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젝트범위설정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초

효율적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관련 기초 연구 (A Fundamental Research on Scope Definition for Efficient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Project)

  • 주상현;이재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6-110
    • /
    • 2008
  •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공사 프로젝트는 그 공정상의 특수성과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공정관리나 프로젝트관리에 대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건축이나 토목 프로젝트 관리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과업범위설정에 대한 개념을 조경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유익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파업범위설정은 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나 시간적 투자 없이 간단한 절차를 통해 시행해 볼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과업범위설정과 관련된 절차를 통해 얻어지는 결과는 매우 실질적이라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 조경공사 프로젝트 수행 시 수반되는 과업범위설정 과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효율적인 조경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과업범위설정을 돕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조경공사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문헌 연구와 설계사례 분석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3개 분야 8개 부분의 50개 요소를 조경프로젝트 성공요소로 도출하게 되었다. 도출된 요소들은 조경공사 프로젝트 참가자들 간의 과업범위설정 수준을 향상시키며 효율적인 조경 공사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분석대상 항목의 평가기준 설정 (Identifying Criteria for Feasibility Study of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 신우식;박근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5호
    • /
    • pp.110-118
    • /
    • 2005
  • 개발형 건설프로젝트의 성공은 사업초기단계에서 얼마나 정확히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건설프로젝트는 매우 다양하고 각 프로젝트별로 고려되는 요소들도 각기 다르게 적용된다. 또한, 다양한 주변의 환경요인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타당성을 사업초기단계에서 예측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개발형 프로젝트중 공동주택 개발사업의 사업타당성 분석에 필요한 분석 대상항목 및 평가기준 설정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항목 및 평가기준설정을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분석 대상항목별 중요도에 의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타당성 분석 평가기준을 마련하는데 이용토록 한다. 제시된 사업 타당성 분석 대상항목과 평가항목의 평가범위 기준설정은 사업타당성 분석업무 수행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NATM 터널 물량산출을 위한 BIM 모델링 가이드라인 (BIM-modeling Guideline for Quantity Estimation of NATM Tunnel Construction)

  • 신재철;백영인;엄병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73-73
    • /
    • 2011
  • 현재의 NATM터널에 대한 물량은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산출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수작업에 많이 의존하게 되므로 실수로 인한 물량의 오류와 사람의 능력에 따른 물량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는 BIM기반의 모델에서 자동적으로 물량을 산출하여 물량산출의 오류나 차이점을 바로잡고 설계변경에 따른 물량산출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려는 프로젝트에 필요한 BIM 모델링을 통한 물량산출 프로세스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또한, 여러 BIM 프로그램들은 각각의 모델링 및 물량산출 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프로세스로 통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Autodesk사의 Revit Structure에 적합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NATM 터널의 전체 구간이 아닌 본선구간만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체적인 NATM 터널의 BIM기반 물량산출 모델링 프로세스를 BIM 모델링과 BIM 물량산출로 분리하였다. BIM 모델링 프로세스는 물량산출의 대상과 범위 설정, 모델링을 위한 CAD도면 작성, 패밀리 파일의 설정, 공종별 모델링 작업으로 구성된다. 물량산출의 대상과 범위 설정 단계에서는 NATM 터널의 CAD 파일과 수량 산출서를 분석하여 물량산출을 위한 공종별 물량산출 범위를 확정하고, 도면에 표시되지 않는 물량정보를 파악하여 물량 값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모델링을 위한 CAD도면 작성 단계에서는 Revit Structure 특성을 고려하여 모델링에 참조하는 CAD 도면을 Revit Structure에서의 모델링에 적합하게 편집해야한다. 그리고 패밀리 파일의 설정과 공종별 모델링 작업 단계에서는 CAD도면과 Revit Structure의 패밀리 파일과의 단위를 일치시키고 NATM 터널의 특성에 맞게 공종별 모델링을 실시한다. BIM 물량산출 프로세스는 모델링 데이터의 분할, 패밀리의 재구성, 물량산출로 구성된다. 모델링 데이터의 분할단계에서는 물량산출의 목적에 맞게 CAD에서 기준선을 작성하여 공종별 모델링이 작성된 패밀리 파일로 불러온 다음 모델을 분할해야한다. 그리고 패밀리의 재구성과 물량산출단계에서는 분할된 공종별 모델의 패밀리 파일을 프로젝트 파일로 불러온 다음 물량산출의 목적에 맞게 재배치하여 물량을 산출한다.

  • PDF

거시 환경 분석을 통한 국내 건설 프로젝트 성과의 주요 영향지표 도출 (Critical Impact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s through Megatrend Analysis)

  • 임현수;서정훈;유위성;김창원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7-218
    • /
    • 2022
  • 생산 과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적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거시환경 변화는 대표적인 수주산업의 하나인 건설산업의 단위 프로젝트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시환경 변화는 성공적인 사업 성과 달성을 위한 전제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는 생산과정 내에서의 성과관리를 위한 방안들을 주요 결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거시적 측면에서의 환경 변화를 분석하여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표 도출을 제안하였다. 주요 영향지표는 관련 법령 및 정책, 미래전략보고서 등의 주요 분석 내용을 기초로 도출된 중점 키워드를 조합하여 설정하였으며, 지표별 중요도는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설 프로젝트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성공적인 성과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유의미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프로젝트 VE업무 기준 수립 모델 (Standard Establishment Model for Value Engineering Work in Construction Projects)

  • 김수용;인치성;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3-486
    • /
    • 2006
  • 건설 프로젝트에서 VE는 예산절감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이며 최근 건설VE 업무의 적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VE 업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건설VE 업무 진행과정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업무 능률을 효율화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은 발주자 및 사용자의 요구항목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초기 VE 업무의 접근 방향 및 기준 설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적으로 진행되는 분석단계의 기능분석 및 아이디어 창출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성공적인 VE 성과를 도출 가능하게 할 것이다.

