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라즈마 구동기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erodynamic Drag Reduction in Cylindrical Model Using DBD Plasma Actuator (DBD 플라즈마 구동기를 이용한 원통모델의 공기저항저감)

  • Lee, Changwook;Sim, Ju-Hyeong;Han, Sunghyun;Yun, Su Hwan;Kim, Tae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9 no.1
    • /
    • pp.25-32
    • /
    • 2015
  •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actuator was designed to reduce aerodynamic drag in a cylindrical model and wind tunnel test was performed at various wind velocities. In addition,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alysis and flow visualization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sma on the flow stream in the cylinderical model. At low wind velocity, the plasma actuator had no effects because flow separation did not appear. The aerodynamic drag was reduced by 14% at 14 m/s and by 27% at 17 m/s,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by CFD analysis and flow visualization that the DBD plasma actuator decreased in pressure difference around the cylindrical model, thus decreasing the magnitude of wake vortex.

Wind Tunnel Test of 2D Model for Plasma Flow Control using DBD Plasma Actuator (DBD 플라즈마 구동기를 이용한 2차원 모델의 플라즈마 유동제어 풍동시험)

  • Yun, Su-Hwan;Kim, Tae-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5a
    • /
    • pp.527-528
    • /
    • 2012
  •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actuator was designed for aerodynamic drag reduction using plasma flow control, and the drag reduction was measured by wind-tunnel tests using 2D test model. At the zero wind velocity, the plasma flow control had no effect on the drag reduction because the flow separation and surface friction drag were not occurred. At the wind velocity of 2m/s, 9.7% of drag was reduced by the flow separation control. The drag reduction decreased as the wind velocity increased.

  • PDF

Development of a pulse input inverter circuit for plasma air cleaner (DBD 플라즈마 공기청정기를 위한 펄스 전원 입력 인버터 회로 개발)

  • Hwang, Hoon Ha;Jeon, Hyeong Geun;Oh, Hyeon Jun;Lee, Young Hwi;Roh, Chung 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227-229
    • /
    • 2020
  • 차량 또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PM 또는 PM)를 필터만 이용해서 정화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를 교체해야 하고, 필터를 청소한다고 해도 점점 성능이 저하되어 교체만 한다. 이러한 점이 개선된 플라즈마 공기청정기의 경우 필터 공기청정기에 비해 소비전력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플라이백 컨버터를 이용한 플라즈마 구동이 아닌 단일 스위치 무손실 인버터(국민대 보유기슬)와 펄스 전원(맥동 전압) 인가를 통한 플라즈마 구동 방식을 제안하고, 기존 DBD 플라즈마 방식이 아닌 자력을 이용한 DBD 플라즈마 리액터의 사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실험 및 측정을 통해 제안 방식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의 생의학 응용

  • Lee, Hyeon-U;Lee, Jae-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65-267
    • /
    • 2011
  •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는 21세기에 들어 생의학 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는 고가의 진공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비용 구동이 가능하고 방전 장치와 전력공급 장치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 특히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는 고온의 전자와 저온의 이온 입자가 공존하는 열적 불평형(thermal non-equilibrium)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의 저온 특성은 유지하면서도 (${\sim}30^{\circ}C$) 물리/화학적 반응성은 매우 높아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넓다. 플라즈마의 다양한 생의학 분야 응용 가운데 세포의 사멸 유발 또는 생장 촉진, 살균/멸균, 지혈, 상처 치유 등에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가 매우 뛰어난 효능을 보인다는 것이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1]. 20 kHz 정현파로 구동되는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한 암 세포 제거 실험에서 플라즈마 처리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항체-금나노입자 중합체를 암 세포에 주입시켰다 (그림 1(a)). 그 결과 세포의 사멸율은 74%로서 플라즈마 또는 플라즈마-금나노입자만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사멸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림 1(b)). 이를 통해 암세포 선택성을 가진 항체-금나노입자 중합체와 플라즈마 처리 기술을 융합한 암 세포의 선택적 사멸 유발 기술의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또한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일어나는 세포의 자멸사 기작이 Cytochrome C의 방출 이후 이어지는 Caspase-3의 활성화 경로와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림 1(c)). 치아 미백은 최근 부상하고 있는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의 새로운 응용 분야이다 [5-6]. 대기압에서 동작하는 헬륨 플라즈마 제트를 미백제(과산화수소)와 함께 발치된 치아에 적용하였을 때 (그림 2(a)) 미백제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치아의 색상 변화가 2배 이상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2(b)). 이처럼 최근 그 범위가 크게 넓어지고 있는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의 생의학 응용 기술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생의학 응용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플라즈마의 특성 및 응용별 기저 기 작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Comparison of Plasma Jets between Two Electrode-Structures of Cylindrical Needle and Cup

