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브 교정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다중 프로브 교정 오차 보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Error Compensation Program for the Articulating Probe Calibration)

  • 김형주;이동주;정광진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4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다중 프로브 교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측정하여 보정함으로써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교정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기준구를 측정하여 오차를 산출한 다음 프로브 파라미터가 기록된 시스템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교정 오차를 보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실제값의 차가 CMM 분해능의 2배 이내임을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은 CMM 사용자가 직접 작성 및 편집 가능하도록 DMIS 언어를 사용하였다.

  • PDF

SAR 측정 및 교정기술에 관한 한국-일본 공동 연구

  • 김기회;오학태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17권4호
    • /
    • pp.3-10
    • /
    • 2006
  • 한국의 전파연구소와 일본의 정보통신연구기구는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통신기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흡수되는 에너지 정도를 측정하는 전자파 흡수율(SAR) 평가에 대한 오차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종의 SAR 시스템에서 프로브, 교정용 도파관 및 기준 다이폴 안테나를 상호 교체하여 교정하여 프로브의 교정인자를 구하고 유효성 검사를 통하여 교정 오차를 검증하였다. 프로브 교정에 대한 상호 오차는 0.2 dB 이하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효성 오차는 최대 0.28 dB를 얻었다. 그러나 SAR 외삽 알고리즘이 다를 경우는 최대 0.48 dB의 상대 오차를 보였다.

4-포트 수평/수직 겸용 프로브용 교정키트 (Calibration Kit for 4-Port Horizontal/Vertical Probing)

  • 김태호;김종현;김성준;김광호;푸 보;나완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559-57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4-포트 수평/수직 프로브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수직 커넥터 핀의 특성 측정 시 사용되는 회로망 분석기의 교정용 키트(calibration kit)를 제안한다. 기존의 수평면에서 사용되는 교정키트를 사용하면, 교정 후 프로브 암의 변경 및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시간 소요뿐 아니라, 주변 상황에 민감한 프로브 팁의 위치 변동에 기인한 정밀도 훼손의 위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4-포트 수평/수직 겸용 교정키트를 제시한다. 교정은 SOLT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Short, Open, Load는 수평면에서 교정하며, Thru는 프로브의 위치에 따라서 교정기판의 같은 수평면에서 교정하거나 또는 교정기판의 위쪽, 아래쪽을 수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다. 즉, 기판에 수직한 Thru를 교정할 때에는 교정키트를 수직으로 세워 키트 양면을 사용하여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교정키트에서의 SOLT 회로 반사/전달 특성을 기존 교정키트의 SOLT 회로의 반사/전달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두 교정키트의 전달 특성은 길이 보정 후, 300 kHz부터 8.5 GHz까지 약 ${\pm}0.1$ dB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설계/제작된 4-포트 수평/수직 교정키트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각각 수평 측정의 경우와 수직 측정의 경우의 두 가지 경우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의 교정키트를 사용한 후 측정된 결과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였다.

고전압 나노초 펄스 측정을 위한 D-DOT 프로브의 동작특성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D-DOT Probe for Nanosecond High-Voltage Pulse Measurements)

  • 임수원;조주현;김종수;김영배;류홍제;진윤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94-1596
    • /
    • 2011
  • 고전압 펄스 성형회로의 출력 펄스를 측정하기위한 D-DOT 프로브를 설계 제작하고 그 동작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프로브는 고전압 펄스 전송선의 외함에 전계방향과 병렬로 설치되었다. 프로브의 중심도체는 지름 4.6 mm의 구리선이고, 바깥도체는 안지름 15 mm의 알루미늄이며, 이들 도체사이에 동축의 테플론 절연체가 삽입되었다. 프로브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고전압 펄스신호의 미분된 형태의 신호가 측정되므로 오실로스코프의 적분기능을 사용하였다. 실제 제작한 프로브의 교정비는 $7.7{\times}10^{12}$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얻은 교정비는 $7.38{\times}10^{12}$였다.

