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고버섯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5초

버섯 균사체에 의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Antiturmor Activitie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ycelia of Mushroom)

  • 권석형;김춘년;김철용;권석태;박기문;황보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1
    • /
    • 2003
  • 버섯 균사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Th1 cell 증식효과 및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단백다당체 시료는 영지버섯, 아가리쿠스, 표고버섯, 운지버섯, 그리고 상황버섯을 10$0^{\circ}C$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는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Th1 cell의 세포증식을 조사한 결과, 10mg/$m\ell$ 농도에서 모든 시료가 40% 이상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종류의 암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mg/$m\ell$ 농도에서 P388D1와 L1210에서 아가리쿠스는 2.4%와 39.7%, 표고버섯은 48.4%와 52.5%의 생존율을 보였다. Sarcoma 180으로 복수암을 유발시킨 마우스에게 아가리쿠스와 표고버섯으로부터 추출한 단백다당체를 섭취시킬 경우 생존율이 27~40%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티아민의 영향 (The Effects of Thiamin on the Fruiting of Lentinula edodes)

  • 신갑균;이상원;김사익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00-505
    • /
    • 1999
  • 효모추출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표고버섯 자실체 형성 촉진 물질을 검토한 결과, 그 자실체 형성 촉진 물질은 티아민이었으며, 티아민은 유리의 형태로만 존재하고, 티아민 일인산, 이인산 및 삼인산 에스테르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효모추출물 1g중에 함유된 티아민의 량은 436$\mu\textrm{g}$이고, 그 전체량의 약 76%에 상당하는 332$\mu\textrm{g}$의 티아민이 Fraction II에, 약 20%에 해당하는 87$\mu\textrm{g}$이 Fraction I 에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티아민은 표고버섯의 영양생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생식생장에 관여하여 자실체의 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밝혔다.

  • PDF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추출물에서 Bacillus velezensis HKB-1의 배양적 특징 및 고추역병의 생물학적 방제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velezensis HKB-1 in the water extract of the composted spent mushroom substrate of Lentinula edodes and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pepper)

  • 김자윤;서현지;강대선;강희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2-278
    • /
    • 2021
  • Bacillus velezensis HKB-1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로부터 분리되었으며 고추역병균(Phythopthora capsici), 인삼모잘록병균(Rhizoctonia solani), 고추탄저병균(Collectotrichum coccodes) 및 시들음병(Fusarium oxysporium)의 균사체 성장을 70% 이상 억제하는 항 진균 활성을 보였다. B. velezensis HKB-1은 표고버섯 수확후배지 퇴비 물 추출물과 당밀 1% 첨가배지에서 다른 상업용 세균배지보다 10~100배 더 높은 세균증식률을 보였으며 고추 역병균의 균사체 생장을 90% 억제하였으며 고추생육 촉진효과 및 고추역병에 대하여 70% 이상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자궁경부암동물세포에서 표고버섯의 in vitro 및 in vivo 항암효과 -Apoptosis에 의한 종양세포주의 성장억제-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Extracts of Lentinus edodes on Tumor Growth in a Human Papillomavirus 16 Oncogenes-transformed Animal Tumor Model -Apoptosis-mediated Tumor Cell Growth Inhibition-)

  • 박정민;이성현;김정옥;박홍주;박재복;신정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1-146
    • /
    • 2004
  • 여러 발표에서 버섯추출물의 간접적 항종양효과에 대해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표고버섯의 직접적인 종양세포주 성장억제효과를 탐지하기 위하여 휴먼자궁경부암바이러스 타입 16의 종양유전자가 발현된 동물종양세포주(TC-1)를 이용하였다. 여러 추출용매 중 물을 이용한 추출액에서 TC-1 세포주의 성장억제효과를 탐지할 수 있었다. 이들 세포성장저해는 추출물첨가농도에 상응하며 $IC_{50}$$800\;{\mu}g/mL$로 계산되었다. 또한, 표고버섯 물 추출물은 휴먼자궁경부암세포주(CaSki and HeLa)에서도 유사한 세포성장억제효과를 보여 주었다. 첨가농도가 1.5 mg/mL에서는 첨가후 6시간째에 벌써 완전한 종양세포주(TC-1)의 성장억제가 탐지되었다. 이들 추출물을 열처리시 종양세포주성장억제가 소실되었으나 pH의 변화에서는 그대로 종양세포주성장억제효과가 탐지되었다. 이는 표고버섯 물 추출물 내에 있는 항종양물질이 열에 민감함을 의미한다. Annexin V 및 propidium iodide 염색에 의해 이들 TC-1종양세포주의 성장 억제효과는 apoptosis에 의해 매개됨을 보여 주었다 동물실험에서 표고버섯 물 추출물의 구강투여시 TC-1유래 종양의 성장 및 생성에 아무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반면, 형성된 종양에 직접 주사시 종양크기의 감소가 탐지되었다. 요약하면 이들 연구에서 표고버섯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암물질은 열에 민감하며 apoptosis에 의해 휴먼자궁경부암종양유전자에 의해 종양화된 세포주의 세포성장을 직접 억제하는 기능이 있음을 증명한다.