  • Jeong, Jong-Yun;Han, Sang-Ho;Kim, Dong-Jun;Kim, Jeong-Hyeon;Kim, Yun-Jung;Kim, Jung-Gil;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28-228
    • /
    • 2011
  • 바늘형 전극과 컵형 전극을 사용한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플라즈마 분출 특성을 조사한다. 바늘형 전극은 원통형 주사기 바늘을 사용하였다. 컵형 전극은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전극을 사용하였다. 방전 가스는 Ar을 사용하고 가스의 유량은 3 lpm이다. 구동 전원은 DC-AC 인버터를 사용하고 구동 주파수는 40 kHz이다. 방전 전압-전류 특성과 전류별 플라즈마 방출 길이를 측정한 결과, 원통형 바늘보다 컵형 전극이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았으며 동일 전류에서 플라즈마 방출 길이가 더 길다.

  • PDF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BD Plasma Actuator as Design Parameters for Plasma Flow Control (플라즈마 유동제어를 위한 DBD 플라즈마 액츄에이터의 설계변수에 따른 특성 연구)

  • Yun, Su-Hwan;Kwon, Hyeok-Bin;Kim, Tae-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6
    • /
    • pp.492-498
    • /
    • 2012
  • Characteristics of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actuator as design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or plasma flow control. Flow velocity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DBD plasma actuator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design parameters such as discharge voltage and frequency, gap, width and length of electrode, and the thickness of dielectric barrier. The flow velocity and power consumption increased as the discharge voltage and frequency increased. As the electrode gap increased, the flow velocity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whereas high voltage was required for the plasma discharge. The flow velocity increased as the upper-electrode width decreased, and as the lower-electrode width increased at the constant power consumption. The performance of the DBD plasma actuator can be estimated at the given discharge and geometry condition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High-Speed Jet Produced by a Pulsed-Arc Spark Jet Plasma Actuator (펄스 아크 스파크 제트 플라즈마 구동기에 의해 발생된 고속 제트의 효율적 운전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Young Sun;Shin, Ji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5 no.11
    • /
    • pp.907-913
    • /
    • 2017
  • The performance of a spark jet driven by pulsed-arc plasma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for various energy input. A high-speed jet (about 330 m/s) was obtained by rapid gas heating produced by 37 mJ of deposited energy per pulse. The peak velocity and penetration distance of the jet were proportional to the deposited power and the deposited energy per pulse, respectively. A smaller orifice diameter produces a higher velocity jet at lower energy levels. For the same deposited energy, higher-current pulses produce a higher jet velocity than higher-pulse-width pulses. A total deposited energy of about 10 mJ per pulse with a pulse duration of about $10{\mu}s$ was found to be the optimum for energy- efficient operation.

Design of a Power System with Variable Voltage and Frequency for a Plasma Discharger (플라즈마 방전장치 구동을 위한 전압 및 주파수 가변 전원장치 설계)

  • Jou, Sung-Tak;Jeong, Hae-Gwang;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86-387
    • /
    • 2011
  • 본 논문은 플라즈마 방전장치 구동을 위한 가변 전압/주파수 전원장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전원장치는 가변전압을 위한 벅-부스트 컨버터와 주파수 변환을 위한 푸쉬-풀 인버터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전원장치의 벅-부스트 컨버터는 계통전류 고조파 저감과 DC링크 캐패시터 최소화를 위하여 PFC(Power Factor Collection)기법을 적용한다. 그리고 푸쉬-풀 인버터는 출력 변압기의 자기포화를 막기 위해 전류제한기법을 추가한다. 또한 불분명한 부하와 출력 트랜스의 공진 상황에서 전압 안정화를 위해 출력전압을 피드백하여 제어한다. 본 논문은 1[kW]급 플라즈마 전원장치를 통하여 제안하는 토폴로지와 제어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On Stability of the Pulsed Plasma Thruster for STSAT-2 based on the Lyapunov Function (리아프노프 함수에 기초한 과학기술위성 2호 펄스형 플라즈마 전기추력기의 동작 안정성 연구)

  • Sin, Gu-Hwan;Nam, Myeong-Yong;Gang, Gyeong-In;Im, Jong-Tae;Cha,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4 no.1
    • /
    • pp.95-102
    • /
    • 2006
  • The PPT being currently developed for the flight model represents a significant leap in techniques and technology compared to the previous flight ones. The electrical energy to be charged in the pulsed plasma thruster (PPT) is a very important aspect to provide an uniform impulse bit ,, and a specific impulse ,, for satellite attitude contr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nlinear control technique and a stability analysis based on the Lyapunov function for the pulsed plasma thruster. Specifically, the proposed control law guarantees to charge and discharge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the power processing unit (PPU) within the specified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