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curacy of optotypes test chart

자동 시력표 정확도에 관한 연구

  • 송경석 (대불대학교 안경광학과) ;
  • 김태훈 (대불대학교 안경광학과) ;
  • 성아영 (대불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05.01.12
  • Published : 2005.04.30

Abstract

The optotypes widely used as a necessity in the course of optometry are the world authorized versions which contain items such as the Landolt's rings, Snellen's chart and also Arabian numbers, Korean letters, Pictures and so on. In Korea, the Hahn-chun-suk test chart has been In use generally alolng with Chung-san test chart and Jin-yong-han test chart also in use on the wall. But these sort of test charts hung on the wall have some problems such as the difference in test results owing to the rate of illumination and so a more accurate method is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 of inaccuracy in optometry, the projected type of charts with digital instrument such as the beam projector has been developed lately. This chart projector with consistent high resolution and the ability to provide various charts can help eye examiner perform effective examination and thus is looked positively upon as the automated total optometry system. So in this study our purpose is to examine the accuracy of the projected chart. It was done by comparing it with the frequently used test chart.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s follow. When the projected chart was used, cases that subject read charts one step higher were 10%, two step higher 2% than perfectly corrected vision. When Han-chun-suk test chart was used, cases that subject read charts one step higher were 12%, and two step higher were 4%.

시력 검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력표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시표가 사용되고 있다. 시력표에 사용되는 공인된 시표에는 Landolt 고리와 E 스넬렌 시표가 있으며, 이외에도 아라비아 숫자, 한글, 그림 시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부터 한천석 시력표가 멀리 쓰이고 있으며, 이후 청산 시력표, 진용한 시력표 등의 벽걸이형 시력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벽걸이형 시력표는 조도에 따라 검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시력검사를 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은 자동화 디지털화 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가 등장되었다. 이는 높은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양한 차트를 제공하여 검사자가 효율적으로 검안을 할 수 있는 자동화된 total 검안 시스템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과거 널리 사용되었던 일반 시력표의 차이점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빔 프로젝트를 사용했을 경우, Landolt 고리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력과 비교하여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0%,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2%였으며, 일반시력표의 경우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2%,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4%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