표고버섯의 지질(脂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s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로목영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9-427
    • /
    • 1985
  • 삿갓이 완전히 펴진 표고버섯의 부위별(別)에 따른 지질(脂質)의 특성(特性)과, 삿갓이 펴지지 않은 표고버섯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삿갓이 펴진 표고버섯의 삿갓부위(部位)의 총지질(總脂質) 함량(含量)은 4.58%이었고 자루부위(部位)는 2.6%이었으며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중성지질(中性脂質)$(46.7{\sim}48.8%)$과 연지질(憐脂質)$(42.0{\sim}43.8%)$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탕지질(糖脂質)은 적었다$(9.2{\sim}9.5%)$. 2.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은 tryacylglycerol이었고 연지질(憐脂質)은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다. 또한 지질산(脂質酸)의 조성(組成)은 각지질(各脂質) 및 부위(部位)에 따라 현격하게 달랐으며 $C_{18:2},\;C_{16:1}$$C_{18:1}$ 지방산(脂肪酸) 순(順)으로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3. 삿갓이 펴지지 않은 표고버섯의 총지질(總脂質)은 2.5%(자루)${\sim}3.7%$(삿갓)이었고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및 카아보닐價(價)는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지질(總脂質)의 산가(酸價)는 일건시료(日乾試料)가 생시료(生試料) 및 열풍건조시료(熱風乾燥試料) 보다 약간 낮았으나 일건시료(日乾試料) 중(中)의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은 다른 시료(試料)보다 높았다. 4. 가장 많은 部分을 차지한 중성(中性) 및 연지질(憐脂質)의 주요성분(主要成分)의 삿갓이 완전히 펴진 표고버섯과 같았고 탕지질(糖脂質)은 digalactosyldiglycerol이었으며 일건시료(日乾試料)의 연지질중(憐脂質中) phosphatidiyl ethanolamine과 phosphatidyl choline함량은 생시료(生試料) 및 열풍건조시료(熱風乾燥試料)보다 낮았다. 5. 모든 건조시료의 각(各) 지질(脂質) 중(中)의 주요(主要) 지방산조성은 삿갓이 펴진 시료의 경우와 비슷하였고 일건시료(日乾試料)의 $C_{18:2}$ 지방산(脂肪酸)함량은 다른 시료보다 높은 반면 $C_{16:0}$ 지방산은 낮았다. 한편일건시료 중의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열풍건조시료 및 생(生)시료보다 낮았다.

  • PDF

부재료 첨가에 따른 별미장의 향기특성 (Aroma Characteristics of Byeolmijang with Optional Ingredients)

