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라즈마 구동기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Microwave Electric-Field Focusing Waveguide Systems for Driving Plasma Visible Light (플라즈마 가시광 구동을 위한 초고주파 전계 집속형 도파관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eon, Hoo-Dong;Park, Eui-J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3
    • /
    • pp.303-312
    • /
    • 2009
  • In this study, a waveguide system for focusing the electric field is presented to emit the microwave-driven plasma visible light. This system consists of a magnetron for the microwave power supply, the waveguide section for power propagation, and the mesh-type cavity reactor. The quartz bulb containing a dose of sulfur powder and buffer gas Ar is located in the reactor, and forced by the strongly concentrated electric field for generating and exciting the sulfur plasma. That is, the conductor tips are loaded on each inner wall of the waveguide and the reactor, and then the plasma bulb is positioned between the tips, hence focusing the strong electric field on the bulb. Furthermore the waveguide section is designed for minimizing the degradations of match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plasma at the transitory phase for plasma generation, hence providing the stable operation. Finally, the 2.45 GHz aluminum waveguide system is constructed, and then experiments for emitting the visible light are performed by using 400 W-class magnetron, showing the validity of designed system.

High enthalpy supersonic plasma test facility and its applications

  • Seo, Jun-Ho;Choe, Seong-Man;Sin, Ui-Seop;Seo, Yong-Seok;Kim, Min-Ho;Choe, Chae-Hong;Hong, B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92-92
    • /
    • 2010
  • 전북대학교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0.4 및 2.4 MW 급 초음속 열플라즈마 시험 시설 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응용 분야 별 선행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구축 시험 시설의 핵심장치인 MW 급 대출력 초음속 열플라즈마 발생기로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도넛 형태의 간극을 다수 삽입하여 아크 길이를 늘림으로써, 플라즈마 출력을 비례하여 높일 수 있는 Segmented 형 아크 직류 토치를 사용하고자 하며, 제작을 위해 설계 중인 토치는 0.4 및 2.4 MW 출력에 대해, 마하 2 이상의 초음속 유동에서 각각 13 및 20 MJ/kg 이상의 플라즈마 비엔탈피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고엔탈피 초음속 유동의 달성은 0.4MW 급의 경우엔 공기유량 0.01 kg/s 이상에서, 2.4 MW 급의 경우엔 0.05 kg/s 이상에서 10Torr 이하의 진공과 투입된 MW 규모의 열량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 있어야 구현 가능하므로 이를 위한 건축과 지원시설 구축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0.4 MW 급 초음속 열플라즈마 시험 시설을 중심으로, 상기 MW 급 Segmented 형 아크 직류토치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대출력 초음속 열플라즈마 시험 시설에 대해 그 동안 전북대학교에서 진행되어 온 개념설계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덧붙여, 최근 본 사업단에서 선행 연구 중인 고엔탈피 초음속 열플라즈마 진단 계측 기법과 향후 응용분야 및 핵심 연구개발 과제 등에 대한 간략한 소개도 함께 하고자 한다.

  • PDF

고속파 전자가열을 시도한 KSTAR 토카막 원형 플라즈마에서의 ICRF 고주파 부하 저항

  • Wang, Seon-Jeong;Kim, Seon-Ho;Gwak,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97-297
    • /
    • 2010
  • KSTAR 토카막의 두번째 실험 캠페인 동안 고속파 전자가열 (FWEH)을 위한 ICRF 고주파입사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로이달 자기장은 2 T, 플라즈마 전류는 200-300 kA, 주반경은 1.8 m, 부반경은 0.5 m의 원형 플라즈마가 가열 대상이 되었으며, 네개의 ICRF 안테나 전류띠 가운데 중심부의 두개의 전류띠를 최대 300 kW로 구동하기 위한 운전 주파수는 44.2 MHz가 선택 되었다. 이 주파수는 플라즈마의 모든 영역에서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플라즈마에 흡수되는 대부분의 출력은 전자에게 전달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낮은 고주파-플라즈마 결합으로 인하여 전송선의 최대 고주파 전압이 허용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최대 출력만이 허용 되었으나, ECE에 의해 관측된 전자의 온도는 국지적으로 최대 150 % 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낮은 고주파-플라즈마 결합의 첫번째 원인은 FWEH의 효율이 이온을 가열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플라즈마 내에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층이 형성되면 높은 효율로 고주파를 입사 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다른 원인은 D 형상의 플라즈마에 맞도록 만들어진 안테나와, 원형 플라즈마간의 부조화로 인하여 고속파 차단층이 (Fast Wave Cutt-off Layer) 평균적으로 넓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플라즈마 외곽에 반드시 존재하는 낮은 플라즈마 밀도의 고속파 차단층 내부에서, 중심부로 향하는 고주파의 진폭은 지수함수로 감쇠하므로 가능하면 플라즈마 밀도를 높여 차단층 자체의 폭을 줄이거나, 안테나 전류띠를 플라즈마에 바짝 접근시켜야만 한다. 고주파 진단 장치로는 송출기의 출력과 반사파 측정 장치, 공명루프의 전압 측정 장치가 있는데, 이것들을 이용하여 안테나에 전달되는 출력 및 고주파-플라즈마 결합 효율을 나타내는 플라즈마에 대한 고주파 부하 저항을 구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부하 저항의 최소값은 진공시 또는 ICRF만의 방전시의 값 0.25 Ohm 보다 큰 0.5 Ohm을 나타냈으며, 최대값은 플라즈마의 상태에 따라 1 Ohm에서 2 Ohm 사이에서 매우 빠르게 요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Mm 파 반사계의 측정에 의하면 플라즈마 언저리의 위치가 약 3 cm 정도의 크기로 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하 저항과 언저리 위치의 파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유사한 경향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플라즈마 언저리 위치의 제어를 통하여 가열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실험의 소개와 함께 부하 저항의 관점에서 가열 효율을 높일 방안을 토론하도록 한다.

