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고 정확도

검색결과 696건 처리시간 0.036초

네트워크 RTK VRS 측량에 의한 표고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the Height Determined by Network-RTK VRS Positioning)

  • 이석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63
    • /
    • 2013
  • 전통적인 RTK측량기술의 제약을 극복하고자 VRS 또는 FKP와 같은 네트워크 RTK GPS측량기술이 국가상시관측소와 무선인터넷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이 51개의 상시관측소와 모바일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RTK를 서비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etwork-RTK 기반의 GNSS VRS 측량방식에 의한 표고정확도를 확인하고자 산청~진주지역의 1등 수준노선과 거창~산청지역의 2등 수준노선에 대하여 직접 GPS VRS 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GPS VRS측량방식의 표고 정확도는 1등 수준노선에서 2.15cm, 2등 수준노선에서 1.80cm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3,4등급 공공수준점측량에 있어서 GPS VRS 방식이 적용가능하다는 것과 아울러 이에 대한 작업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GPS를 이용한 SPOT 영상의 GCP 및 DEM 정확도 평가 (A Study on the GCP and DEM Accuracy Evaluation of SPOT Image Using GPS)

  • 윤희천;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3-80
    • /
    • 2004
  • 본 연구는 GPS를 이용하여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으로 산출된 SPOT영상의 기준점 및 수치표고모델의 평가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삼각점 및 상시관측소를 고정으로 한 GPS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정지측량과 이동측량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위성 영상의 기준점과 수치표고모델의 평가를 위한 측량 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POT영상의 해상력을 고려할 때, SPOT 위성 영상의 입체 해석을 통하여 수치표고모델 제작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Visual Rhythm과 Pattern Matching을 이용한 EPG 시간 정보 갱신 (Updating Time Table of EPG using Visual Rhythm and pattern matching)

  • 윤형화;김정림;설상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113-116
    • /
    • 2002
  • 최근 방송의 디지털화에 따라 수많은 채널의 수용이 가능하게 되어, 현재와 같이 신문의 방송편성표를 보고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알아내는 것은 힘들어 졌다. 디지털방송에서는 신문 방송 편성표와 같은 기능을 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EPG를 보면,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GUI로 사용자가 쉽게 알아 볼 수 있어 하고 있어 신문 편성표나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각 방송국의 편성표와 달리 TV 화면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편리해졌다. 그러나 이 EPG에서 제공되는 시간은 매우 부정확하기 때문에 시청자가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의 시작 시간을 정확히 알아내어 EPG를 정확히 갱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방송의 시작부분을 미리 저장한 후, 시작 부분을 Visual Rhythm을 이용해 shot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방송 스트림의 shot들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Pattern Matching을 통해 보다 정확한 방송시간으로 EPG를 갱신하고자 한다.

  • PDF

RTK-GPS를 이용한 영점표고검정수준점 정확도 향상 (The improvement of B.M Accuracy using RTK-GPS)

  • 김삼은;김치영;최규현;홍성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778-778
    • /
    • 2012
  • 수문조사시설 중 하나인 영점표고검정수준점은 장기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하천 수문관측 환경변화로 망실 및 침하 등으로 인한 신뢰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위표 영점표고는 일반적으로 하상부터 자유수면의 높이까지를 일컫는 수위에 대한 기준 높이가 되는 값으로 영점표고의 변동은 수위의 변동을 초래하기 때문에 관측된 수위의 시계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영점표고검정수준점의 신뢰도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문자료에 직접적인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점표고검정수준점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공공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왕복수준측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오차를 검증하기 위해 RTK-GPS 측량을 병행 실시하였다. RTK-GPS 측량을 실시하기 전 낙동강권역내의 국립지리정보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통합기준점을 대상으로 삼각망 구축을 실시하였다. RTK-GPS 측량의 결과를 토대로 직접수준측량과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두 측량성과간의 차이가 0.2m 이상을 경우에는 재 측량을 실시하여 발생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수준측량과 RTK-GPS 측량으로 확정된 영점표고검정수준점의 표고값을 이용하여 수위표 영점표고의 적정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해발수위 비교를 실시하였다. 비교방법은 비교적 수면경사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지점을 선택하여 적정성을 검토하였으며, 기존 영점표고검정수준점보다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자동 시력표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optotypes test chart)

  • 송경석;김태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8
    • /
    • 2005
  • 시력 검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력표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시표가 사용되고 있다. 시력표에 사용되는 공인된 시표에는 Landolt 고리와 E 스넬렌 시표가 있으며, 이외에도 아라비아 숫자, 한글, 그림 시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부터 한천석 시력표가 멀리 쓰이고 있으며, 이후 청산 시력표, 진용한 시력표 등의 벽걸이형 시력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벽걸이형 시력표는 조도에 따라 검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시력검사를 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은 자동화 디지털화 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가 등장되었다. 이는 높은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양한 차트를 제공하여 검사자가 효율적으로 검안을 할 수 있는 자동화된 total 검안 시스템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과거 널리 사용되었던 일반 시력표의 차이점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빔 프로젝트를 사용했을 경우, Landolt 고리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력과 비교하여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0%,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2%였으며, 일반시력표의 경우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2%,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4%로 나타났다.

