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폭력피해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2초

디지털 매트릭스의 여성착취문법: 디지털 성폭력의 작동방식과 대항담론 (The Grammar of Female Exploitation In a Digital Matrix: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Digital Sexual Violence and Counter-Discourses on it)

  • 윤지영
    • 철학연구
    • /
    • 제122호
    • /
    • pp.85-134
    • /
    • 2018
  • 이 논문에서 필자는 가장 오래된 남성폭력의 기술화 버전이라 할 수 있는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개진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불법 도촬 카메라의 전방위적 공간성의 작동방식과 디지털 데이터 베이스로 전환된 새로운 시간성의 구조를 분석할 것이다. 나아가 디지털 성폭력과 사이버 성폭력 개념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재 담론지형에 개입해 들어가 볼 것이다. 두 번째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초연결성을 통해, 불법 도촬 카메라의 설치와 촬영이라는 물리적 공간에서의 활동이 사이버 공간이라는 디지털 매트릭스로 즉각 편입이 가능해짐으로써 여성신체이미지가 디지털 재화로 기능하는 측면을 분석할 것이다. 세 번째로 필자는 디지털 성폭력이라는 피해경험을 재언어화하기 위해, 새로운 감정구조를 고안해보고자 한다. 즉 성적 수치심이 아닌, 성적 불쾌감, 사회적 분노감이라는 다층화된 감정구조로의 이행을 통해, 피해자다움이라는 프레임에 갇힌 약자의 전형화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새로운 감정 양식은 저항적, 도전적 신체 감응 양식의 창출을 도모함으로써 더 이상 사라져야할 자는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들임을, 수치의 몫은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에게 부과해야하는 것임을 낱낱이 드러낼 것이다. 나아가 디지털 성폭력에 대한 대항실천은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공공성의 문제이자 정치적 시민권의 실행에 관한 문제로서 접근되어야한다.

게임 내 이성 혐오 가해자와 피해자의 성격 패턴 분석 (Analysis of Korean Gamers' Personality Patterns with respect to the Victim/Attacker of the Misogyny and the Misandry in Game Playing)

  • 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81-1488
    • /
    • 2018
  • 컴퓨터 게임 플레이 중에 발생하는 여성 혐오 현상도, 그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하는 남성 혐오 행동도 여성 게이머의 증가와 함께 크게 중가하고 있다. 미국에서 벌어진 #Gamergate 사건이나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갓건배 사건 등은 이런 게임 내 성적 차별/혐오 행동이 직접적인 물리적 폭력의 위협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 준 위험한 사례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우리 청년 게이머들 중 그러한 성차별/혐오 행동의 가해자 군과 피해자 군, 그리고 일반 게이머군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섹시즘 발현 척도를 통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별로 유의한 섹시즘 차이가 존재하고 남성 그룹 중에도 세부 그룹들이 독특한 행동 패턴을 보이며 여성 가해자 그룹이 가장 높은 섹시즘 척도를 보이는 등 여러 가지 걱정스러운 현상을 감지하였다. 또한 Big-5 성격 요인 검사를 통해 이들 그룹 구성원들이 가진 성격 특성이 가해/피해 그룹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사했는데 그 부분에서는 발생한 차이가 내재적 성격 특성인지 피해에 대한 상호작용의 결과인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결국 잘못된 성 고정관념이나 섹시즘 발현은 사회문화적 젠더 인식 교육이 청소년기에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개선될 것이라 생각한다.

생태체계 관점에서 본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이후의 경험에 대한 연구: 시설거주 장애인을 중심으로 (The Experiences of Sexually Abuse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cosystems Perspective: Focused on Disabled Women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 김지혜;김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82-395
    • /
    • 2017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활용하여 성폭력 피해로 시설에서 생활하는 지적장애여성이 개인, 가족, 지역사회 등 주변 체계들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생활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욕구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를 사용하였고, 성폭력 피해 장애인을 위한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11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접, 초기 면접 자료, 집단 프로그램 참여 관찰, 설문지 자료 등 다양한 자료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체계에서는 성폭력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로 감정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며, 심리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가족은 성폭력이 일어난 장소였으며, 폭력으로부터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한 체계였다. 시설은 참여자들에게 중요한 보호체계가 되었고, 직장과 학교체계는 이들에게 배움에 대한 즐거움과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질 수 있는 장소였다. 그러나 퇴소 이후 시설 밖의 지역사회 체계는 여전히 성폭력에 취약한 위험 요인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인을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가족지원, 쉼터 및 그룹홈의 필요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while Dating as College Students)

  • 이은숙;강희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6-27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victims while dating as College Students. Methods: With a correlational survey design,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560 college students who had reported sexual violence during a dat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ollege students while on date who reported sexual violence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dating sexual assault recognition, sexual assertiveness,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gender role stereotypes,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date sexual violence inflictions, and family violence. A combination of date sexual violence inflictions, self-esteem,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sexual assertiveness all accounted for 41% of the variance in date sexual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Conclusion: Self-esteem and sexual assertiveness must be progressively uplifted in order to prevent date sexual violence. A specific program established to reduce sexual violence permissiveness would be useful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sexual violence victim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dating.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 (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오정아;변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5-136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과정의 경험을 살펴보고 이들의 학교적응을 강화시킬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다문화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고, 현상학적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기의 가족', '학교부적응', '차별과 갈등', '학교폭력 피해', '학업중단 위기', '학업중단 숙려제도 미작동', '학교를 떠남' 등 7개 대주제와 19개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 박예슬;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9-51
    • /
    • 2016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control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self-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5 middle school students (172 boys; 143 girls)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To measure the level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e Bullying/Victimization Questionnaire was use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control were measured via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cale and the Self-Control Scale,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level increas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level whereas self-control level decreas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addition, self-control moderated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at is, the influence of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greater when self-control was low, compared to when it was high.

