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폴리스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43초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of Alaska Pollack Meat Paste Added with Propolis)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5-4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를 명태 연육에 각각 0.17%, 0.34%, 0.51%, 0.67% 및 0.84%로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첨가한 명태 연육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과산화물가, 색도, 총 균수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제품에서의 항균.항산화효능을 분석 평가하였다.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과산화물가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태 연육튀김어묵의 겔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군에서 겔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겔 강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색도에서는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프로폴리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0.17%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에서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틸 알코올로 추출한 프로폴리스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Propolis Extracts from Ethanol Extraction)

  • 김종태;김철진;조용진;최애진;신원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41-946
    • /
    • 2002
  •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에틸알코올 용매의 농도와 프로폴리스 농도에 따라서 추출하였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중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알코올 용액의 농도 $20{\sim}50%$까지는 증가하였으나, 60과 70%에서는 약간씩 감소하였다. 70% 에틸알코올 용매에 $2{\sim}14%$ 함량의 프로폴리스를 첨가하여 추출물중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70% 에틸알코올로 추출한 프로폴리스 추출액은 E. coli, L. plantarum, S. cerevisiae의 모든 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프로폴리스의 농도가 $2{\sim}14%$인 추출물을 대두유에 첨가하였을 때 $37^{\circ}C$에서 저장기간 동안 산화방지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한 프로폴리스의 항-당뇨 효과 (The anti-diabetic effect of propolis using Hedge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 김미진;최기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447-459
    • /
    • 2010
  • 본 연구는 메타분석에서 헤지의 표준화된 평균차를 이용하여 당뇨에 걸린 쥐들에게 프로폴리스를 투여하여 체중, 혈당량,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의 평균비교를 통해 프로폴리스의 항-당뇨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정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혈당량의 감소,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감소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보였고, 동질성 검정을 통해 동질성을 만족하지 않은 모든 변수에 대해 랜덤효과모형을 적용시킨 결과 혈당량의 감소와 트리글리세리드 농도의 감소에 대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투여기간과 투여량에 대해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투여기간이 체중, 혈당량, 콜레스테롤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구강 캔디다증 알비칸스에 대한 프로 폴리스의 항균 활동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미생물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opolis against Oral Candidiasis by Candida Albicans -Effect of Microbial Inhibition Using Propolis-)

  • 권현숙;남설희;박민경;조미숙;천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644-5651
    • /
    • 2014
  • 본 연구는 칸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에 대한 프로폴리스의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프로폴리스는 양봉 꿀벌에서 채취하여 C. albicans는 $37^{\circ}C$에서 액체 배지에서 2시간 배양 하였다. 항균 활성검삼를 위해서 생리식염수 (PBS), 3%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에), 0.1% 클로로헥시딘 (CHX), 프로 폴리스 추출물 ($5{\mu}L/m{\ell}$, $10{\mu}L/m{\ell}$)에서 평가하였다. C. albicans는 3%의 NaOCl, 0.1% CHX, 프로 폴리스($5{\mu}L/m{\ell}$, $10{\mu}{\ell}/m{\ell}$)에서 15, 14.5, 16, 17mm의 억제구간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집락형성을 분석한 결과, 3%의 NaOCl, 0.1 % CHX, $5{\mu}L/m{\ell}$$10{\mu}L/m{\ell}$의 프로 폴리스가 7, 7, 5, 7 로그지수가 감소를 보였다. C. albicans서는 $10{\mu}L/m{\ell}$의 프로폴리스에서 유의하게 억제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프로폴리스는 구강 점막 질환에서 새로운 향균 약제가 될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폴리스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 이호재;배영일;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05
  •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용매별 radical 소거활성은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유지에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과산화물가, TBA가 및 산가를 측정한 결과 95%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산패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물추출물 500 $\mu$g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50%에탄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acillus subtilis균과 Bacillus cereus균과 같은 그램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1, 10 및 100 $\m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후 A549(폐암세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70% 에탄을 추출물 100 $\mu$g/mL를 첨가하였을 때 62.63%의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95% 에탄올 추출물, 물추출물 및 50% 에탄을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콜 분해 효과 (The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Propolis on Ethanol Oxidation)

