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이미지

Search Result 1,62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Web-based Chart Generating System Using CML (CML을 이용한 웹 기반 차트출력시스템)

  • Yoon, Hyun-Nim;Kim, Yang-W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5
    • /
    • pp.47-58
    • /
    • 2008
  • Charts can propagate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by visualiz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Due to this reason, many web developers often use charts when they display information on the web. However, using a chart requires a special dedicated software to install and it is difficult to share the finished charts since they are usually in raster format. The raster format images are fixed in size, therefore, experience image distortion problem when their sizes are chang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based chart generating system using CML(Chart Markup Language) to solve the current compatibility and sharing problems. The proposed chart generating system first analyzes XML, Text, or HTML documents to extract chart information in the documents, and then it converts collected chart information to CML. The converted CML documents are displayed on the web browser using a vector method. The vector method has an advantage of protecting its images from distortion even when image sizes are scaled. The CML, proposed in this paper, is a chart markup language based on XML for modeling charts Information. If CML is used for presenting a chart in a web, it makes easier to share and to convert the chart information.

  • PDF

The basis analysis for feeling expression an 2D animated cartoon (2D애니메이션의 감정 표현에 대한 기초 분석 - 일본애니메이션 TV물에 표현된 이미지 -)

  • Kim, Jae-Ho
    •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3
    • /
    • pp.68-71
    • /
    • 2008
  • 2D애니메이션은 애니메이션의 표현에서 모든 장르에 기초적 이론적 배경에 바탕이 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현재에는 컴퓨터공학의 발달에 애니메이션의 표현은 무궁무진하게 급속도록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특징적 요소에는 서로 공유되는 내러티브의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공방스타일의 표현이 우선되어 애니메이터의 표현능력을 답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인물표정에 대한 감성과 오성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도출되어지는 감정표현에 대한 이미지를 정리하고자한다.

Aesthetical Expression Of Contourline Using Real-Time Camera (실시간 카메라를 이용한 등고선의 미학적 표현 연구 - 라인드로잉으로서의 등고선 표현 방법 연구)

  • Kang, Chang-Koo;Kim, Dong-Jo;Kim, Hyung-G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470-474
    • /
    • 2008
  • The image as a media has changed consistently since it was first introduced.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image has been reproduced in different fields and contexts. Thus, the paradigm on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of the image has been changed and recycled rapidly. The 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of the image also has changed accordingly, allowing quite ambiguous distinc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The transformation through the transfer of the image among different fields opens up a new potential that these reproduced images could be used as an aesthetically expressive tool, rather than merely leaving images to remain royal to its original function as a sign. The thesis is to explore the potential that the topographical lines have beyond its function as a sign age.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the process actively invites the spectator or the consumer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image, which promotes a new rela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Instead, the process encourages the consumers to be active producers as well. As a result, the topographical lines do not merely remain as a sign that demarcates the height of the topography, and new images are constantly reproduced from the active participants. This project questions the fixed idea on the sign as a communicative tool, and suggests a new potential for the sign, especially, the topographical lines.

  • PDF

A Study on Fashion Design Using Geometric Pattern (기하학적 패턴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김신우;금기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2 no.1
    • /
    • pp.53-67
    • /
    • 2002
  • 자연을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기하학적 패턴은 이미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본형이기 때문에 간결하며 시각적으로 명쾌감을 준다. 이러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 디자인에 있어서 20 세기 이후 여러 디자이너의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법과 재료로 형성화하여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식의 문양, 실루엣, 디테일에 사용되고 있는 기하학적 패턴을 연구함으로써 기하학적 패턴의 새로운 조형가치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하학의 용어 정의를 하였고 기하학적 패턴의 유형과 표현 기법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의 조형미와 그것을 바탕으로 패션 이미지를 추론해 보았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 패턴을 분석해 보면 유형으로는 첫째, 기하하적 문양으로 복식디자인에 있어서 주로 평면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지만,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기하학적 패턴을 조합시킴으로서 평면적인 형태에 공간감을 부여하기도 하며, 같은 기하학적 패턴의 표면이라도 배치구조에 의해 직선 혹은 사선으로 지각되므로 전혀 다른 이미지를 주었다. 또한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하학적 패턴이 종류는 세로 스트라이프, 가로 스트라이프, 격자 문양, 원, 사선 스트라이프, 마름모, 사각형, 삼각형 등의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색채는 단색의 복식에 강한 대비가 이루어지는 색상으로 표현되어 역동감과 유연한 운동감을 나타났다. 셋째, 기하학적 실루엣으로 단순한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거나 입체적이고 부조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실루엣으로 사용되어 강한 조형감각을 보여주는데 원형을 이용한 실루엣이 가장 많았으며 사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삼각형을 이용한 실루엣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학적인 디테일로 복식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적으로 사용되거나 입체적 형태로 부출 되어 부조적인 느낌을 주는데 소매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앞여밈, 칼라, 밑단, 주머니 순서로 장식되었다. 다섯째,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기법으로는 프린팅, 퀼팅, piece기법, 패치워크, 엮기, 꼴라쥬, 아플리케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토대로 기하학 패턴을 활용한 디자인에 내재된 조형의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기하학적 패턴이 지닌 단순성과 경직성을 완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패브릭을 조합시켜 입체적인 표면효과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둘째, 표현기법은 입체파적 표현주의의 특성의 하나로 복시에 사용되는 소재의 왜곡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롭고 실험적인 소재의 도입으로 인해 의외성과 부조화를 유발시키는 통시에 유희직인 일면도 지니는 일종의 그로테스크를 나타냈다. 이상에서 정립된 조형의지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란 기하학 패턴은 절제된 단순함과 명확성으로 단순미가 유추되었고 강한 색상대비로 인한 시각적 집중효과로 주목성을 가지며 재현이 가능하므로 반복성이 유추되었다. 그리고 표준영역이 없는 창의적 표현으로 풍부한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재된 패션 이미지를 분석해 보면 정확함과 차가움의 의미를 지닌 이지적 이미지와 우주의 질서를 반영하는 상징적 이미지, 복잡한 자연으로부터 간결한 형태로의 경향성이 이루어낸 인공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었으며, 미래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상반된 개념의 이미지를 같이 내포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현대 패션에 표현된 기하학적 패턴은 복식을 조형예술 분야로 확실히 인식시키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창조적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영감을 주는데 중요한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Investigation of 3D Moving Picture Production Technique Using 2D Plat Image (2차원 평면 이미지를 이용한 3차원 동영상 제작 기법의 고찰)