학교폭력피해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연구: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 이한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4-28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while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being bullied) and depression based on a longitudinal study design. Methods: Participants were adolescent cohort of 1,971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2013 and 2014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and bullying victimization. Second, bullying victimization effected the level of depression of adolescents and self-esteem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and depression while self-resilience did not.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factors continu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sychological adjustment of victims of bullying. Therefore, interventions are more likely to be successful if they focus on emotional skills development of adolescents.

한방 의료기관 내 의료인 대상 폭력 피해에 대한 실태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ituation of violence against medical staffs occurring in Korean medicine clinics)

  • 한경숙;남동현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9-81
    • /
    • 202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violence that occurred in Korean medicine clinics targeting medical staff. Methods : First,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against medical personnel occurring within Korean medicine clinics. The questions consist of five item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ten items on identifying the actual state of violence against Korean medical workers, two items on relevance to COVID-19, two items on related legal issues, and three items on polic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16 November 2021 to 30 November 2021. Results : Total 519 Korean medical docto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314 (60.50%)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violence demage while working. While the female staffs experience significantly more violence (𝜒2=18.398, p <0.001) and sexual violence (𝜒2=74.855, p <0.001) than the males, the males tend to be more exposed to physical assault than the female (𝜒2=3.900, p = 0.048).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ituation of violence against medical staffs in Korean medicine clinics, and concluded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violence in a social and institutional way.

과거사 집단기억과 '아카이브 정의'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의 동시대적 재구성 (Past Affairs-Related Collective Memories and the Archival Justice : The Contemporary Rebuilding of the Archive 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 이경래
    • 기록학연구
    • /
    • 제46호
    • /
    • pp.5-44
    • /
    • 2015
  • 이 논문은 무엇보다도 '아카이브 정의'(archival justice)의 개념적 이론적 관점을 정립하고 국가 통치 폭력의 피해당사자들을 주축으로 한 진실화해위 아카이브의 체계적 재구성을 고민한다. 이는 국내 기록학계에서 집단 기억을 구현할 수 있는 기록관리 프레임의 부재가 진실화해위원회 아카이브라는 집단 기억의 장을 또다시 기존의 지배체제 중심적이고 공공 아카이브 등의 주류 시스템에 그대로 병합되는 영역으로 남겨두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한다. 다음으로 이 글은 기존의 집단기억 복원에 대한 제도적 정책적 접근법과 달리 인문학적인 이론 프레임을 접목함으로써 과거사 기록화의 이론적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주요 목적을 위해서, 이 논문은 먼저 과거사위원회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 피해당사자가 중심이 되는 아카이브 구축을 '아카이브 정의'로 보고, 이에 입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이론적 프레임을 '후기식민주의 아카이브'와 '공동체 아카이브'의 최근 이론적 논의들에서 추출해낸다. 이어서 이들 지적 자원에 기반하여 과거사위원회 아카이브의 현실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즉 피해 당사자 중심의 동시대적 기록관리 모델링을 제안하고 있다.

중학생 또래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Predicting Peer Rejec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Ordered Probit Analysis)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357-379
    • /
    • 1999
  •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또래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열프로빗 분석을 이용해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특히, 개인, 가족 특성이외의 폭력에의 노출, 교칙의 공정성, 부정적인 또래관계 등 환경적 요인이 또래따돌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또래따돌림의 경험이 따돌림과 같은 또래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들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12개 중학교 20개 학급에서 총 714명의 중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서열프로빗 분석은 LIMDEP 7.0을 통해 분석되었고, 기술통계와 변량분석은 윈도용 SPSS 8.0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학교의 학생들중 35.8%가 다른 학생들을 따돌려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25.9%의 학생들이 또래따돌림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또래따돌림 가해경험의 차이가 없었으며, 대신 저학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공격성과 교칙위반행동의 경험이 많을수록, 또래따돌림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 결손가족여부, 학업성적, 학업에 대한 태도 등 가족 및 학교생활 요인은 또래따돌림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또래따돌림을 당한 적이 있거나, 주변에서 따돌림이 많이 발생하는 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일수록 또래따돌림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차원의 상담으로 풀어나가기 힘듦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가해자와 피해자가 이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가 아니라, 피해경험을 통해 가해경험을 학습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중첩적인 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궁극적으로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개입단위로 하는 예방프로그램과 전문적 원조체계의 도입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