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화환자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32초

표준화 환자 학습방법이 유치도뇨술, 의사소통능력,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in Teaching Foley Catheteriza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 유문숙;유일영;손연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6-75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tandardized patient method in teaching catherization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metho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over 2 years from August 2000 to September 2001 with 75 sophomore student nurses in one baccaleureate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cores in catheterization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Learning motivation sco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standardized patients managed instruction which emphasize authenticity and contex-tualization is very effective in teaching nursing students, the mastery and application of nursing skills, and the utilizing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It is recommended that more standardized patients cases be developed for wider areas of nursing education and this study be replicated with more students using a longitudinal design.

  • PDF

호흡기계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간호대 학생의 임상수행능력평가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최자윤;장금성;최순희;홍미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91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of a modified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for preclinical students in nursing. Method: 70 nursing students in their second semester of the junior year at C University participated in CPX. Scenarios and checklists were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5. Six stations were organized. Evaluation included physical examination of a patient with lung cancer, education on usage of a metered dosage inhaler, and lobectomy postoperative car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tation.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PX scores according to stations. The agreement of scoring between trained faculty members and SPs was more than moderate (r=.647).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PX score and the average grade in the previous semester and between the CPX score and the average grade of a paper and pen test of the pulmonary system of adults was low (r=.276; r=.048). Conclusion: Traditional CPX is generally recommended, however, modified CPX is appropriate for preclinical students in the current Korean Nursing school setting if there are additional scoring systems to balance the testing level at each station.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과 자기효능, 의사소통, 학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 현경선;정연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2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competence of diabetic diet education on standardized pati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skill,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144 junior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The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was assessed by trained evaluators when nursing students performed diabetic diet education using the standardized patients. The stud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skill, professional value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themselves using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while the competence was not correlated to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valu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may be more related to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values. Promo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may increase nursing students'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의 통증 사정 (Pain Assessment in Nonverbal Older Adults with Dementia)

  • 김현숙;유수정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3호
    • /
    • pp.145-154
    • /
    • 2013
  • 목적: 본고는 완화의료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제한되어있어 통증의 자가보고가 어려운 대상자들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사정 방법을 고찰하여 임상실천에서의 지식을 증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고찰연구로, '통증(pain)', '통증 사정/평가(pain assessment)', '인지기능장애/치매(cognitive impairment/dementia)'를 주제어로 Google scholar,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4u.net), KoreaMed, Medline, Science-Direct, CINAHL 등의 database에서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외 문헌을 검색하였다. 또한 필요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 통증 사정과 관련된 국내외 전문서적을 참고하였다. 결과: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 환자의 통증 사정 방법에는 자가보고 외에 행동관찰 통증 사정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과 대리인의 관찰에 의한 측정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중 행동 관찰 통증 사정에는 여러 가지 표준화된 도구들이 제시되었으나, 표준화되어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도구는 없었다. 이에 통증 행동관찰 사정 도구 중 비교적 타당도 및 신뢰도가 높게 나타난 도구인 CNPI, DOLOPLUS 2, PACSLAC, PAINAD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용된 도구인 DS-DAT를 선택하여 고찰 후 비교분석 하였다. 결론: 완화의료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의 통증을 정확하게 사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적절한 통증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 제시한 치매환자 통증 사정의 일반적 지침들은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국내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치매환자들의 통증 사정 시 행동관찰 통증 사정 도구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한글판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유방암 환자의 전초림프절 검사에서 Tc-99m Tin-colloid와 Tc-99m Phytate의 효용성에 대한 비교 (Camparison of the Efficiency for Tc-99m Tin-colloid and Tc-99m Phytate in Sentinel Node Dete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 석주원;김인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6호
    • /
    • pp.451-455
    • /
    • 2008
  • 목적 : 전초림프절 스캔과 전초림프철 생검은 유방암 환자에서 액와림프절 전이를 인지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 사용되게 되었지만, 표준화된 방사성의약품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액와림프절 전이를 인지하기 위한 전초림프절 검사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Tc-99m Tin-colloid와 Tc-99m Phytate의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서 2008년까지 유방암으로 수술을 시행했던 38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349명의 환자는 Tc-99m Tin-colloid (37-185MBq) 0.8ml를 유륜하로 주사하였다. 33명의 환자는 Tc-99m Phytate (37-185 MBq) 0.8 ml를 유륜하로 주사하였다. 앉은 자세에서 림프신티그라피가 시행되었고, 수술 중에 감마프로브로 전초림프절을 발견하였다. 결과: Tc-99m Tin-celloid로 검사를 시행한 전체 349명의 환자 중에서 312명(89.4%)이 림프신티그라피에 의해 전초림프절이 발견되었고, 304명(87.1%)이 감마프로브에 의해 전초림프절이 발견되었다. 전날검사를 시행한 전체 33명의 환자 중에서 32명(97.0%)이 림프신티그라피에 의해 전초림프절이 발견되었고 33명(100%)이 감마프로브에 의해 전초림프절이 발견되었다. Tc-99m Phytate에 의한 림프신티그라피와 감마프로브에 의한 전초림프절 발견율은 Tc-99m Tin-celloid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P<0.05). 결론: 유방암 환자에서 전초림프절을 발견하는데 있어 Tc-99m Phytate가 Tc-99m Tin-colloid보다 더 좋은 선택일 것이다.

