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력터빈 블레이드

Search Result 15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Wind Tunnel Test for Scaled Wind Turbine Model (Scale effect correction) (풍력터빈 축소모델 풍동시험 : 축소효과 보상기법)

  • Cho, Tae-Hwan;Kim, Yang-Won;Park, Young-Min;Chang, Byeong-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82-285
    • /
    • 2008
  • NREL Phase VI 12% 축소모델을 사용한 표준풍력터빈 풍동시험은 2006$\sim$2007년에 수행되었다. 1,2차 풍동시험은 복합재 및 알루미늄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제작정밀도 및 표면상태에 의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차 풍동시험은 축소효과보상기법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Bo-105 40% 모델에 사용된 코드확장기법을 적용하여 15% 코드확장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풍동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코드확장기법을 적용할 경우 풍속에 대한 토크 기울기는 실물모델과 잘 일치하나, 최대토크 대비 8%정도 간극을 나타내고 있다. 풍력터빈 블레이드와 같이 캠버가 큰 익형을 사용하는 회전체에 대한 수정된 보상기법을 적용할 경우 이러한 간극은 보상될 수 있다.

  • PDF

Wind turbine test results by blade surface condition in wind tunnel test (풍동시험에서 블레이드 표면상태에 따른 풍력터빈 성능변화)

  • Cho, Tae-Hwan;Kim, Yang-Won;Lee, Deok-Ho;Chang, Byeong-Hee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2 s.10
    • /
    • pp.53-59
    • /
    • 2007
  • NREL Phase VI 12% 축소모델을 사용한 표준풍력터빈 풍동시험은 2006년에 1차 시험이 수행되었다. 1차 풍동시험은 복합재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표준조건(설치각 3도)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블레이드 표면상태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 것을 파악하였다. 2007년 4월에 수행된 2차 풍동시험은 표면상태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알루미늄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블레이드 제작 정밀도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낮은 레이놀즈 수 영역(저속영역)에서는 블레이드 표면상태 따라 토크 값 다르게 나타나며, 블레이드 끝단 부근의 제작 정밀도는 최대 토크 이후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0.1mm 이내의 정밀도로 제작된 모델의 경우 NREL 시험결과와 전체적인 형상이 유사하게 나타나며, 축소효과에 의한 영향으로 최대토크는 약 25% 정도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 PDF

The Design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Wind Turbine Blades for Low Wind Speed (저풍속에 적합한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설계 및 전기적 특성)

  • Lee, J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513-514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은 상대적으로 낮은 풍속에 적합한 6[W]급 풍력터빈의 블레이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풍력발전기의 출력은 풍속 및 블레이드의 회전수에 매우 의존적으로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전력도 증가하였다. 또한, 피치각에 따라 블레이드의 회전수도 매우 다르며, 낮은 풍속 상태에서는 공기의 힘을 받는 면적이 클수록 출력특성이 줄게 나타났다. 최대출력은 피치각 $10^{\circ}$, 풍속 5.5[m/s]일 때 3.8[W] 의 출력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Turbine Blade with Composite in Wind Turbine (복합재료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용 터빈 블레이드의 개발)

  • 조정미;이경봉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5
    • /
    • pp.342-350
    • /
    • 1994
  •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알루미늄 압출재 블레이드를 복합재료로 대치하여 개 발함으로써 이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풍력발전기의 개발 추세는 점차 메가와트 (megawatt)급 시스템으로 진행되어 터빈 블레이드가 대형화됨에 따른 터빈브레이드의 경량화 및 내구력의 향상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는 복합소재의 사용으로 경량화를 통한 시스템 각요소의 제작비용절감 및 내구력 향상을 통한 시스템의 수명증대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러나 복합재료를 사용한 터빈 블레이드는 기존의 알루미늄을 이용한 재료보다는 가격경쟁에서 다소 떨어지며 제작공정상의 어려움과 정밀한 설계기술의 미개발 등 아직도 많은 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풍력에너지 이용 선직국의 개발추이로 보아 대용량시스템의 터빈 블레이드는 복합소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보다 효율적인 양산시스템의 구축과 최적설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시되면 기존의 블레이드와는 충분한 경쟁성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Individual Pitch Control of NREL 5MW Wind Turbine Blade for Load Reduction (NREL 5MW 풍력터빈의 블레이드 하중 저감을 위한 개별피치제어)

  • La, Yo-Han;Nam, Yoon-Su;Son, Jae-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1
    • /
    • pp.1427-1432
    • /
    • 2012
  • As the size of a wind turbine increases, the rotor diameter increases. Rotor blades experience mechanical loads caused by the wind shear and the tower shadow effect. These mechanical loads reduce the life of the wind turbine. Therefore, with increasing size of the wind turbine, wind turbine control system design for the mitigation of mechanical loads is important. In this study, Individual Pitch Control in introduced for reducing the mechanical loads of rotor blades, and a simulation for IPC performance verification is discussed.