  • PDF

CMM 기반 정보기술 업체 수준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f CMM base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level estimation)

  • 김태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3-39
    • /
    • 2004
  •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국내 실정에 맞는 CMM 기준 프로젝트관리와 정보시스템 감리 항목등과 분석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CMM을 기준하여 각 프로세스별 수행결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해당 수치의 목표범위 내 관리가 가능하게하기 위해 gap 분석 및 평가를 반복해서 수행하여 품질관리, 생산관리, 원가관리, 지식의 통합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정보화 기반의 지식 경영을 강화하고, 정보의 고급화, 차별화를 통해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고, 프로세스 최적화를 통해 업무효율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자발적 노력을 통해 조직 성숙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 내 정보능력 측정에 있어 4단계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관리 및 감리 항목을 설정하고, 국내 5전문 업체에 적용 분석, 평가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Enterprise Architecture 결과물 분석을 통한 아키텍처 도입 노력의 판별 - 미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

  • 김성근;박현주;박혜진;한준식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2년도 추계 컨퍼런스: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 및 정보기술 컨퍼런스
    • /
    • pp.431-455
    • /
    • 2002
  • 최근 Enterprise Architecture(EA)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공공분야 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에서도 정보화 노력에 아키텍처의 개념을 도입하려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조직에서 아키텍처의 개념을 도입하려는 노력은 매우 다양하다. 즉, 아키텍처 도입의 목적, 범위, 접근 등의 관점에서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해오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 도입의 다양성은 아키텍처의 본질적 모습에 대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 이 EA의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실정에 비추어 이 EA의 개념적 실체를 보다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수행된 EA 산출물을 분석해봄으로써 EA 노력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들 노력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EA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EA 도입 프로젝트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본다.

  • PDF

효율적인 ERP 운영을 위한 생산관리 프로세스 정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cess Definition of Production Management for Efficiency ERP)

  • 남승돈;양광모;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9-92
    • /
    • 2003
  • 현재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업계의 동향은 외산 전사적자원관리업체들이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SAP코리아와 한국오라클이 이미 국내 중소ㆍ중견기업시장을 타갓으로 한 제품을 선보인 데 이어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까지 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국내 ERP업계는 외산업체들의 공격적인 SMB시장 전략으로 국내 업체들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보다 주도면밀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등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의 주요 업무에 대한 전산화는 개발요원들이 전산화를 요구하는 부서의 업무를 분석하고 각종 개발 툴을 이용하여 각 부문의 업무 프로세스에 맞게 구축하는 주문식 개발방법이 보편적이었으나, 기업들도 전문 소프트업체의 경영 어플리케이션 패키지(business application package) 제품을 구입해 구축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ERP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중에 하나인 K업체의 생산관리 모듈을 대상으로 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K업체의 제조관련부분에 대한 업무분석을 통하여 ERP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한 목표설정과 범위, 실적 평가 기준정립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중소제조기업의 생산정보시스템 개발 방법론(PSDM)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roduction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PSDM) for the effective manufacturing Informatization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주석정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7-432
    • /
    • 2003
  • 효과적인 중소기업 생산정보화를 위하여 시스템 개발 과정을 표준화하고 단계별 주요 활동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 범위 일정 비용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WBS 작성, 시스템의 신뢰성 품질 생산성 향상을 위한 관리 항목 설정, 중소기업 IT업체 감리업체 등 참여기업간의 의사소통, 그리고 구축된 생산정보화의 유지보수를 포함한 운영지원 등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 중소기업 생산정보화에 적합한 시스템 개발 방법론(PSDM : Production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에 관하여 연구 개발한다. 이 PSDM의 연구로 생산정보화를 구축하고자 참여하는 많은 중소기업 및 IT업체들이 표준화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가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PDF

설계단계에서의 발주자 요구사항 관리를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Systems for Managing Information on Owner's Requirements in the Design Phase)

  • 유승연;이준성;박정대;전준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26-135
    • /
    • 2008
  • 본 연구는 설계프로젝트 업무 수행에 있어 지침이 되는 발주자 요구사항의 체계적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관리 시스템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국내외 발주자관리 업무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세 가지 실행방안을 설정하고 구체화하였다. 첫 번째 실행방안은 설계자의 발주자대상 업무 체계화로, 정보 중심의 발주자관리 업무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두 번째는 발주자 요구사항 관리로, 발주자 주요관심 요구사항 항목을 설정하였다. 세 번째는 발주자 요구사항 사례정보 관리로, 초기 발주자 요구사항 수집을 지원하기 위하여, 발주자 주요관심항목과 그에 따른 범위를 설정하고, D/B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화 시스템안을 개발 제안하였다. 발주자요구사항의 체계적 관리를 통하여 발주자 요구정의의 신뢰도 향상과 발주자 관련 정보 활용도 증진에 기여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