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계획수립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ase studies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apply EVM(Earned Value Management) (소프트웨어개발 프로젝트에서의 획득가치관리(EVM: Earned Value Management) 적용 사례 연구)

  • Jun, Sung-Chul;Kim, Ja-He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60-265
    • /
    • 2008
  •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수립한 일정 및 비용 등의 계획은 수행 중 발생하는 많은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는 초기에 계획한 일정과 비용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진행 중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상황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정과 비용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획득가치관리(EVM: Earned Value Management)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획득가치관리(EVM)을 적용하기 위해 일정과 비용의 통합관리하기 위해 예상되는 투입 인력과 비용 등을 감안하여 작업분할 구조(WBS)와 연계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구축 중인 프로젝트의 사례를 통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한 각각의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 따라 예측한 값이 실제 계획 대비 일정과 비용에 대한 예측 오차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진행되는 프로젝트의 일정 및 비용 등의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진행되는 프로젝트의 일정 및 비용 등에 대해 분석하고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 PDF

A Knowledge-based Approach to Plant Construction Process Planning (지식 기반 플랜트 건설 공정 계획 시스템의 개발)

  • 김우주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7 no.1
    • /
    • pp.81-95
    • /
    • 2001
  • Plant construction projects usually take much higher uncertainty and risks than the projects from other domains.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plan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hould be more emphasized than the other domain. Especially, the overall successes of the projects often depend on the performance of process planning and scheduling performed at the initial stage of the project. However, most plant construction projects suffer great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proper process planning and scheduling timely because of unstructureness and dynamicity of environment of the project itself In this paper, we propose a knowledge-based process planning and scheduling approach in a plant construction domain to cope this problem. First, we modulize process planning knowledge and present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Second, we propose an inferencing mechanism to build a process planning for plant construction based on the represented process planning knowledge. Since our approach automate the initial process planning, which was usually done by manual way, it can improve the correctness and also completeness of the process plan and schedule by reducing the time to plan and allowing simulations on the various situation. We also design and implement this our approach as a real working system, and it is successfully applied to real plant construction cases from a leading construction company in Korea. Based on this success, we expect our approa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projects of other areas, while contributing to enhancement in productivity and quality of project management.

  • PDF

Effective Project Planning based on CMM and XP (CMM과 XP를 적용한 효율적인 프로젝트 계획 수립)

  • 이화연;최호진;이도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415-417
    • /
    • 2004
  • SPI 전문가들은 CMM과 XP의 양립 가능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두 방법론이 동시에 적용되었을 때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SPI 활동 수준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있고 CMM과 XP 방법론을 동시에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형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CMM과 XP를 함께 적용하는 방안의 하나로 XP의 프로젝트 계획 짜기 게임의 절차에 CMM이 요구하는 프로젝트 계획 활동을 포함시키는 프로젝트 계획 수립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Planning for Multi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Genetic-Algorithm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 수행 시 모듈러 유닛 공장생산계획수립 모델 개발)

  • Kim, Minjung;Park, Moonseo;Lee, Hyun-soo;Lee, Jeonghoon;Lee, Kwang-Py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5
    • /
    • pp.54-64
    • /
    • 2015
  • The modular construction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high quality of product, safe work condition and short construction duration. The manufacturing planning of modular construction should consider time frame of manufacturing, transport and erection process with limited resources (e.g., modular units, transporter and workers). The manufacturing planning of multi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manages the modular construction's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projects, as a type of modular unit, modular unit quantities, and date for delivery. However, current modular manufacturing planning techniques are weak in dealing with resource interactions and each project requirement in multi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environments. In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during multi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may cause delays and cost overruns to construction operation. In this circumstance, this research suggest a manufacturing planning model for schedule optimization of multi project of modular construction, using genetic algorithm as one of the powerful method for schedule optimization with multiple constrained resources. Comparing to the result of the existed schedule of case study, setting optimized scheduling for multi project decrease the total factory producing schedule. By using proposed optimization tool,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 and saving project time is expected.

Strategic Planning for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Using a Multiple Objective Decision-Making Model (다목표 의사결정 모형을 이용한 전략적 정보 인프라 개발 계획)

  • Lee, Changwon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v.7 no.1
    • /
    • pp.23-36
    • /
    • 1998
  • 본 연구는 특정 조직의 정보 인프라 개발을 위한 전략적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의 사결정 지원 도구로서 다수 목표 의사결정 모형 (Multiple Objective Decision-Making Model : MODEM), 구체적으로는 목표 계획법(Goal Programming : GP)의 응용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대상 조직은 3년 동안의 정보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특 별 프로젝트는 조직 전체에 궁극적인 통합 정보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고 의사 결정자의 전략적 계획 측면에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총 8개의 목표가 수립되었고 현 조직 환경하에서 이들 목포들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되었다. Micro Manager가 본 연구 모형의 실행을 위하여 활용되었고 분석결과 6개의 정보 인프라 프로젝트 중 첫 5개가 실행 되기 위하여 선택되어 졌으며 4개의 네트? 대안 중에서 첫 번째 대안이 최적 대안으로 선 택되었다. 초기 설정 목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변경시킴으로써 연구 모형의 가변성을 검 토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이 실행되었다. 변경된 목표와 우선 순위하에서는 6개의 정보 인프 라 프로젝트 중 3개만이 실행을 위하여 선택되었고 네트? 대안은 첫 번째 대안이 역시 최 적 대안으로 선택되었다. 본 연구 모형은 다수의 서로 상층하는 목표를 가지는 조직 및 이 와 유사한 경영환경에 직면해 있는 전략적 의사결정 수립에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PDF