  • Kim, Jong-Seong;Suh, Young-Sang;Song, Seung-Heon;Kim, E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840-844
    • /
    • 2006
  • 2차원 이미지는 오래전부터 발전되어온 훌륭한 표현 방법 중 한가지 이다. 하지만 단순한 2차원 이미지만을 가지고 보정과 편집을 통해 다양한 효과를 표현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2차원의 평면 이미지인 나비와 춘란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나비의 날개짓과 춘란의 생장을 표현함으로써 단순한 2차원 평면 이미지를 사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움직임과 동적인 느낌을 강조한 3차원 영상 제작기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상제작기법은 동적인 효과를 가진 고품질의 영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뿐만 아니라 전문 방송과 영상 매체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Configuration of Audio-Visual System using Visual Image (이미지를 활용한 오디오-비쥬얼 시스템 구성)

  • Seo, June-Seok;Hong, Sung-Dae;Park, Jin-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6
    • /
    • pp.121-129
    • /
    • 2008
  •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problem of building a concrete form with a shapeless media is the starting point of presenting information by means of sound. Audio-Visual System using sound as a medium is a method that presents an auditory material visually and has a role of linking different sensory organs. In a sense, Audio-Visual System transfers a non-concrete sensation to a concrete one. Audio-Visual System presentation by late methods using active and non-active images produced by computerized irregular procedures can be limited because of the limited ways of visual output. On the other side, visualization using active images can induce more diverse expressions using sound as a medium. This study suggests a new way of expression in animations using visualization of various auditory materials and sounds built by Audio-Visual System with active images.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Grotesque Expression Method in Animation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표현방법 추이 연구)

  • 이종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3
    • /
    • pp.51-60
    • /
    • 2004
  • The esthetics of 'grotesque' and its entertaining values have many things in common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animation as a medium of expression. The ways to express grotesque images in animation have expanded its realm of expression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image digitalization technologies. The grotesque images that were expressed by the combination of photographs and animations and objet animations have been developing its disharmony in a more realistic manner with full 3D animation technology and realistic motions of virtual characters with motion capture. The subject matter also has become more diverse with the advance of modern scientific civilization. An example is the appearance of Cyborg(cybernetic+organism) characters and the grotesque images in the modern times mainly start to appear in animations dealing with the isolation of human beings among its characteristics. Also, the changes of the expression methods of grotesque imag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isual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future will transform its methodological forms by changing its expression methods to VR forms and interactive visuals.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grotesque images and characteristics will change into a visual genre which emphasizes dehumanization.

  • PDF

Emotion-based Image Retrieval Using Emotional Term Thesaurus (감성 형용사 시소러스를 이용한 감성 기반 이미지 검색)

  • 김용일;양형성;양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22-324
    • /
    • 2001
  • 기존의 이미지 검색에서는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미지의 가시적 속성을 정확히 표현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질의가 제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색상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감성 형용사를 감성 용어 시소러스로 구축하여 감성 기반의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감성 용어 시소러스를 이용함으로써 ‘부드러운’, ‘세련된’등과 같은 감성 용어를 검색의 질의어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고, 검색의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Analysis of Singer's Image Using User Recommended Song Data (이용자 추천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수 이미지 분석)

  • Choi,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7-10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음원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공개앨범에서 추천한 음원 리스트에 특성가수와 동시출현한 곡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특성가수의 이미지를 네트워크 기법으로 표현하였고 동시출현한 곡의 통계분석을 통하여 해당 가수를 선택한 이용자가 선호할 만한 연관 곡을 추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추천되는 음원리스트에 동시 출현되는 가수들의 장르적 특성으로 특정가수의 이미지가 표현되었고 시기별로 가수의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이 추적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이용자에게 변화하는 가수의 이미지에 따라 연관 정보를 유연하게 추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Oriental Painting non-photorealistic Rendering by using a Single 2-D Image (한 장의 2차원 이미지를 이용한 동양화적 비사실적 랜더링)

  • Bang, Seung-Ju;Park, Kyoung-Ju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3
    • /
    • pp.366-370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Oriental ink-rendering technique that recreates the artistic style of Oriental paintings from a single image. In Oriental paintings are characterized by strokes with various thickness and disordered dispersion. In this study, a stroke drawing method was developed based on the canny edge detector and radial curvature that are suitable for lines with varied thickness even along a single stroke. A dispersion-shading method was likewise developed by applying a set of iterated dual-filtering, and intensity exaggeration methods. The dispersion-shading method is designed to increase the local shade details, to decrease the global shade. Unlike the existing watercolor-rendering and abstraction system the proposed dispersion-shading method achieves disordered shade details rather than simpl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