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머 압출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5초

펠렛형 MWCNT를 사용한 PP/MWCNT 나노복합체 물성 연구 (Properties of PP/MWCNT Nanocomposite Using Pellet-Shaped MWCNT)

  • 정동석;남병욱
    • 폴리머
    • /
    • 제35권1호
    • /
    • pp.17-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폴리프로팔렌(PP)/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복합체를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형 MWCNT를 20wt%까지 함량별로 제조하고, MWCNT가 20 wt% 첨가된 복합체를 마스터배치(M/B)로 사용하여 다시 PP와 컴파운딩하여 희석하였다. PP/MWCNT 복합체는 함량 변화에 따라 전기전도도 열전도도, 모폴로지, 열적, 고체 점탄성,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고, 또한 희석된 PP/MWCNT 복합체와 1 단계 PP/MWCNT 복합체 간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는 MWCNT의 함량이 3 wt% 일 때 percolation threshold 현상을 보였고 M/B로 제조된 복합체가 더 우수한 전도도를 보였다. 복합체의 MWCNT 함량이 증가하면 비등온 결정화 온도 및 열분해 온도가 증가하였다. 모폴로지를 통하여 M/B로 제조된 복합체의 MWCNT 길이가 짧아진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계적 물성의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선 조사가 Poly(lactic acid) 및 개질된 Poly(lactic acid)의 유변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diation of Electron Beam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 and Chemically Modified Poly(lactic acid))

  • 신부영;강경수;조규순;한도흥;송정섭;이상일;이태진;김봉식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269-272
    • /
    • 2007
  • 본 연구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틱에시드(Poly(lactic acid; PLA)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연구의 일환으로 순수 PLA, 반응압출법에 의한 화학적으로 개질된 PLA 및 기능성 단량체를 함유한 PLA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PLA를 개질한 후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변학적 특성은 복합점도와 log G' vs. log G" 선도를 이용하여 해석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자선 조사로 개질된 순수 PLA 및 화학적으로 개질된 PLA의 복합점도는 전자선 조사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기능성단량체가 첨가된 PLA는 전자선 조사에 의해 복합점도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ellulose Diacetate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Zeolite 충전효과 (Effect of Zeolite Filler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ellulose Diacetate)

  • 이창규;조미숙;김인회;남재도;이영관
    • 폴리머
    • /
    • 제33권3호
    • /
    • pp.243-247
    • /
    • 2009
  •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CDA)에 가소제로서 트리아세틴(TA)과 에폭시화된 콩기름(ESO)을 첨가하여 고속믹서에서 일차적으로 CDA를 가소화한 후, 여기에 천연 zeolite를 충전제로서 첨가하여 용융압출로 CDA/zeolite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DMA 측정을 통하여 가소화한 CDA의 $T_g$$106^{\circ}C$이며 여기에 zeolite를 50% 첨가한 복합체의 경우는 $125^{\circ}C$$T_g$를 확인하였다. Zeolite의 함량이 10에서 50%까지 증가함에 따라 탄성률은 1.7 GPa에서 3.6 GPa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인장강도는 62 MPa에서 조금 증가하다가 51 MPa로 감소하였고 파단신율도 10%로 증가하다가 3.2%로 감소하였다. 복합체의 SEM 이미지로부터 CDA와 zeolite의 상용성을 확인하였다. Zeolit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더 효과적으로 zeolite가 초산기를 흡수하였다.

유변학적 물성을 이용한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를 결정하는 방법 (Determination of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Polypropylene Using Rheological Properties)

  • 이영실;윤관한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35-743
    • /
    • 2014
  •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레오메터, 고유점도측정기 및 MI(melt index) 기기 등을 이용하여 유변 물성을 측정하였고, 분자구조해석에는 GPC가 사용되었다. 기존에 사용되어온 동적진동측정을 이용한 교차 모듈러스에서 결정된 유변학적 PI(다분산 지표)와 변형된 Carreau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된 분포 폭 매개변수(distribution broadness parameter)를 분자량 분포와의 관계를 비교해보았다. 유변학적 PI의 경우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고, 압출에 의해 재 생성된 폴리프로필렌 시료에 대해서는 분자량 분포와 잘 일치하지만 반응기에서 중합된 시료 즉, 분자량 분포가 넓거나 다른 경우 잘 일치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지배적인데 비해 분포 폭 매개변수는 폴리프로필렌의 전단담화의 정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분자량 분포를 잘 예측할 수 있음을 알았다.

상용화제의 종류가 선형 PPS/PET 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atibilizer Types on the Properties of Linear PPS/PET Blends)

  • 김성기;홍인권;이상묵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500-506
    • /
    • 2013
  • 비혼화성인 선형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와 상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블렌드 물성에 미치는 상용화제의 구조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머독 혼련 스크류가 장착된 단축 압출기를 통하여 제조한 블렌드를 성형하여 그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물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PPS/PET(40/60)을 기초 블렌드로 선정한 후 여기에 도메인 크기감소와 계면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상용화제로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SEBS), modified SEBS(m-SEBS), modified polystyrene(m-PS) 등을 사용하였다. 이들을 기초블렌드에 첨가하여 삼원블렌드를 제조한 후 열적, 유변학적,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고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기계적 물성은 각각 m-SEBS와 m-PS 첨가량 1 phr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였는데 그 값이 이론적인 혼화성계의 값에 거의 근접하였으며 m-PS가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m-SEBS와 m-PS는 선형 PPS와/또는 PET와의 부분적인 반응을 통해 상용성을 증대시켜서 더 큰 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삼원블렌드는 경제성있는 PPS 알로이로서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무수 말레인산으로 그래프트된 ENR 50에 Nylon 6를 혼합한 기체 고차단성 고무 배합물 (Rubber Compounds with High Gas Barrier Property by Mixing Nylon 6 to Maleic Anhydride Grafted ENR 50)