  • PDF

Electrical Discharge Plasma in a Porous Ceramic Membrane-supported Catalyst for the Decomposition of a Volatile Organic Compound (다공질 세라믹지지 촉매 상에서의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분해)

  • Jo, Jin-Oh;Lee, Sang Baek;Jang, Dong Lyong;Mok, Young Su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4 no.4
    • /
    • pp.433-437
    • /
    • 2013
  • Electrical discharge plasma created in a multi-channel porous ceramic membrane-supported catalyst was applied to the decomposition of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oxidation capability, the ceramic membrane used as a low-pressure drop catalyst support was loaded with zinc oxide photocatalyst by the incipient wetness impregnation method. Alternating current-driven discharge plasma was created inside the porous ceramic membrane to produce reactive species such as radicals, ozone, ions and excited molecules available for the decomposition of VOC. A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reactor increased, the plasma discharge gradually propagated in the radial direction, creating an uniform plasma in the entire ceramic membrane above a certain voltage. Ethylene was used as a model VOC. The ethylene decomposition efficiency was examined with experimental variables such as the specific energy density, inlet ethylene concentration and zinc oxide loading. When compared at the identical energy density,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btained with the zinc oxide-loaded ceramic membrane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the bare membrane case. Both nitrogen and oxyg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itiating the decomposition of ethylene. The rate of the decomposition is governed by the quantity of reactive species generated by the plasma, and a strong dependence of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n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observed.

교류형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 방전유지 전압의 전압 상승 시간의 변화에 따른 방전 현상의 변화

  • 김중균;양진호;윤차근;황기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29-229
    • /
    • 1999
  • 교류형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AC Plasma Display Panel, AC PDP)의 구동에서의 방전 현상은 기입방전, 유지방전, 소거 방전이 있다. 이중 유지 방전은 표시장치로서의 휘도와 계조의 표현을 위한 방전으로 표시기로서의 효율을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 방전 전압의 상승 시간의 변화에 따른 방전현상과 휘도, 효율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방전 현상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교류형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의 방전 개시 전압과 방전 유지 전압의 변화이다. 유지 전압의 상승시간이 증가할수록 방전 개시 전압과 방전 유지 전압의 변화이다. 유지 전압의 상승 시간이 증가할수록 방전 개시 전압과 방전 유지 전압의 차(sustain margin)는 감소하여 상승 시간이 1$\mu$s/100V 이상의 영역에서는 방전 개시 전압과 방전 유지 전압이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이는 방전 유지 전극 위의 유전체에 쌓이게 되는 벽전하(wall charge) 양의 감소에 의한 방전 약화의 영향을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방전 유지 전압의 형태와 전류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이러한 약한 방전은 벽전하의 감소에 의한 방전 시의 전계 감소보다는 방전 전류의 발생 시간이 방전 전압이 증가하여 최고점에 이르지 못한 시간에 위치하여 방전이 형성될 때의 전계가 강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다. 방전 전류를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방전 전류의 시작은 변위 전류가 흐르고 난 후부터 시작되며 그 결과 방전 전류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간은 방전 전압 상승 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은 전압에서 형성되게 된다. 또한 방전 유지 전압의 상승 시간이 길어질수록 플라즈마 방전표시기의 휘도와 효율은 낮아지고 이 결과 또한 약한 전계에서의 방전에 의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플라즈마의 강도값을 입력하여 플라즈마의 radiation을 검출하고, 스퍼터링 공정중 실질적인 in-situ 정보로 이용하였다. PEM을 통하여 In/Sn의 플라즈마 강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초기 In/Sn의 플라즈마 강도(intensity)는 강도를 100하여, 산소를 주입한 결과, plasma intensity가 35 줄어들었고, 이때 우수한 ITO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Pulsed DC power를 사용하여 아크 현상을 방지하였다. PET 상에 coating 된 ITO 박막의 표면저항과 광투과도는 4-point prove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AES로 박막의 두께에 따른 성분비를 확인하였다. ITO 박막의 광투과도는 산소의 유량과 sputter 된 In/Sn ion의 plasma emission peak에 따라 72%-92%까지 변화하였으며, 저항은 37$\Omega$/$\square$ 이상을 나타내었다. 박막의 Sn/In atomic ratio는 0.12, O/In의 비율은 In2O3의 화학양론적 비율인 1.5보다 작은 1.3을 나타내었다.로 보인다.하면 수평축과 수직축의 분산 장벽의 비에 따라 cluster의 두께비가 달라지는 성장을 볼 수 있었고, 한 축 방향으로의 팔 넓이는 fcc(100) 표면의 경우 동일한 Ed+Ep값에 대응하는 팔 넓이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성장의 경우도 cluster 밀도, cluster 모양, cluster의 양 축 방향 길이 비, 양 축 방향의 평균 팔 넓이로부터 각 축 방향의 분산 장벽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대할 수 있는 여러 장점들을 보고하고자 한다.성이 우수한 시

