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주의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6초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Belief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Taking Standard Precautions of Nursing Students)

  • 김윤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85-9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의료 관련 감염관리의 개선 및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7월까지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 4학년 간호대학생 22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해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승인된 내용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16.634, p<.001), 모형의 설명력은 22.0%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표준주의 수행도 개선을 위해 감염관리 건강신념과 비판적 사고성향 향상이 요구되며, 간호대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율적인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의료 관련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이 표준주의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Medical-related Infection Prevention Knowledge and Infection Control Confidence on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 김수진;정현진;김수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12-82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료 관련 감염 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 표준주의 실행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표준주의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4일부터 10월 12일까지 G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표준주의 실행도는 감염예방 지식(r=.27, p<.001), 감염관리 자신감(r=.52, p<.001)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염예방 지식은 감염관리 자신감((r=.27, p=01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관리 자신감(𝛽=0.45, p<.001), 피부 접촉 경험이 없는 경우(𝛽=0.18, p<.004), 감염예방 교육을 받은 경우(𝛽=-2.65, p<.009), 감염예방 지식(𝛽=0.15, p<.01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를 높이기 위하여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표준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49-36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지식, 인지도와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 지침 지식 정도는 총점 25점 만점에 평균 19.95±2.43점이었고,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정도는 5점 만점에 4.71±0.37점이었으며,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정도는 5점 만점에 4.55±0.49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정도는 학년(t=-3.627, p=.000), 감염예방교육 경험(t=3.23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지식(r=.201, p=.000), 인지도(r=.522,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β=.507, p=.000), 학년(β=.169, p=.000), 감염예방교육 경험(β=.094, p=.043) 순이었고, 30.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F=50.520, p=.000).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년별 수준에 따른 적절한 의료관련 감염예방 교육방안을 모색하고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연구에서는 연구대상과 지역을 확대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및 객관성을 가진 측정도구를 사용한 반복연구와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극이나 시뮬레이션교육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검증연구를 제언한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 셀프리더십, 피로도와 표준주의지침 수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Moral Sensitivity, Self-leadership, Fatigu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Intensive Care Nurses)

  • 박주영;우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229-2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셀프리더십, 피로도 및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의료기관의 중환자실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15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5일부터 2019년 3월 10일까지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셀프리더십(r=.17, p=.04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대상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셀프리더십(β=.17, p=.042)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2=.03, F=4.21, p=.042). 따라서 최근 간호사의 높은 수준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유지하게 된 시점에 각 병원은 간호사들의 셀프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혈액 및 체액 노출과 표준주의지침 이행도에 대한 영향 요인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 박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63-572
    • /
    • 2016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주사바늘이나 날카로운 상처 경험과 혈액 및 체액의 접촉 경험을 알아보고, 표준주의지침 이행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소재하는 3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4명으로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이행도, 안전환경 및 태도에 대해 설문조사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지난 1년 동안 주사바늘이나 날카로운 기구 등에 의한 상처 경험은 대상자의 40.3%에서 보고되었고, 평균 경험 횟수는 1.01회였다. 또한 지난 1년 동안 환자의 혈액, 체액 및 상처의 접촉 경험은 대상자의 29.2%가 경험하였고, 평균 1.06회를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접촉종류는 혈액(22.9%)이 가장 많았다.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는 총 4점 만점 중에 3.77점, 이행도는 3.45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이행도는 인지도보다 더 낮았다. 표준주의지침 이행도는 인지도 및 안전환경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표준주의지침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와 안전환경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6.6%로 나타났다. 이에 표준주의지침의 이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실무에서 병원감염의 예방을 위해 표준주의지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병원의 지지적인 안전환경 증진이 필요하다.

의료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Effects of Empowerment and Regarding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Workers on Performances)

  • 정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43-250
    • /
    • 2018
  •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의 임파워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실무현장에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Y시에 있는 일개 종합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9.0%였다(F=191.98,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종사자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도덕적 민감성이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afety Attitude for Patient, and Moral Sensitivity in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 in Small and Medium Hospital Nurses)

  • 정은;정미라;김유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453-461
    • /
    • 2021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도덕적 민감성, 표준주의지침 수행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2일까지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15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r=.539, p<.001), 도덕적 민감성(r=.249, p=.002)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근무부서로 설명력은 33.8%이었다(F=18.47, p<.001). 연구결과를 통해 중소병원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정립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Effects of Empowerment and Regarding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on Performances)

  • 정미라;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9-267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전남지역 2개 대학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77.7%였다(F=579.84,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를 위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 영향요인 :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임파워먼트, 인지도를 중심으로 (Affect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Nursing Students: focused on Patient Safety Attitude, Empowerment, Awareness)

  • 박민경;안미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 임파원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재학생 185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 10일에서 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영향요인은 인지도, 임파워먼트, 환자안전행사 참여로 나타났으며 수행도를 51.0% 설명하였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관리를 위한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지도를 높이고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의 적용과 환자안전행사에 간호대학생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