로운 납땜 Flux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w Nonvolatile and Nonflammable Soldering Flux)

  • 배재흠;장용운;이통영;조기수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101-106
    • /
    • 2000
  • 비휘발성이고 불연성의 새로운 납땜 플럭스를 개발하였다. 이 플럭스는 기존의 플럭스에서 사용하는 VOC 물질인 이소프로판올/메타놀과 같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VOC 규제물질이 아닌 디클로로프로판 용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플럭스는 기존의 이소프로판올/메타놀 용제로 제조한 플럭스에 비하여 전기절연성, 작업성, 신뢰성면에서 우수하였고 작업장의 환경 안정성 면에서 우수하며 경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휘발성 유기용매의 PDMS막에 대한 투과 플럭스와 수착특성 예측 (Prediction of Permeation Flux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Solvents on PDMS Membrane)

  • 오한기;장화익;이광래
    • 멤브레인
    • /
    • 제10권1호
    • /
    • pp.30-38
    • /
    • 2000
  • 투과증발공정에서 polydimethylsiloxane(PDMS)막에 대한 용매의 수착특성과 투과 플럭스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chloroform, toluene, methoanol, n-butanol의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를 계산하였으며, 계산값과 실험값을 비교하였다. 팽윤을 촉진시키는 정용매(good solvent)인 toluene과 chloroform의 경우 계산된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는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다. 막의 밀도가 작을수록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는 증가하였다. 팽윤을 억제시키는 부용매(poor solvent)인 methanol, n-butanol의 경우는 실험값과 상당한 오차가 있었다. 따라서, 본 미케니즘에 의해 PDMS막에 대한 정용매의 수착량과 투과 플럭스는 실험에 의하지 않고도 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플라즈마 식각 시뮬레이션을 위한 스캔 방식의 이온 플럭스 계산 방법 (Scanning System Method for Calculating Ion Flux in Plasma Etching Simulation)

  • 신성식;유동훈;권오봉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24-131
    • /
    • 2013
  • 플라즈마(Plasma) 공정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식각(Etching) 과정으로 특성 정보 프로파일(Feature Profile)에 의존하는 식각 비율(Etch Rate)을 계산하는 것이다. 식각 비율을 결정 요소는 이온 플럭스(Ion Flux), 뉴트럴 플럭스(Neutral Flux), 가스 종 온도 등 다양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온 플럭스(Ion Flux)에 한정하여 고속으로 이온 플럭스를 계산하기 위한 스캔 방법을 제안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몬테카를로(Monte Carlo) 방법과 제안 방법을 가우시안 분포 및 코사인 분포를 이용하여 실험하고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몬테카를로 방법과 비교 했을 때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한 이온 플럭스를 계산 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공간 변화 (Spatial Variability of Soil Heat Fluxes in a Conifer Forest)

  • Yun-Ho Park;Byong-Lyol Lee;Kyung-Sook Cho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86
    • /
    • 2003
  • 침엽수림에서 토양열 플럭스의 공간변화를 미기상 관측을 통해 조사하였다. 일평균 최대 하향단파복사(R $s_{dn}$ )와 순복사 (Rn)는 약 260W $m^{-2}$ 와 180 W $m^{-2}$ 였다.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사이의 일평균 토양열 플럭스는 대체로 순복사의 10% 였다. 연구기간동안 측정된 토양열 플럭스 ( $G_{6}$)와 계산된 토양열 플럭스 (G)와의 오차는 2% 이내였다. 열 저류항에 의한 최대 플럭스의 지연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열 저류항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약 10에서 15W $m^{-2}$ 의 오차가 발생 할 수 있다.

선행각을 이용한 팬용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 드라이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ux Switching Motor drive for Fan Application with Advance angle)

  • 김남훈;구본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89-95
    • /
    • 2009
  • 최근에는 파워툴(power tools)과 가전 제풀에 있어서 전자적인 전류(commutation)를 사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브러시리스 전동기인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Flux switching motor)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팬과 펌프 시장에 있어서는 그린 정책으로 인하여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는 유도전동기에 비해서는 높은 전력 밀도(power density)와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 그리고 브러시리스 DC 전동기에 비해서는 간단한 전동기 구조와 가격 경쟁력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팬 용도로 제작된 12/6 폴을 가지는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의 드라이브 설계와 동작원리에 대해서 나타내고, 팬 용도로 제작된 프로토타입 플럭스 스위칭 전동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IMS320F2812 DSP와 일반적인 인버터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