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력 피해 여성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결혼 이주 여성의 가정폭력 대처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Process of Coping with Domestic Viol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고기숙;정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54-27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 이주 여성들의 대처과정에 관한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개발하여, 그들이 폭력에서 벗어나 자립할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가정폭력에 대한 결혼이주여성의 대처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가정폭력을 경험한 11명의 결혼 이주여성들이 참여하였다. 패러다임 모형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심신의 황폐화'로 나타났고, 인과조건은 '고통의 수레바퀴', '속수무책 당하는 폭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조건은 '외로운 성장기', '부조리한 결혼', '냉담한 현실'로 나타났다. 중심현상 '심신의 황폐화'는 중재조건의 영향을 받으면서 작용/상호작용을 하는데, 이때 중재조건은 '사회적 도움', '문화차이', '무력감'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은 '순응하기', '저항하기', '자기보호', '자기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현실유지하기', '결단하기', '새로운 삶 시작하기'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로는 '심신의 황폐화를 딛고 다시 일어서기'를 상정하였다. 참여자들의 가정폭력 대처과정은 충격의 단계 ${\rightarrow}$ 인고의 단계 ${\rightarrow}$ 회한의 단계 ${\rightarrow}$ 재기의 단계이며, 참여자들의 대처유형은 "현실지탱형","회귀형","미래모색형" 등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성인여성의 성인애착, 책임귀인, 자아존중감이 친밀한 관계의 심리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ult Attachment,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Self-esteem on Psychological Violence from Intimate Partner in Women)

  • 곽성정;우정희;김남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75-8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여성의 성인애착, 책임귀인, 자아존중감이 친밀한 관계에서 심리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13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36세 이상)과 연애경험(4회 이상), 책임귀인의 정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폭력피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36세 이상)과 연애경험(4회 이상),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심리적 폭력 가해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아존중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형 성인애착 증진과 적대적인 귀인 감소를 위한 중재방안을 개발하여 성인여성의 심리적 폭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위기 경험과 서비스 요구: 포커스그룹 면담방법을 사용하여 (Crisi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Women: Focus Group Interview)

  • 한영란;박영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1-32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women's experiences with domestic violence crises and needs of servic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held with 16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a shelter.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s they were spoken,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Morgan & Krueger's four step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ur categories of crisis were perceived by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fear of death, possibility of suicide and murder, despair, facing forlorn positions when seeking help. Services that were needed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ecuring personal safety, providing active assistance to victims by first contact, providing information on helping facilities, continuous and preventive support. Conclusion: The results presented herein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women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to recognize what type of crisis they are experiencing and to determine what help they need in a crisis situation.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매맞는 여성의 생존(survival)에 관한 연구 (How Do Battered Women Survive with Their Children? : Phenomenology on Battered Women's Experiences)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37-263
    • /
    • 2006
  • 본 연구는 폭력가정에서 여성과 자녀 모두 심각한 수준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들의 생존과 대처와 관련된 갈등과 딜레마를 모-자녀관계의 관계적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쉼터에 거주하고 자녀양육경험이 있는 10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질적분석 소프트웨어인 아틀라스티를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가정폭력은 언제든지 아동학대로 전이, 통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사건으로 매맞는 여성과 자녀는 '모성과 효성의 위기'를 공유하며 대처노력에 있어 서로를 위한 생존 에너지를 동원할 수 있는 상호적 존재의미를 갖는다. 폭력가정의 여성과 자녀들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은 피해가족구성원들의 복합적 현실을 심도 깊게 이해함을 전제로 여성과 아동을 동시에 역량강화 시키는 통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 PDF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Battered Women's Depression)

  • 김재엽;양혜원;이근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68-99
    • /
    • 1999
  • 이 연구는 쉼터 거주 아내구타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증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발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실태와 피해여성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통합적 집단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우울증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10명)의 우울증이 비교집단(18명)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의 우울증 하위차원 중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증상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쉼터에 거주하는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을 개선시키기 위한 임상 개입프로그램은 정신건강관리 영역과 함께 폭력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훈련, 사회적 지지망 구축, 경제적 독립성, 자녀양육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겠다.