  • 우관식;한서영;윤향식;이준수;정헌상;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38-746
    • /
    • 2006
  • 생황장에 양파를 첨가하였을 때와 무장과 비지장에 표고버섯을 첨가하였을 때, 그리고 찌금장에 다시마를 첨가하였을 때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여 분석 동정하였다. 생황장은 furfural, benzeneacetaldehyde, n-hexadecanoic acid 등이 많이 검출되었고 양파 첨가구에서 1-hexanol, 2,5-dimethylthiophene은 숙성 4일 후에 각각 0.07, 0.11 ppm이 검출되었다. 생황장은 발효 4일된 시료에서 향기성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n-hexadecanoic acid의 경우 발효 4일된 시료는 발효초기 함량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무장에서의 1H-indole과 phenol은 발효초기에는 대조구에서 각각 130.02, 85.38 ppm이었고, 6일째에는 각각 129.68, 95.99 ppm이었다. 표고버섯 첨가 시 1H-indole은 각각 121.90 ppm에서 114.44 ppm으로, phenol은 각각 87.48 ppm에서 75.64 ppm으로 감소하였다. 3-Allyl-6-methoxyphenol, ${\gamma}-dodecalactone$ 등은 대조구에서 검출이 되었으며, 1,2,4-trithiolane, 2-buthyl-2-octenal은 표고버섯 첨가구에서 검출되었다. 비지장에서는 2,4-decadienal이 대조구는 발효초기에는 2.76 ppm, 발효 1일에는 6.46 ppm, 2일에는 5.02 ppm이 검출되었고 표고버섯 첨가구는 발효초기에는 2.92 ppm, 발효 1일에는 3.84 ppm, 2일에는 3.60 ppm이 검출되어 표고버섯 첨가시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rfural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2,4-trithiolane과 lenthionine은 표고버섯 첨가한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찌금장은 tetramethylpyrazine, hexadecanal, tetradecanoic acid methyl ester, n-hexadecanoic acid, linoleic acid dthyl ester 등이 검출되었고 발효가 진행되어도 이들 성분의 변화는 적었지만, linoleic acid ethyl ester는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부재료를 첨가하였을 경우에 장 특유의 이취로 알려진 pyrazine류나 hexadecanoic acid 등의 지방산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감압건조기 개발 (Development of Decompressed Dryer for Mushroom)

  • 김영민;김유호;조영길;최희석;조광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7-27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버섯의 건조시간을 줄여 건조 후 버섯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버섯의 감압건조기를 개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버섯의 감압건조기의 시작기를 제작하였고, 시작기의 구조는 건조실, 감압블로워, 흡ㆍ배기구 솔레노이드 밸브, 제습장치, 송풍기, 전기히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조실의 내부 압력이 표준대기압-900hPa, 열풍온도는 상온에서 5$0^{\circ}C$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나. 시작기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건조특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열풍온도 5$0^{\circ}C$, 건조실 내부압력 900-940hPa에서 건조시간은 11.5h으로 대기압과 비교하여 6.5h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조 전ㆍ후의 색차, 수축률, 복원률의 품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test 유의성 검증 결과, 5%의 유의수준에서 갓주름의 색차, 갓직경의 수축률, 복원률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열풍온도 5$0^{\circ}C$, 건조실 내부압력 900-940hPa로 표고버섯과 아가리쿠스에 대하여 건조성능시험을 실시한 결과, 표고버섯의 경우 건조시간은 13h으로 열풍식 농산물 건조기와 비교하여 건조시간이 4.5h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가리쿠스의 경우 건조시간이 17.5h로 나타났다. 라. 성능시험 결과, 시작기가 열풍식 농산물건조기와 비교하여 건감률, 색택, 수축률, 복원률 등의 품위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 시작기의 건조비용을 분석한 결과, 건조시간은 단축되었지만 시설투자비가 높아 건조비용이 표고버섯의 경우 2,461원/kg으로 열풍식 농산물건조기 보다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후 고품질 건조버섯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갈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상부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 반면 하부에는 외부공기 유입이 적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열풍실의 길이방향 위치별 온도 분포에서도 같은 현상으로 나타났고, 버너쪽과 송풍기쪽의 온도편차는 나타나지 않아 균일 건조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열풍온도를 45$^{\circ}C$로 설정하고 조사거리와 방사체 길이를 각각 119, 1,470mm로 하여 벼의 건조성능시험을 열풍건조기(대비구)와 비교시험 결과 시험구에서 건감률, 건조소요에너지가 각각 0.58%(w.b.), 470kcal/kg - water로 대비구보다 각각 건감율은 23% 높았고, 건조소요에너지는 2%의 절감되었다. 바. 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버너쪽 근처에서는 대비구 94.12㏈의 87%에 불과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질수록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것은 버너에서 멀어질수록 외부적인 요인이 소음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 시작기와 대비구간의 경제성에서 시작기의 구입가격이 20% 비싸기 때문에 시간당 고정비가 높았으나, 건조성능이 우수하여 건조비용이 69,350원/톤으로 대비구보다 14%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 PDF