  • 임종혁;조을룡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770-776
    • /
    • 2013
  • 낮은 기체투과성을 보이는 epoxidized natural rubber 50(ENR 50)에 매우 낮은 기체투과성을 가지고 있고 마모 특성이 우수한 Nylon 6를 이축형 압출기를 사용해서 블렌드하였다. 혼합물의 기계적 물성과 기체차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었으나 ENR 50 매트릭스상에 Nylon 6의 분산성이 떨어져 큰 상승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Nylon 6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ENR 50에 maleic anhydride(MAH)를 그래프트시켰다. MAH와 ENR 50간의 그래프트 반응은 FTIR 스펙트럼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ENR 50-g-MAH/Nylon 6 배합물을 제조함으로 인해 기체차단성, 기계적 물성이 MAH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향상시킬 수 있었다. MAH의 그래프트 비율을 최대로 높인 5 phr을 첨가하였을 때 가교밀도가 높았으며 가장 좋은 물성을 보였다.

열가소성 추진제의 특성 및 발전 전망 (The Characteristics and its Development Trends of Thermoplastic Propellants)

  • 김경무;김인철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7-57
    • /
    • 2011
  • 모든 고체로켓 추진제들은 화학적 상태에 따라 균질(복기)과 비균질(혼합형)의 2가지 기본 종류로 나뉜다. 오늘날 혼합형 추진제는 가스발생기와 소형 로켓으로부터 우주개발을 위한 거대 발사체까지 동력원으로써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과거에 혼합형 로켓 추진제의 개발은 주로 열경화성 폴리머에 국한되었다. 그러나 열경화성 혼합형 추진제는 로켓 체계조건에 부합하기 위해 조성과 제조공정에 있어 복잡성을 갖는다. 열경화성 추진제와 대조해서, 개량된 PVC 및 TPE 계열 열가소성 추진제는 중간 정도의 성능과 기계적 성질을 갖지만 제조공정에서의 손실, 원재료의 저가와 취급 공정의 안정성을 갖는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향후, 열가소성 추진제가 여타 추진제보다 폭넓게 사용될 것이라 예측된다.

Poly(lactic acid)/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CMPS 블렌드의 형태학, 열적 및 기계적 특성 (Morphology,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lactic acid)/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CMPS Blends)

  • 강경수;김봉식;장우열;신부영
    • 폴리머
    • /
    • 제33권2호
    • /
    • pp.164-168
    • /
    • 2009
  • 본 연구는 화학적으로 개질된 열가소성 전분(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CMPS))과 poly(lactic acid)(PLA)와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PBAT) 블렌드의 형태학, 열적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PLA/PBAT 블렌드에 CMPS를 이 블렌드의 중량기준으로 10, 20, 30 wt%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로 가공하였다. PLA/PBAT/CMPS 블렌드에서 PLA의 유리전이온도($T_g$)는 CMPS 함량이 증가하여도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CMPS의 첨가에 의해 PLA상과 PBAT상 사이의 계면상태가 좋아지는 상용성 있는 형태학을 보여주었다.

ABS/TiO2 복합체 쉬트의 반사율과 굴곡 탄성률 (Reflectance and Flexural Modulus of ABS/TiO2 Composite Sheets)

  • 김준홍;윤관한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103-107
    • /
    • 2014
  • 이축압출공정을 이용하여 poly(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에 titanium dioxide($TiO_2$), barium sulfate($BaSO_4$), calcium carbonate($CaCO_3$)를 함량별로 첨가하여 복합체 쉬트를 제조하였고 복합체 쉬트의 반사율과 굴곡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ABS에 첨가된 충전제의 분산성이 우수한 것을 형태학을 통해 알 수 있었다. $TiO_2$$BaSO_4$의 함량에 따라 복합체 쉬트의 반사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TiO_2$ 20 wt%에 $BaSO_4$를 5~20 wt%를 첨가한 복합체 쉬트의 경우 반사율이 95%이상이 얻어졌다. 굴곡 탄성률 또한 $TiO_2$$BaSO_4$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ABS/TiO_2/BaSO_4$ 조성비 85/10/5(w/w/w)의 1864 MPa에서 $ABS/TiO_2/BaSO_4$ 조성비 55/20/25(w/w/w)의 3134 MPa로 증가하였다.

굴 패각 분말을 함유한 항균성 복합 필름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 Composite Film Containing Calcined Oyster Shell Powder)

  • 박기태;;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EVA/LDPE 복합소재에 OSP의 함량비를 달리한 EVA/LDPE-OSP 복합 필름을 이축압출기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복합 필름의 액티브 포장 소재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FT-IR, DSC, TGA, OTR, WVTR, SEM, UTM 및 항균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EVA/LDPE-OSP 복합 필름 내 OSP 첨가는 열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OSP 함량이 높아질수록 항균성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OSP의 응집, EVA/LDPE 폴리머와 OSP 사이의 낮은 상호작용 등의 이유로 OSP의 첨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항균성과 기계적 물성, 차단특성의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EVA/LDPE-OSP 복합 필름은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식품의 부패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포장재로써 적용을 위해 무기입자인 OSP의 입자크기 조절, 표면처리, 상용화제 도입 등을 통한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항균성 증진 및 필름의 물성 개선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