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라이버시 보호

Search Result 885,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the hybrid privacy-preserving techniques by 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and randomization (다자간 계산과 랜덤화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에 관한 연구)

  • Kim, Jong-Tae;Kang, Ju-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61-1064
    • /
    • 2008
  • SMC로 불리는 안전한 다자간 계산 프로토콜은 이론적으로 완벽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및 데이터 정확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컴퓨팅 환경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할 정도로 비효율적이다. 매우 효율적이어서 실용화 되어 있는 랜덤화 기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지니고 있다. 최근 SMC와 랜덤화 기법을 적절히 혼합한 형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이 Teng-Du(2007)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Teng-Du의 기법을 면밀히 분석하여 새롭게 구현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SMC 기술로는 Vaidya-Clifton의 스칼라곱 프로토콜을 채택하고, Agrawal-Jayant-Haritsa가 제안한 랜덤대치 기법을 랜덤화 기술로 선택하여 복합적으로 사용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을 제안한다.

Balancing the Fair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ata Protection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보호의 균형)

  • Kim, Beom-Su
    • CRM연구
    • /
    • v.1 no.1
    • /
    • pp.71-85
    • /
    • 2006
  •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의 대량 유통, 상품배송기관을 통한 개인정보의 유출, 명의도용, 신용정보유출 등의 정보프라이버시 침해의 사례가 많이 발표되면서,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정보 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의 보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과 시민의 관심을 반영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법률과 제도가 최근에 검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전자우편주소 등 비교적 민감하지 않은 개인정보를 기업의 마케팅이나 홍보에 이용하는 경우의 좁은 의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서비스 와 관련된 법률, 정책 및 제도를 정보의 생성과 이용의 흐름 및 경제주체를 중심으로 적절한 정보의 이용이 보장 되면서 개인의 정보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해외의 개인정보서비스 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인정보서비스산업이 활성화되었을 때 개인의 만족증대, 실질적인 정보보호 수준의 향상, 고용창출, 기업활동의 효율화, 관련기업의 국제경쟁력 고양 등의 기대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보호, 그리고 정보서비스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정 및 개정, 정보보호 제도의 개발 및 효과적 운영, 장기적 정보서비스 산업 활성화 정책 수립과 단계적 추진,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민간 재원 확보, 사회적 공감대 형성, 지속적인 연구 등을 제안한다.

  • PDF

A Policy-based Privacy Authorization System in the Internet Environment (인터넷 환경용 정책 기반 프라이버시 인가 시스템)

  • Choi, Hyang-Chang;Park, Hee-Man;Lee, Seung-Yong;Noh, Bong-Nam;Lee, Hyung-Hy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6 no.6
    • /
    • pp.47-61
    • /
    • 2006
  • In the Internet era, enterprises want to use personal information of their own or other enterprises' subscribers, and even provide it to other enterprises for their profit. In this paper, a privacy authorization system for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privacy policies of users and enterprise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Privacy policies of users and enterprises are described in XACML. Also, components of policy in XACML 2.0 such as Purpose, Obligation are suitable for expressing privacy policy. A prototype of privacy authorization system is implemented by modifying and extending the SUNXACML 1.2, a Sun's implementation of XACML 1.0 and some features of XACML 2.0, and GUI tools for composing and verifying are also developed.

The Privacy Safety of Public Data: A Case Study on Medical Statistics HIRA-NPS 2011 (공개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안전성: 진료정보 통계자료 HIRA-NPS 2011 사례 분석)

  • Kim, Soohyung;Chung, Yon Dohn;Lee, Ki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786-789
    • /
    • 2013
  •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가 많은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배포되고 있다. 이러한 공개 데이터는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배포에 앞서 항상 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 보호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배포되는 많은 데이터는 충분하지 못한 프라이버시 보호 과정을 거쳐 배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안전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배포한 2011년 진료정보 통계자료(HIRA-NPS)를 실험에 사용한다. 분석을 위해 기존에 널리 쓰이는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k-익명성(k-anonymity)과 l-다양성(l-diversity)을 차용하여 안전성 판단의 척도를 정의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에 이 척도를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안전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가 갖는 의미를 분석한다.

A Dynamic Access Control System For Privacy Protec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동적 접근 제어 시스템)

  • Lee, J.;Kim, 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118-121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호하면서 개인 정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다양한 장치들이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네트워크 서비스를 받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구하게 된다. 이때 개인의 정보에 따른 동적인 접근 제어와 프라이버시의 보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상황 인식(Context-Aware)에 따라서 장치와 컨텐츠를 제공하는 프레임 워크를 설계한다. 추가적으로 인증서를 통한 네트워크 통신의 보안을 제공한다.