  • PDF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n Ac PDP with the Variation of Scan Electrode Driver (PDP 스캔 전극 구동방식에 따른 방전 특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Joo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8
    • /
    • pp.13-18
    • /
    • 2005
  • The variation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n ac PDP was observed with the charge of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Conventional scan electrode driving circuit provides two switches per one scan line, and the suggested one can be constituted by one switch per one scan line with the consideration of capacitive load characteristic of an ac PDP. To verify the workability of the suggested scheme, the performances of the ac PDP was investigated. The dynamic voltage margin was slightly decreased with the adoption of the suggested scheme, which is estimated to result from the misfiring of unselected discharge cells due to the deformation of voltage level of the neighboring scan electrode. In the observation of the delay characteristics of addressing discharge, the performances of the conventional circuit and the suggested one are assumed to be equivalent.

A Study on the Space Charge Effect of Display Discharge for Plasma Display Pan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방전에 미치는 공간전하의 영향에 관한 연구)

  • Son, Duk-Won;Ryeom, Jeo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5-38
    • /
    • 2005
  • Full-HDTV급 PDP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속 어드레스 구동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은 AWD 구동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AWD 구동방식은 하나의 sustain 펄스 휴지기안에 복수개의 scan 펄스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sustain 펄스와 sustain 펄스 사이가 넓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 휴지기를 고려한 sustain 방전특성을 해석하였다. 실험결과 address 바로 다음에 나오는 첫 번째 sustain 펄스는 공간전하 의존도가 높으며 두 번째 펄스부터는 공간전하 의존도보다는 벽전하 의존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수십${\mu}s$를 가지는 휴지기간에도 균일한 sustain 동작마진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a 4.2MW (600VDC, 7kADC) DC pulsed power supply (4.2MW (600VDC, 7kADC)직류 펄스 전원장치의 성능분석)

  • 노의철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6
    • /
    • pp.73-80
    • /
    • 1996
  • 본 논문은 펄스 형태의 출력전류를 얻기 위한 직류 직원 장치의 성능분석에 관한 것이다. 직류 전원장치의 입력은 3상 3,300[V]이고 펄스 출력용량은 4.2MW( 600VDC, 7kADC)이며 용도는 플라즈마의 밀폐 및 구속을 위한 전자적 구동용이다. 펄스폭인 10초인 펄스 파형이 150초 주기로 출력되면서 동작함에 따라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변압기와 위상제어 정류기의 용량선정시 전원장치의 성능과 설비비를 고려하여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변압기의 용량선정시 역률과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가능한 한 용량을 최소화하였으며 선정된 변압기에 대하여 변압기의 %Z에 따른 직류 출력전압 강하, 역류, 전고조파 왜율 등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제작된 전원장치의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제작된 전원장치의 실험을 통하여 분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전원장치의 과부하 동작시 변압기의 %Z가 출력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High Stability and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with Switchable Damper for Plasma Applications (플라즈마 응용을 위한 선택적 감쇠기를 사용한 고안정 고효율 전력증폭기)