  • PDF

1차원 하천흐름해석모형(K-River)를 활용한 가상하도 생성기법의 적용가능성 검토 (Assessment of the applicability of river cross-section extraction technique using K-River)

  • 변지선;김연수;허영택;유완식;김용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94-494
    • /
    • 2023
  • 수치모형을 활용하여 하천 흐름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하도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형자료가 요구되며, 주흐름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의 횡단면도는 다량의 자료가 필요하다. 측량을 통한 횡단면도의 확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날씨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따라 측량 결과물의 정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하천의 유속이 매우 빠를 때에는 정확도 높은 횡단 측량자료를 얻기는 불가능하며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중소규모의 하천 측량자료는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위성영상과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에 기반하여 하천구역과 하도의 특성을 정의하는 방법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지형 측량자료가 존재하는 섬진강댐부터 오수천 합류전까지를 대상으로 가상하도 생성기법을 적용하고, 1차원 하천흐름해석을 수행하여 가상하도 구축방안의 유효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구역을 정의하였으며 DEM에서 추출된 표고에 기반하여 제방고와 횡단면도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횡단면도와 실단면 비교시, DEM 표고 및 하천구역 정의 지점의 정확도에 따라 제방고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터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지 않아 실단면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구축한 지형자료를 1차원 하천흐름해석 모형인 K-River에 적용하였으며, 상류단 경계조건으로는 섬진강댐 방류량을 하류단 경계조건으로는 등류조건을 적용하였다. 구축영역 내 존재하는 지류의 유입량은 측방유입으로 고려하였다. 수치모의 결과로부터 구축된 횡단면의 최심고와 실단면의 최심고가 유사한 지점에서는 수위재현성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DDC 20판의 주기 분석에 근거한 보조표 분류지원 전문가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Support Expert System Design based on Note Analysis for DDC 20 Tables)

  • 김상미;남태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4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9-132
    • /
    • 1994
  • DOC 20판에서는 보조표 활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주기(Note)가 여러 곳에 마련되어 있다. 이 주기는 새로운 학문들이 이전판의 분류체재와의 중복성을 극복하고, 정확한 문헌분류를 위한 중요한 문법규칙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된 주기의 다양성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이 주기의 활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DDC 20판의 보조표 T1(표준세분표: Standard Subdivisions) 및 T2(지리, 시대, 인물 구분표: Geographic Areas, Historical Periods, Persons)에 대안 이용주기를 통계적 빈도수를 고려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주기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분류기호 생성 문법을 마련하였으며, 분류기호 생성 문법을 유도트리(Derivation tree)를 활용하여 정확한 분류과정을 예시하고, 이를 자동분류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류진원 전문가시스템 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

웹상의 표에서 머리와 몸체 분리 방안 연구 (Separating Head from Body in Web-Tables)

  • 정성원;권혁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5년도 제1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0-56
    • /
    • 2005
  • 본 논문은, 웹상의 표에서 유용한 정보를 뽑기 위하여 표 머릿부분과 몸체부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웹상의 표로부터 정보를 뽑기 위해서는 웹상의 표를 기계가 해석할 수 있는 형태, 즉 속성-값의 쌍으로 변환해야 한다. 이중 속성은 보통 표 머리에 해당하며, 그에 해당하는 값은 표 몸체에 해당하는데, 이는 머리가 해당 몸체 부분을 대표하여 나타내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선행 연구에서는 인터넷상의 표가 표 본래의 정보 전달을 위한 목적 이외에 인터넷 문서의 정렬이나 구조화를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표를 제거하고 표 본래의 의미를 전달하는 표(의미 있는 표)만 추출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의미 있는 표에서 표 머리와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휴리스틱에 기반을 둔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표의 본래 특성과, 표를 작성하는 저자의 작성 습관을 관찰하여 머리와 몸체를 분리하기 위한 방안을 설정하고, 이 방안들을 결합하는 모델을 구축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로 80.3%의 표 머리 추출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입체위성영상의 GCP개수에 따른 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Accuracy Estimate of Orthoimage by Number of GCP at Stereo Satellite Images)

  • 김감래;안병구;김학준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5-24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수치영상처리 방법으로 공간해상도가 l0m인 SPOT 흑백영상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수량을 10∼30개까지 5개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각각의 모델링과 수치표고모델, 정사영상을 생성하여 정사영상상에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