중대형 풍력터빈의 주요 재료

  • Hwang, Byeong-Seon;Yeom, Jong-Taek;Lee, Jin-U
    • 기계와재료
    • /
    • v.21 no.2
    • /
    • pp.50-73
    • /
    • 2009
  • 본 고는 중대형 풍력터빈의 핵심부품인 로터 블레이드, 대형베어링, 증속기, 발전기, 전략변환장치, 타워 등에 사용되는 주요재료에 대한 설명과 제조방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해 다루어 졌다. 일반적으로 풍력터빈을 구성하는 소재는 금속소재와 비금속재료로 구분되며, 비금속재료는 대부분 복합재료로써 풍력 블레이드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육상용 풍력터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해상용 풍력터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극지 해상의 대형 시스템에 활용되고 있는 금속소재의 경우, 고강도, 저온인성, 내피로, 내식성 등이 우수한 강재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여러 소재 측면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소재설계의 비중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 본 고를 통해 풍력터빈에 활용되고 있는 소재의 전반적인 내용과 관련 소재부품의 제조 및 평가 방법등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Shape design and flow analysis on a 200W-class gyromill type vertical axis wind turbine rotor blade (200 W급 자이로밀형 수직축 풍력터빈 로터 블레이드 형상설계 및 유동해석)

  • Cho, Woo-Seok;Kim, Hyun-Su;Choi, Young-D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2
    • /
    • pp.170-177
    • /
    • 2013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hape design and flow analysis on a 200 W-class Gyromill type vertical axis wind turbine rotor blade. Single tube theory is adopted for the shape design of the turbine blade. 2-dimensional CFD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turbine performance with basic shape, and then 3-dimensional shape is determined from the examination of the performance. By the CFD analysis on the 3-dimensional shape of the wind turbine, performance of the turbine is examined and also, shape of the wind turbine rotor blade is determined according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 200 W-class Gyromill type vertical axis wind turbine rotor blade is design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design method is confirmed by CFD analysis.

A Study on the High Efficiency Aerodynamic Performance of 4.3MW Class Wind Power System Blade for Separation Blade (분리형 블레이드를 위한 4.3MW급 풍력 발전 시스템 블레이드의 고효율 공력 성능 연구)

  • Yonggyu Lee;Hyunbum Park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6
    • /
    • pp.94-99
    • /
    • 2023
  • Recently, renewable energy has been widely used as a source of wind energy and solar energy due to the shortage of fossil fuel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gainst this backdrop, wind energ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energy source, and the wind power market is showing rapid growth worldwide. In this study, a high-efficiency wind turbine blade was designed with an integrated blade aerodynamic design for prior research on separate blades. The blade airfoil was applied as NACA 4418, and it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analysis results to evaluate the newly designed blade.

KARI LSWT Wind Tunnel Test for Wind Turbine 2;NREL Phase VI 12% Model (KARI LSWT 표준풍력터빈 풍동시험 2;NREL Phase VI 12% 모델)

  • Cho, Tae-Hwan;Kim, Yang-Won;Lee, Deok-Ho;Chang, Byeong-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57-360
    • /
    • 2007
  • NREL Phase VI 12% 축소모델을 사용한 표준풍력터빈 풍동시험은 2006년에 1차 시험이 수행되었다. 1차 풍동시험은 복합재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표준조건(설치각 3도)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블레이드 표면상태에 따라 측정값이 영향을 받는 것을 파악하였다. 2007년 4월에 수행된 2차 풍동시험은 표면상태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알루미늄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블레이드 제작 정밀도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낮은 레이놀즈 수 영역(저속영역)에서는 블레이드 표면상태 따라 토크 값 다르게 나타나며, 블레이드 끝단 부근의 제작 정밀도는 최대 토크 이후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0.1mm 이내의 정밀도로 제작된 모델의 경우 NREL 시험결과와 전체적인 형상이 유사하게 나타나며, 축소효과에 의한 영향으로 최대토크는 약 25% 정도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 PDF

Acoustic Noise Measurement for the wind turbine blade by usig time-domain beamforming (시간영역 빔포밍을 사용한 풍력터빈 축소모델 소음원 측정)

  • Cho, Tae-Hwan;Kim, Cheol-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508-511
    • /
    • 2009
  • 풍력터빈 블레이드에서 발생하는 공력소음원의 위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사용하여 소음원 풍동시험을 수행하였다. 풍동시험은 KARI 중형 아음속풍동에서 수행되었으며, 소음원의 위치파악을 위해 시간영역 회전체 빔포밍기법을 사용하였다. 기존 시간영역 회전체 빔포밍 기법의 경우 시험데이터 해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나, 본 논문에서는 원통형 좌표계에서 회전각 격자간격과 해석기간 간격 사이의 상관조건을 도입하여 데이터 해석시간을 기존 방법 대비 1/5로 단축하였다. 시험결과 나타난 주파수에 따른 블레이드 공력소음원의 위치 특성은 2kHz 이하 대역에서는 블레이드 반경 80% 부근에 주소음원이 위치하며, 4kHz 이상 대역에서는 블레이드 끝단 부근에 주 소음원이 위치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