  • PDF

온풍난방기용 Gun식 가스버너의 스월유동장에 대한 5공압력프로브의 측정 (Measurements of Five-Hole Pressure Probe on Swirling Flow Fields of Gun-Type Gas Burner for Furnace)

  • 김장권;오석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2호
    • /
    • pp.991-997
    • /
    • 2014
  • 이 연구는 Gun식 가스버너의 스월유동장을 연소실과 화염이 없는 상태에서 직선형 5공압력프로브의 측정을 통해 고찰하였다. 직선형 5공압력프로브에 의한 속도 및 정압성분들은 넌널링 교정방법에 의해 연산하였으며, X형 열선프로브와 전산유체역학의 해석에 의한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Gun식 가스버너의 중심부에서 스월유동장에 대해 5공압력프로브에 의한 속도 및 정압의 측정값들은 비교적 X형 열선프로브에 의한 경우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였으나 전산유체역학의 해석에 의한 경우보다는 다소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접촉식 프로브의 오차교정 및 보정기술 (Calibration/Compensation of Errors of the Touch Probe)

  • 박희재;이교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2081-2087
    • /
    • 1994
  • Touch trigger probes are widely used for inspection purposed in the CMM(Coordinate meauring machine) or machine tool. The errors introduced by measurement probe are fairy systematic, thus can be calibrated and compensated properly.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for the error calibration and compensation of the probe errors, which can be easily applicable to the manufacturers and users of the measurement probe. The probe coordinate system is defined for the probe error assessment, and a reference sphere ball is measured, and the probe errors are calibrated. The calibrated probe errors are represented in the 3D error map and 2D error map along probing direction. Detail algorithms for the error compensation are proposed.

진단용 무선 감마선 프로브 개발 및 유용성 평가 (Development of a Wireless Gamma-ray Probe for Diagnosing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 박혜민;주관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2호
    • /
    • pp.173-181
    • /
    • 2015
  • 연구에서는 진단 및 수술 후 잔여병소의 검출을 위하여 방사선계수 방식의 무선 감마선 프로브를 개발하고, 교정선원과 팬텀을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 하였다. 반도체기반 방사선센서를 사용하여 프로브 설계 및 소형화 하였으며, 블루투스 원격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진단 및 검출 시스템의 무선화를 구현하였다. 또한 진단 및 수술 시 환부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프로브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교정선원 $^{57}Co$, $^{133}Ba$, $^{22}Na$, $^{137}Cs$과 닭 가슴살 팬텀을 사용하였다. 평가를 통해 감마선에 대한 프로브의 검출 반응성을 확인하였고, 감마선 세기에 따른 응답 선형성과 검출 방향성, 팬텀 내 선원 깊이에 따른 프로브의 검출효율을 평가를 통해 실증적인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열선-냉선 조합 프로브에 의한 난류 열유속 측정기법 (Turbulent heat flux measurement technique using a hot-and cold-wire combination probe)

  • 김경천
    • 기계저널
    • /
    • 제33권9호
    • /
    • pp.780-792
    • /
    • 1993
  • 난류 열유속 측정을 위한 실험기법을 고찰해본 결과, 열선-냉선 조합 프로브의 사용이 현재로 서는 가장 가능성 있는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기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난류의 온도 변동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의 확보임을 알았다. 그동안 사용되어 왔던 각종 냉선온도계의 검토와 본 연구실에서 새로이 개발한 냉선온도계의 설계 및 제작 기법에 대해 소 개하였다. 여러 가지 관점에서의 성능 비교를 통해 본 연구실에서 개발된 냉선 브리지의 성능이 상당히 우수함을 보였다. 난류 열유속의 측정과 비등온 유동에서의 난류 속도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브는 X형 hot-wire 프로브와 I형 cold wire 프로브를 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온도와 속도를 함께 고려하여 교정함으로써 온도구배가 있는 속도장과 난류열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 PDF

유동속도계측을 위한 5공압력프로브의 새로운 교정 알고리듬 (A New Calibration Algorithm of a Five-Hole Pressure Probe for Flow Velocity Measurement)

  • 김장권;오석형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25
    • /
    • 2008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new calibration algorithm of a straight-type five-hole pressure probe necessary for calculating three-dimensional flow velocity components. The new data reduction method Includes a look-up, a geometry transformation such as the translation and reflection of nodes, and a binary search algorithm. This new calibration map was applied up to the application angle, ${\pm}55^{\circ}$ of a probe. As a result, this data reduction method showed a perfect performance without any kind of interpolation errors In calculating yaw and pitch angle from the calibration ma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