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면젖음성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35초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의 아르곤 플라즈마 처리로 표면층 제거와 젖음성 향상 (Improvement of Wettability and Removal of Skin Layer on Ar-Plasma-Treated Polypropylene Blend Surface)

  • 원종일;이선용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461-469
    • /
    • 2012
  • 아르곤(Ar)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의 표면 개질 및 특성 변화를 X-선 광전자 분광 분석(XPS), 적외선 분광 분석(FTIR), 주사 전자 현미경 분석(SEM) 및 접촉각 측정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Ar 플라즈마 처리 시간의 증가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표면의 젖음성, 극성 관능기를 갖는 산소 성분, 탈크 함량 및 표면조도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 분석을 통한 자세한 관찰은 폴리프로필렌 성분으로 구성된 표면층(skin layer)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고무 입자간의 점도차는 표면층의 생성을 촉진시켰다. 하지만 Ar 플라즈마 처리시간의 증가는 표면층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출성형 공정 동안, 표면층을 제거할 수 있는 추가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 Ar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표면 개질 및 모폴로지의 변화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소재 표면 상에 친수화 상태를 부여하고, 이에 따라 젖음성 향상을 유도하였다.

염소산 처리된 Poly($\alpha$-hydroxy acid)계 고분자 표면과 섬유아세포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Fibroblast Cells onto Chloric Acid-treated Poly($\alpha$-hydroxy acid) Polymer Surfaces)

  • 이상진;강길선;이진호;이영무;이해방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877-88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폴리락타이드 (PLA), 폴리글리콜라이드 (PGA) 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인 PLGA 필름을 염소산 혼합용액 [70% 과염소산 (HClO$_4$)/포타슘 클로레이트 (KClO$_3$) 포화 수용액, 3 : 2]으로 처리하여 표면의 젖음성과 세포적합성을 증가시켰다. 표면 처리된 고분자의 표면을 물접촉각 측정과 ESCA, SEM으로 특성결정하였다. 염소산 처리된 PLA, PGA, 및 PLGA의 표면 젖음성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이들 고분자 필름은 기존의 에탄을 전처리와 달리 건조 후에도 친수성 표면을 유지하였다. 세포 점착실험은 섬유아세포를 염소산 처리된 필름의 표면에서 1일 및 2일 배양하였고 표면의 젖음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의 점착도 우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면의 젖음성은 세포의 점착과 증식 거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PDF

보강재에 도금된 Cu층이 Al/SiC복합재료의 젖음성에 미치는 영향 (Wetting improvement of SiC/Al Metal Matrix Composite by Cu Surface Treatment)

  • 이경구;조규종;이도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98-404
    • /
    • 2001
  • SiC 보강재 표면에 도금된 Cu금속층이 Al/SiC복합재료의 젖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보강재에 대한 금속층의 도금은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하였으며, Al/SiC 복합재료의 제조는 텅스텐 발열체 진공로의$ 670^{\circ}C$~$900^{\circ}C$에서 제조하여 보강재와 기지간의 접촉부위를 촬영하여 젖음성을 측정하였다 젖음성 측정 결과 보강재에 도금된 Cu층은 젖음성을 향상시켰고, 젖음성의 개선은 보강재에 도금된 금속층과 기지간의 반응에 의해 계면에너지를 변화시킴으로서 나타난 결과이며. 반응을 통한 산화피막의 배제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표면처리를 통한 울의 젖음성 변화를 적용한 실 기반 Microfluidics

  • 전소현;황기환;서현진;부진효;윤상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3.1-143.1
    • /
    • 2013
  • 최근 실 기반 microfluidics device는 많은 응용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의료진단, 환경측정 그리고 식품 안정성 분석 등의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능성을 가진 반면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실 한가닥에 Capillary force에 의해 빨려 올라오는 액체의 속도를 조절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속도 조절은 실 기반 microfluidics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이는 굉장히 치명적일 수 있다. 본 그룹은 울의 젖음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그 속도를 조절하였다. 울은 본래 소수성의 성질을 가졌으며 본 그룹의 표면처리를 통하면 친수성을로 바뀌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처리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친수성을 띄는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는 표면처리에 따라 서로 액체를 빨아들이는 속도가 다른 울들을 microfluidics device에 응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수소 기체와 HMDS 프리커서의 저온 PECVD공정을 통한 실리콘옥사이드 박막의 표면에너지 개질 (Surface energy modification of SiOxCyHz film using low temperature PECVD by controlling the plasma process for HMDS precursor with hydrogen gas)

  • 이준석;진수봉;최윤석;최인식;한전건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2년도 추계총회 및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5-166
    • /
    • 2012
  • 표면의 젖음성은 어플리케이션의 매우 중요한 점으로, 이것은 표면에너지와 표면의 조도에 의해 결정된다. 표면의 젖음성을 낮추기 위하여 저온 PECVD 공정을 통해 초소수성 박막을 만들었다. $SiO_xC_yH_z$ 필름을 만들기 위하여 RF power을 사용하였고, HMDS (hexamethyl-disilazane) precursor과 함께 수소 기체를 통해 증착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수소와 RF power를 변수로 진행하였고, 이것은 소수성 박막의 표면에너지를 변화시켰다. 필름을 합성한 후 contact angle measurement 및 AFM을 사용해 표면에너지와 표면조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필름의 화학적 결합을 알기 위해 FT-IR을 이용하였다. 여기에서 표면의 에너지는 표면의 조도와 화학적 결합상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타이타늄 표면 처리 특성에 따른 젖음성에 관한 연구 (Wettability of titanium implants depending upon surface properties)