  • PDF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민자여성의 경험과 지원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 and experience of immigrated women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 장온정;박정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6호
    • /
    • pp.221-234
    • /
    • 2010
  • This study reviews domestic violence characteristics, violence factors, and violence solving from survey reports, to find ideas that support shelter or counseling centers.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l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mmigrant women experienced emotional, physical, sexual and econom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factors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korea husbands, culture gaps, communication problems and attitudes of mother-in-laws. Second, coping attitudes for immigrant women were passiveness and overt patience of violence situations. Third, professional social workers or counselors were lacking. There was no network link between related service agencies; in addition. Service content was limited, was a lack support for independence.

성인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 사이버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Adult Cyberbullying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n the attitude to cyberbullying)

  • 김봉섭
    • 정보화정책
    • /
    • 제28권2호
    • /
    • pp.57-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안의 심각성과 폐해의 막중함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관심이 적었던 성인 대상의 사이버폭력 가해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다. 성인들의 사이버폭력 가해 행위를 예방하고 줄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매년 정부가 주관하는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2019년도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진행했다. 먼저, 조사 회사가 보유한 온라인 조사 패널에서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지역별 인구비례로 할당하여 20~50대 이하의 성인 남녀 1,500명을 추출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조사를 진행했으며 응답자의 51.5%가 남성, 48.7%가 여성이었다. 분석 결과, 사이버폭력에 대한 태도는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과 관련해서 성별, 연령, 가족 관계, 동료 관계, 인터넷 이용시간, 불법 콘텐츠 접촉 경험 요인 등과의 관계에서 완전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비행 동료 수와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사이버폭력에 대한 태도가 성인들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들의 사이버폭력 예방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서는 사이버폭력에 대한 무관용적인 태도 형성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제안했다.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Psychodrama of Self-Esteem,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 for Battered Women)

  • 박진아;성은옥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쉼터에 입소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시행하고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5년 1월 4일부터 2월 26일까지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입소자 7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사이코드라마를 시행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피어슨 상관계수, Wilcoxon의 부호 순위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자존감은 불안(r=-.866, p =.012), 우울(r=-.824, p =.023)과 음의 상관관계를, 불안은 우울(r=.778, p =.040)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사이코드라마 시행 전 후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자존감과 안녕감의 사후점수가 상승하였고, 불안과 우울의 사후점수는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여가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적용 및 사이코드라마에 계속적인 참여를 위한 장기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 -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아내를 중심으로 - (Impacts of Repeated Victimization from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s : Focusing on Wives Whose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 김재엽;정윤경;이근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85-95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revictimization of wives from repeated husband violence and how that affected their depression. It also explored whether social support networks can have moderating effects. Sixty-four wiv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group, 72.3% of whom had experienced repeated verbal violence, and 29.2% experienced repeated physical violence since their husbands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 for family violence perpetrators. Revictimization from repeated husband-to-wife violence was proven to significantly influence wife depression. To moderate the harmful effects of repeated domestic violence on depression, social support networks were observed to provide protective reinforcements.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d not support the notion that social support networks have moderating effects on wife depression, while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etween professional networks of social support network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scussion here advocates for an intervention that promotes psychological health to wives who are exposed to repeated domestic violence.

한국 가정폭력가해자 치료프로그램의 중도탈락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Drop-out from the Domestic Violence Offenders' Treatment group Programs in Korea)

  • 김재엽;이지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231-251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해자의 치료프로그램 중도탈락을 방지하는 것은 피해여성에 대한 보호와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효과성 증진을 위한 주요 과제라는 인식하에 전국 65개 가정폭력상담기관의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정폭력가해자 총 280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가해자 치료프로그램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가정폭력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가해자 총 280명 중 159명이 프로그램을 이수하였으며 121명이 프로그램을 탈락하여 43.2%의 중도탈락율을 나타내었다. 프로그램 중도탈락집단과 프로그램 이수집단을 각 특성별로 비교한 결과, 배우자와의 동거여부, 성역할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치료프로그램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직업유무, 프로그램 의뢰경로적 특성, 성역할태도 요인이 프로그램 중도탈락의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가해자의 치료프로그램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상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