정보계획수립에서의 참조 모델 구축을 위한 접근방법

  • 김성근;이진실;황순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83-189
    • /
    • 1999
  • 오늘의 기업에게 정보기술이란 필수요소이다. 정보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IT 인프라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해당 조직에 적합한 정보기술 기반구조를 설계하고 이의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보계획 수립(Information System Planning: ISP)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보계획수립 프로젝트의 상당수가 실패로 그치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의 지속적인 변화 때문에 수립한 정보기술 기반구조 계획안이 실제 구현되지 못하고 계획으로만 남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ISP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 참조모델(reference model)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즉, 조직의 정보시스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IT 인프라나 표준 아키텍쳐를 바탕으로 정보계획수립을 수행해 나가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참조모델 기반의 정보계획 수립은 새로운 아키텍쳐를 추출하고 표준화를 이룸으로써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ISP 연구는 ISP의 필요성, 과정, 성공요인 등에 국한되어 왔으며,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최근들어 ISP의 체계적인 분류나 참조모델 기반 계획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와같은 접근에서 참조 모델을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참조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각각의 특징을 제시한다. 나아가서 해당 조직의 상황이나 요구수준에 따라 적합한 접근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방안을 제시한다.타냈으며, 평가결과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동종제품간 평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제품을 비교하였으며, 둘째 소프트웨어 종류별 평가로 제품을 응용소프트웨어, 응용개발도구,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분류하여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셋째, 국내외 제품별 평가분석으로 전체 제품을 국내제품과 국외제품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총괄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 제품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여기에서는 각 제품의 평균점수에 대한 차이를 95%의 유의수준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uted to the society, and what the socioeconomic impacts are resulted from the program. It would be useful for the means of (ⅰ) fulfillment of public accountability to legitimate the program and to reveal the expenditure of pubic fund, and (ⅱ) managemental and strategical learning to give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the making. program and policy decision making,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modeling the socioeconomic evaluation, and build up the practical socioeconomic evaluation mod

  • PDF

Project Portfolio Evaluation Problem-Based on the Initial Construction and Periodic Revision Under Uncertainty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평가문제 - 불확실성 하의 최초 구성 및 주기적 개정을 중심으로)

  • Nam, Jae-Deog;Ahn, Tae-Ho;Yun, Jeong-Sun
    • Journal of the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of Korea
    • /
    • v.34 no.3
    • /
    • pp.107-116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modelling and introducing of the project portfolio construction and evaluation problem under uncertainty. The common way in industry of managing project portfolio is construction of initial portfolio considering uncertainties which exist inside and outside of portfolio, and periodic revision of portfolio due to the deviation from pla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lgorithm which reflecting the industrial common practice of initial planning and periodic revision. With this simulation method,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portfolio's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can be found.

PERT와 CPM을 이용한 인공위성 개발 프로젝트 일정계획에 관한 연구

  • Kim, Hyeong-Wan;Choe, Jeong-Su;Park, Jong-S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74.1-174.1
    • /
    • 2012
  • 현재 인공위성 개발 프로젝트들을 계획하고 일정계획을 수립하기위해 간트차트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간트차트는 프로젝트의 각 작업들이 언제 시작하고 종료되는지에 대한 작업 일정을 막대 도표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프로젝트 일정표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작업경로를 표시할 수 없으며 계획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목요연하게 눈으로 보여줄 수 있으나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중요한 활동 사이의 어떤 관계에 대한 정보를 주지 못한다. 인공위성개발과 같은 복잡한 프로젝트에 대해 간트차트와 더불어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와 CPM(critical path method)과 같은 네트워크 도(Network Diagram)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그 이론과 활용방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PERT와 CPM은 큰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조정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는 두 가지 기법이다. PERT와 CPM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활동에 대한 그래프를 통한 도시, 프로젝트 소요시간 추정, 프로젝트 완료시간 준수를 위해 중요한 활동의 식별,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지연 없이 가능한 각 활동의 지연시간 추정과 같은 이점이 있다. PERT와 CPM은 독립적으로 개발되었지만, 많은 공통점이 있다. 더 나아가서 둘 사이에 원래 존재했던 차이점은 많은 부분은 서로의 특징을 도입하면서 거의 사라졌다. 실제적으로 볼 때, 두 기법은 지금 같은 기법이며, 기술된 특징과 절차는 PERT분석 뿐 아니라 CPM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by Integrating Schedule and Cost (비용$\cdot$일정 통합관리를 이용한 자원소요계획에 관한 연구)

  • Song Young-Woong;Choi Yoon-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1 s.13
    • /
    • pp.106-113
    • /
    • 2003
  • In this study, The matrix method was used with common category concep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roject control system.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resource management planning, it should be established on accomplished EVM data for clearing the ordering point according to the attribute procurement analysis. Resource management was presented by connecting the material requirement calculation method and the attribute of procurement method based on the EVM, suggested through analyzing process-data modeling using integrated schedule, cost and material.

Planning for Re-engineering of Legacy Systems (레거시 시스템의 재공학을 위한 계획)

  • Kim, Chul-Hong;Cha, Jung-Eun;Yang, Young-J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609-615
    • /
    • 2003
  • 본 논문은 레거시 시스템을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으로 재공학하는 절차 및 기법을 제공하는 마르미-RE의 전체 단계 중 계획 단계에 대한 상세한 프로세스를 서술한다. 계획 단계는 11개의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각각 4개의 활동인 현황 파악, 개선 비즈니스 도출, 개선 전략 수립, 개발 계획 수립으로 그룹핑 된다. 현황 파악 활동은 업무의 전반적인 정보 분석을 통해 조직의 구조와 업무의 흐름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비즈니스 모델 도출은 유스케이스 모델링과 객체 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개선 업무 모델을 도출한다. 개선 전략 수립 활동은 변환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마지막으로 개발 계획 수립 활동에서 변환을 위한 프로젝트 계획서가 작성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