  • 한영수;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2-20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질 때 매식체는 조직액과 접촉하게 된다. 임플란트의 조직액 흡착은 표면처리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때 임플란트 시편의 표면 거칠기와 젖음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표면 거칠기와 젖음성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네 종류의 임플란트 시편을 각각 5종류 만들었다. 각각의 그룹은 그룹 A: Machined Surface, 그룹 B: Anodized surface, 그룹 C: RBM (HA blasting) surface, 그룹 D: CMP (calcium methaphosphate) coating surface이다. 연구결과: 1. 표면의 거칠기는 RBM, CMP, Anodized, Machined 그룹 순서로 거칠었다. RBM과 CMP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P<.05). 2. 젖음성은 Anodized, RBM, CMP, Machined 그룹 순서로 높았다. CMP와 Machined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P<.05). 3. 표면 거칠기와 젖음성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젖음성 제어를 이용한 탄소섬유/알루미늄 복합재료 제조 (Carbon Fiber/Aluminum Composite Fabrication Using Wettability Control)

  • 이용범;박상진;한준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254-259
    • /
    • 2015
  • 탄소섬유에 대한 액상 알루미늄의 젖음성이 매우 좋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인 주조방법으로는 기공이 없는 건전한 탄소섬유/알루미늄 복합재료 제조가 어려워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복합재료 주조 시 고온, 고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표면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구리를 코팅함으로써 탄소섬유에 대한 알루미늄의 젖음성을 향상시켜 고온, 고압을 가하지 않고 액상의 알루미늄이 탄소섬유들 사이를 자발적으로 침투하여 내부기공이 매우 적은 건전한 탄소섬유/알루미늄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탄소섬유/알루미늄 복합재료내 일부 탄소섬유 다발 안에서 미세기공이 발생하였으나 이 미세기공은 압연과 같은 후 가공에 의해 탄소섬유와 알루미늄 사이의 계면분리나 탄소섬유의 파괴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었다. 복합재료 제조 시 발생한 미세기공은 탄소섬유와 알루미늄의 젖음성 문제는 아니며 탄소섬유들 사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채웠던 액상 알루미늄이 냉각되는 동안 수축으로 인해 일부 탄소섬유들 사이로부터 빠져 나가 수축공 형태의 기공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밀도 탄소블럭 제조를 위한 코크스와 바인더피치의 젖음성에 미치는 불소화의 영향 (The Effect of Fluorination on Wettability between Cokes and Binder Pitch for Carbon Block with High Density)

  • 김경훈;안동해;김지욱;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677-68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탄소블럭의 고밀도화를 위하여 불소화 표면처리된 코크스와 바인더피치를 압축성형으로 탄소블럭을 제조하였다. 불소화 표면처리 후 코크스 표면에 불소원소는 XPS 분석을 통하여 최대 24.14 at%가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불소화된 코크스와 바인더피치의 젖음성을 반응온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접촉각 측정 결과로부터 불소원소가 코크스 표면에 도입될수록 바인더피치와의 젖음성이 약 64.7%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소가 가장 많이 도입된 탄소블럭의 밀도는 미처리된 코크스로부터 제조된 탄소블럭의 밀도 대비 최대 6.8% 증가하였다.

미세역학적 실험법과 젖음성을 이용한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 경사형 시편의 계면특성 (Interfacial Properties of Gradient Specimen of CNT-Epoxy Nanocomposites using Micromechanical Technique and Wettability)

  • 왕작가;공조엘;박종만;이우일;박종규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8-14
    • /
    • 2009
  • 유리섬유 강화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계면특성은 미세역학적 시험법과 젖음성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접촉저항은 전기적 접촉부가 일정하게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사형 (gradient) 시편으로 측정되었다. CNT-에폭시나노복합재료의 접촉저항은 2-점법 대신에 4-점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불균일한 표면에 존재하는 소수성 영역 때문에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어떤 부분은 초소수성보다는 다소 낮은 접촉각인 120도를 가졌다. 표면처리된 유리섬유는 에칭된 섬유 표면의 흠이 있지만 인장 강성도는 약간의 변화가 나타나는 반면에, 인장강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에칭된 유리섬유와 CNT-에폭시 나노복합재료는 표면 에너지와 거친 정도가 증가함으로써, 계면전단강도가 증가되었다 열역학적 에너지 일인 $W_a$가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 계면전단강도와 겉보기 강성도 모두 상호일치하게 증가를 보여주었다.

다층박막법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of surface Wettability Control Using Layer-by-Layer Assembly Technique)

  • 성충현
    • 접착 및 계면
    • /
    • 제18권4호
    • /
    • pp.171-178
    • /
    • 2017
  • 최근 들어, 다층박막법(Layer-by-Layer(LbL) assembly)을 이용한 표면 젖음성 제어 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다층박막법은 고분자, 계면활성제, 나노 입자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수직 구조와 표면 특성을 나노 및 마이크로 스케일로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며 친환경적인 제조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박막법을 이용하여 표면 특성을 제어하는 기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초발수, 초친수, 초발유/초친수 LbL 표면의 제조와 응용에 대한 기술 동향과 연구 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omniphobic, 자가-치유, 지능형 및 외부 반응형 표면 등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의 기본적인 원리와 제조 방법 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