  • PDF

U-컴퓨팅의 사회문화적 수용: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절에서 본 전망과 대책

  • 윤영민
    • Review of KIISC
    • /
    • v.14 no.1
    • /
    • pp.56-64
    • /
    • 2004
  •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정보주체의 자기정보관리를 요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해 몇 가지 주목할만한 진전이 있었지만 아직 정보주체의 자기정보관리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법 제도나 기술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사회적 신뢰는 매우 낮은 수준에 있다. 만약 지금 상태로 u-컴퓨팅 시대를 맞이한다면 우리사회는 심각한 혼란에 빠지게 될 지도 모른다. 국가적으로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획기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선도적 집단들은 우리 사회의 신뢰수준을 높이는데 진력해야 하고 정부는 관련 법제도 정비와 PETs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The privacy protect Method for Private information security of Ubiquitous Network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Kim, Ki-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132-135
    • /
    • 2007
  • 유선망, 무선망, 통신 방송 융합 등이 이루어진 BcN망은 기존 접속망을 통한 보안성 위협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개방형 망구조로 인해 쉴게 액세스가 용이하므로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개인 프라이버시 유출 위험이 존재하므로, 신뢰성 보장 및 접근 정보의 보호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SNS Privacy Protection using Public Certificate (공개키 인증서를 이용한 SNS 프라이버시 보호 연구)

  • Jang, Yu-Jong;Kwak,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572-575
    • /
    • 2013
  •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보 노출 수준의 설정을 하고 이를 통하여 프라이버시 노출을 방지한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가 정보의 공유를 지향함에 따라 정보 노출 수준 설정만을 통해서는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어렵다. 이러한 정보 노출 수준 설정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 관해서만 접근제어가 가능하지만, 친구에서 친구로 공유된 자신의 정보 같은 경우에는 정보 노출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이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는 자신이 생성한 정보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다른 사용자들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키 인증서 시스템을 통하여 자신이 생성한 정보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보안 모델을 제안한다.

Understanding Privacy Infringement Experiences in Courier Services and its Influence on User Psychology and Protective Action From Attitude Theory Perspective (택배 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이 심리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태도이론 측면)

  • Se Hun Lim;Dan J. Kim;Hyeonmi Y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5 no.3
    • /
    • pp.99-120
    • /
    • 2023
  • Courier services users' experience of violating privacy affects psychology and behavior of protecting personal privacy. Depending on what privacy infringement experience (PIE) of courier services users, learning about perceived privacy infringement incidents is made, recognition is formed, affection is formed, and behavior is appeared. This paradigm of changing in privacy psychologies of courier services users has an important impact on predicting responses of privacy protective action (PPA). In this study, a theoretical research framework are developed to explain the privacy protective action (PPA) of courier services users by applying attitude theory. Based on this framework, the relationships among past privacy infringement experience (PIE), perceived privacy risk (PPR), privacy concerns (i.e., concerns in unlicensed secondary use (CIUSU), concerns in information error (CIE), concerns in improper access (CIA), and concern in information collection (CIC), and privacy protective action (PPA)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surveyed by people with experience in using courier services and was analyzed for finding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using structured an equation modeling software, SMART-PL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IE, PPR, privacy concerns (CIUSU, CIE, CIA, and CIC), and PPA.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privacy management research in courier servic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urier services business model.

Noise Averaging Effect on Privacy-Preserving Clustering of Time-Series Data (시계열 데이터의 프라이버시 보호 클러스터링에서 노이즈 평준화 효과)

  • Moon, Yang-Sae;Kim, Hea-Su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3
    • /
    • pp.356-360
    • /
    • 2010
  •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efforts on privacy-preserving data mining. In privacy-preserving data mining, accuracy preservation of mining results is as important as privacy preservation. Random perturbation privacy-preserving data mining technique is known to well preserve privacy. However, it has a problem that it destroys distance orders among time-ser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tion of the noise averaging effect of piecewise aggregate approximation(PAA), which can be preserved the clustering accuracy as high as possible in time-series data clustering. Based on the noise averaging effect, we define the PAA distance in computing distance. And, we show that our PAA distance can alleviate the problem of destroying distance orders in random perturbing time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