침샘의 기능평가에서 핵의학 검사의 표준화된 정보제공의 유용성 연구 (The Study on Usefulness of the Standardized Information of Nuclear Medicine Scan in Function Evaluation of the Salivary Glands)

  • 표성재;한재복;최남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57-362
    • /
    • 2015
  • 테크네슘을 이용한 침샘검사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지표를 획득하여 환자 군과 건강한 정상군과의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구강 건조증으로 침샘검사를 시행한 환자군 30명과 건강한 정상군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99mTc-과산화테크네슘 370 MBq을 정맥으로 주사 후 20분에 비타민C 파우더를 입안에 투여하여 10분 동안 촬영하였다. 분석방법은 귀밑샘과 턱밑샘의 관심영역을 정하여 시간-방사능 곡선을 그린 후 곡선의 각 위치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 지표를 획득하고, 구강 건조증 환자군와 정상군을 비교하였다. 비교 및 측정에 적용된 방법으로는 섭취율(uptake ratio, UR), 최대 방사능 시간(time at maximum counts, Tmax), 최소 방사능 시간(time at minimum counts, Tmin), 최대 축적율(maximum accumulation, MA), 축적 속도(accumulation velocity), 최대 배출율(maximum secretion, MS), 최대 자극 배출율(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배출속도(secretion velocity, SV)를 사용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간의 기능매개변수지표 비교에서 환자군의 최소 방사능 시간(Tmin)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건강한 정상군이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서도 정상군이 환자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침샘검사에서 다양한 기능매개변수지표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구강 건조증 환자의 침샘 기능을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로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환자감시시스템(PMS) 실시간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Real Time Vital Sig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Patient Monitoring Systems)

  • 강기웅;임세정;김광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44-249
    • /
    • 2007
  • HL7은 병원정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와 관련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Central Monitor로부터 전송되어진 환자의 생체정보 Raw Data가 HIS의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사용가능한 데이터로 재구성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환자 생체정보에 대한 실시간성과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정보 데이터의 연속성을 부여함으로서 베드 사이트의 환자에게서 발생된 모든 생체정보에 의해 환자 관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보다 많은 검사장비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산화함으로서 해당 환자의 광범위한 자료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획기적인 원격진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OSGi 환경에서 오픈소스를 이용한 HL7 메시지의 교환 방법 (Exchange method of the HL7 message using open source in OSGi)

  • 박영진;조희섭;강원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52-54
    • /
    • 2012
  • 수년 전부터 환자와 병원 간 의료정보 교환의 표준에 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많은 산출물들이 도출될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병원정보시스템(HIS)을 기반으로 병원 내 의료 장비들 간의 메시지 표준화를 위한 것으로 환자와 병원 간 정보 교환을 위해 스마트 기기,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OSGi) 플랫폼 등에서 오픈소스를 이용한 HL7 메시지 교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Open eHealth Integration Platform(IPF)을 이용해 안드로이드와 OSGi 플랫폼에서 환자와 병원 간의 HL7(Health Level Seven) 메시지의 교환, 검증 그리고 모니터링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의료정보 표준에 관한 연구 : 표준화 분석 및 전망 (The Trends and Prospects of Health Information Standards : Standardization Analysis and Suggestions)

  • 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1-10
    • /
    • 2008
  • 최근의 IT, BT와 NT의 발달로 U-헬스케어가 도입되고, 원격진료 및 전자의무기록(EMR),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등의 보편화는 의료정보시스템을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유비쿼터스 의료 환경으로 진화시키고 있다. 이에 병원은 의료정보시스템의 활성화 및 보편화를 적극적으로 장려하며, 국가 차원의 디지털 의료정보의 통합 및 의료기관간 네트워크화가 구축하여 유 무선 의료 통신망이 개방되고, 환자의 진료 데이터 및 영상 공유가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의료 산업 분야에서는 의료장비, 의료정보시스템, 의료 애플리케이션 등 관련 기술이 복잡화, 고도화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전의 의료정보 표준은 HL7, DICOM, IHE, ASTM 등의 많은 관련 기구가 독자적으로 기술 표준을 제정하는 상황으로 대부분의 기술들이 국가 간, 동일 국가의 지역 내, 업체 간 긴밀한 상호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개발 및 구현이 되고 있어, 시스템의 통합 및 표준화에 어려움이 많이 있다. 이에 의료데이터의 적합성 및 상호운용성을 위하여 국제 표준화 기구는 긴밀한 협조로 관련 표준을 공동 개발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의료정보기술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의 의료정보시스템의 전망을 예측하여 실제 국내에서 의료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의료정보 표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각 선진국들의 의료정보 표준화를 기술 선점의 기회로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이 증대함에 따라 의료산업 및 의료정보기술의 표준 연구가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정보 환경에서의 국내 의료기관의 정보화 촉진 및 선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의료정보 표준의 국내 적용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병원 및 의료 산업에서 의료정보 표준 정착과 공유 활용의 기반을 마련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코로나19로 인한 일개 의과 대학의 비대면 의료 면담 실습수업 사례 분석 (Assessment of Emergency Remote Teaching for Clinical Interview Skills due to COVID-19: Its Implication for Future Online Medical Education)

  • 이상옥;김유리;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31-44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 동안의 의료 면담 교육 지속을 위하여 화상 회의 방식의 긴급 비대면 수업(Emergency Remote Teaching:이하 ERT)을 도입한 일개 의과 대학의 사례를 보고하는 것이다. ERT 실습과 기존 면대면 실습과의 차이에 초점을 두고 표준화 환자 인터뷰를 통하여 수업 운영 경험을 기술하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효과를 살펴보았다. 표준화 환자들은 면담 과정에서 원격 상대와 눈 맞춤을 하기 어려우며, 대화 시의 생동감과 재미가 다소 떨어지나, 대면 실습보다 대화 내용에 대한 집중도는 높은 느낌을 받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비대면 수업의 수강생들은 온라인으로 실시한 단원별 테스트에서 기존 면대면 수업 수강생과 비슷한 성적을 받았으나, 대면으로 치러진 기말고사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성적을 받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면대면 접촉과 비디오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사례가 비대면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원격 의료 면담 훈련법 개발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