DEA 모형을 이용한 주업과 겸업 표고재배 임가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Full-time and Part-time Oak Mushroom Farms using DEA models)

  • 이성연;전준헌;원현규;이정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39-645
    • /
    • 2014
  • 본 연구는 비모수추정 방법인 자료포락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표고버섯 재배 임가를 대상으로 경영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조사자료는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표고버섯 경영 표준진단표' 적용 결과 중에서 20개 임가의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DEA 기법중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을 분석하였고 비효율성 임가의 개선방안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주업과 겸업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고버섯 재배 임가의 전체기술효율성은 평균 0.655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효율성의 원인은 순수기술효율성(0.830)보다는 규모효율성(0.747)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성 값이 1인 표고버섯 재배임가는 DMU2, DMU5, DMU6, DMU8, DMU10, DMU15, DMU20으로 7개 임가로 나타났다. 그리고 DMU7 재배임가의 경영효율성 진단 결과, 투입요소 중 신규접종비와 조성비에서 준거집단과 비교해 볼 때 과도하게 투입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업과 겸업임가의 효율성 비교 결과 겸업임가가 상대적으로 비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원인으로 규모효율성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고버섯가루, 자몽종자 추출물, 젖산나트륨의 단독 혹은 복합첨가가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Lentinus edodes Powder,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Sodium Lactates alone or in Combination)

  • 손선희;방주화;이홍철;김광현;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9-107
    • /
    • 2009
  • 본 연구는 표고버섯 가루를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를 제조하고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천연의 젖산나트륨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소시지에 첨가한 표고 버섯은 0.25% 수준 내에서 첨가하였을 때 제품의 품질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관능성상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는 먼저, 처리구에 의한 효과에서 젖산나트륨, 표고버섯가루, 자몽종자추출물 단독 또는 복합첨가 할 경우에도 pH, 색도, 유리수분 및 진공감량 모두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첨가한 물질의 첨가수준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반면에 젖산나트륨이나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이나 복합 첨가 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를 줄일 수 있었다. 한편, 저장기간에 의한 효과에서는 pH가 2주까지 낮아지다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명도는 다소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적색도는 저장 8주에 가장 낮아졌다. 유리 수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고, 반면에 진공 감량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고버섯을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젖산 나트륨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 혹은 복합으로 첨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몽종자 추출물과 젖산나트륨은 저지방 훈연 소시지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천연 보존제로 평가되었다.

자외선 B파 조사와 열풍건조가 표고버섯의 비타민 D$_2$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Hot-Air Drying on the Vitamin D$_2$Content of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 이진실;김선주;안령미;최희숙;최희령;윤석권;홍완수;김명애;황혜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3-178
    • /
    • 2002
  • 본 연구는 표고버섯의 비타민 D$_2$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고버섯의 자실체 안쪽에 자외선 B파를 0, 2.5, 5.0, 7.5, 10.0 J/$\textrm{cm}^2$ 조사하여 버섯내 비타민 D$_2$함량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열풍건조시 자외선 B파 조사 시기를 달리하여 천일건조 버섯과 열풍건조 버섯의 비타민 D$_2$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외선 B파 조사 부위(자실체 안쪽과 바깥쪽)에 따른 표고버섯내 비타민 D$_2$함량은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버섯 자실체의 안쪽에 자외선 B파를 조사하였을 때 비타민 D$_2$함량이 더욱 증가하였다. 2. 0, 2.5, 5, 7.5, 10.0 J/$\textrm{cm}^2$의 자외선 B파 조사로 비타민 D$_2$함량은 각각 21.51, 120.78, 144.38, 168.08, 187.69$\mu\textrm{g}$/g로 측정되었다. 즉 자외선 조사량에 의해 비타민 D$_2$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3. 열풍건조시간에 따라 버섯내 비타민 D$_2$함량이 변화되어 열풍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타민 D$_2$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자외선 B파 조사 & 열풍건조 복합군은 천일건조군과 열풍건조군 버섯에 비해 유의적으로 비타민 D$_2$함량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