  • 한승관;김희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8-201
    • /
    • 2004
  • 천연발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알콜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폴리스 농축액과 다양한 약용식물의 농축액을 사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였다. 배합원료 각각의 알콜 분해 능력을 검토한 결과, 프로폴리스와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가장 큰 분해 능력을 보였다. 타 회사 제품과의 알콜 분해 능력을 비교한 경우 급성 주정 중독량 (kg당 4g)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정중독량 지표보다 약 1/3을 감소시킨 kg당 1.8 L의 술을 경구 투여한 경우, 프로폴리스 음료는 270분이 경과했을 때 0.026%, 360분이 경과했을 때에는 0.000%의 혈중알콜농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보아 프로폴리스 음료는 섭취알콜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일정량의 알콜을 섭취할 경우에는 매우 뛰어난 알콜 분해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polis)

  • 이수원;김희재;황보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3-388
    • /
    • 2001
  • 본 연구는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예천과 영월 프로폴리스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화분, 그리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각 3.25와 3.97, 9.82와 7.04, 48.25와 50.7, 3.91과 5.89, 그리고 34.77과 32.4%였다. 미네랄에서 Se은 검출이 되지 않았으며, P, Ca 및 Cu은 영월 프로폴리스가 184.15, 128.32, 1.77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예천산은 1130.6ppm, 그리고 영월산은 1049.1ppm이었다. 지방산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예천 프로폴리스가 47.6 및 70.0mg/100g이었으며, 영월 프로폴리스는 37.3과 47.0mg/100g이었다.

  • PDF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 손영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9-194
    • /
    • 2003
  • 기존에 식품의 저장성 향상을 우해 사용되어졌던 방법들의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과적인 식품저장을 위해 전통적으로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탐색하고 건강 지향적인 식품보존제로서 이를 식품에 적용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가공식품개발에 활용코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보면 19.41% 수분, 0.39% 조단백, 5.12% 조지방, 0.15% 조회분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프로폴리스는 에탄올 60%, 에탄올 80% 추출물에서는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균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로 실험한 처리구에서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사용하여 유해 미생물들에 대한 농도별 항균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유해미생물을 처리했을 때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는 1~2 mg/mL로 처리 시 생균수가 1~4log 감소하였고, E. coli는 3mg/mL로 처리 시, Bacillus cereus는 1~2 mg/mL의 노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생균수가 2log 감소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와 Shigella sonnei의 사멸효과는 0.1~3 mg/mL의 농도에서 생균수가 2~4log 감소하였다. Erwinia rhapontici의 사멸효과는 2 mg/mL 농도로 실험했을 때 2 log 정도 생ㅇ육저해효과를 보였고, Salmonella choleraesuis, Vibrio parahaemolyticus에서의 사멸효가는 크게 관찰할 수 없었다. 프로폴리스는 그램양성균에 대한 사멸효과가 그램음성균에 대한 효과 보다 더 우수하였다.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Stability Trait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on Spices and Propolis)

  • 이도경;박재은;김경태;도명진;정명준;이과수;김진응;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2
    • /
    • 2014
  •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원산지별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s Cosmetic Materials)

  • 정은선;원진배;지향기;유지영;오세영;김하연;신영희;김은빈;허강혁;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9-166
    • /
    • 2020
  • 프로폴리스는 식물에서 채취한 수지에 꿀벌의 분비물이 합쳐져 만들어진 아교성 물질로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브라질 유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미백, 항염 활성을 비교하고, 이들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함량분석과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한국, 중국, 브라질 프로폴리스 추출물 모두 유의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피부에 상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능을 MIC 시험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 C. acnes 균에서 한국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KPE: 62.5 ㎍/mL, CPE: 250 ㎍/mL, BPE: 500 ㎍/mL). 또한, 한국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고, 마우스대식세포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유도된 염증인자인 산화질소와 PGE2 생성을 나머지 두 추출물보다 우수하게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항염 효능소재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항균, 항염, 미백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인 한국프로폴리스추출물의 응용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