  • Kim, Ji-Yeon;Lee, Dong-Heon;Chun, Sang-Hyun;Yoo, Ho-Joon;Kim, Jong-He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1
    • /
    • pp.1-11
    • /
    • 2009
  • In this paper, a new 1 kW power amplifier with high efficiency and high stability in a RF generator is designed and fabricated for plasma applications.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is improved by using class-E amplifier that consists of one push-pull MOSFET and high current drive IC instead of class-C amplifier composed of several single ended MOSFET. Switchable damper that allows selecting three different modes of amplifiers for considering efficiency and stability is added into the amplifier for plasma applications. Stable region of an early electronic discharge section is extended to VSWR of 4.5:1 compared to conventional VSWR of 3.8:1 through using switchable damper. The dimension of the amplifier is also reduced to 30 % of conventional amplifier. The 80 %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 with switchable damper is obtained the output power of 1 kW in operating frequency of 13.56 MHz. In comparison of conventional power amplifier for plasma applications, 13 % efficiency is improved.

레이저 유도 형광법(Laser Induced Fluorescence)을 이용한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Plasma Display Panel)내의 전계 측정에 관한 연구

  • 김정훈;이준학;최영욱;양진호;황기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32-232
    • /
    • 1999
  • 교류형 플라즈마 방전 표시기(AC Plasma Display Panel, AC PDP)에 사용되는 플라즈마는 그 부피가 너무 작아서 플라즈마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그 물성을 관측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주로 PDP 내의 물성을 관측하는 데 시뮬레이션에 의존하게 된다. 그 물성중에 PDP내의 전계 분포에 대한 정보는 방전의 형성 및 소멸에 대한 많은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AC PDP의 경우, 유전체에 형성되는 벽적하(wall charge)가 방전의 형성 및 PDP 구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PDP 내의 전계 분포를 살펴봄으로써 대략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레이저 유도 형광법을 이용하여 AC PDP 내의 전계를 측정하였다. 방전 가스인 헬륨(He)의 에너지 준위는 전계의 크기에 따라 에너지 준위가 변화하여, Rydberg(n$\geq$8) 준위가 여러 개의 준위로 나누어지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Stack 효과라고 한다. 따라서 전계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서 각 준위와 준위 사이 값(splitting)이 커지는데, 이를 이용하면 전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헬륨 원자를 여기시키는 레이저 파장을 변화시키면서 관측되는 레이저 유도 형광 신호를 관측하면, 준위의 splitting을 관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DP 내의 전계의 시간적 변화를 관측하였다. 50%, 40kHz의 구형파를 PDP의 두 전극에 가하였을 때, 플라즈마가 켜진 상태뿐만 아니라 플라즈마가 꺼진 후에도 전계에 의한 Splitting 신호가 관측이 되었는데, 전계로 환산하였을 때, 그 값은 대략 수 kV/cm의 값을 갖았는데, 이는 wall charge에 의한 값으로 사료된다.결과로 생각되어진다.플라즈마의 강도값을 입력하여 플라즈마의 radiation을 검출하고, 스퍼터링 공정중 실질적인 in-situ 정보로 이용하였다. PEM을 통하여 In/Sn의 플라즈마 강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초기 In/Sn의 플라즈마 강도(intensity)는 강도를 100하여, 산소를 주입한 결과, plasma intensity가 35 줄어들었고, 이때 우수한 ITO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Pulsed DC power를 사용하여 아크 현상을 방지하였다. PET 상에 coating 된 ITO 박막의 표면저항과 광투과도는 4-point prove와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AES로 박막의 두께에 따른 성분비를 확인하였다. ITO 박막의 광투과도는 산소의 유량과 sputter 된 In/Sn ion의 plasma emission peak에 따라 72%-92%까지 변화하였으며, 저항은 37$\Omega$/$\square$ 이상을 나타내었다. 박막의 Sn/In atomic ratio는 0.12, O/In의 비율은 In2O3의 화학양론적 비율인 1.5보다 작은 1.3을 나타내었다.로 보인다.하면 수평축과 수직축의 분산 장벽의 비에 따라 cluster의 두께비가 달라지는 성장을 볼 수 있었고, 한 축 방향으로의 팔 넓이는 fcc(100) 표면의 경우 동일한 Ed+Ep값에 대응하는 팔 넓이와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성장의 경우도 cluster 밀도, cluster 모양, cluster의 양 축 방향 길이 비, 양 축 방향의 평균 팔 넓이로부터 각 축 방향의 분산 장벽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대할 수 있는 여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