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6.382

The Experiences of Sexually Abuse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cosystems Perspective: Focused on Disabled Women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Kim, Ji-Hye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Kim, HeeJoo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sexually abuse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 such as personal life, family and communities, and to identify context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se wome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and intake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a survey with 11 participant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for sexually abuse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struggled with stresses and emotional instability affected by traumatic experiences of sexual abuse. Family was a system that sexual abused took place, while the systems of residential facilities protected them from potential dangers and violence. Work and school systems also provided them opportunities of learning and having dreams in the future. However, the community system which participants would live after discharging from the facility, had risk factors vulnerable to sexual violence against participa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diverse services and programs, such as professional psychotherapy programs, integrated support programs for victim and their families and provision of professional care facilities.
Keywords
Wom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Sexual Abuse; Ecological Systems Perspectiv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Case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홍정련,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여성의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 정진옥,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 여성에 대한사례연구,"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Vol. 27, pp. 37-52, 2013
3 노수희, "지적장애인의 학대피해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0호, pp. 546-555, 2016.   DOI
4 송인한, 김지은, 신수민, 이상형, "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 전문인력 양성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9호, pp. 349-361, 2016.   DOI
5 H. Levy and W. Packman, "Sexual abuse prevention for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considerations for genetic counselors," Journal of Genetic Counseling, Vol. 13, No. 3, pp. 189-205, 2004.   DOI
6 L. A. Reynolds, "정신지체인과 성적학대"(김은정 역.), 장애여성공감, 2000.
7 장애인성폭력상담소, 장애인 성폭력 상담통계 자료, 2015.
8 A. Craft, "Sexuality and mental retard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A. Craft and M. Craft (eds) Sex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mentally handicapped people, Tunbridge Wells: Costello, 1983.
9 M. P. McCabe and R. A. Cummins, "The sexual knowledge, experience, feelings, and needs of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31, No. 1, pp. 13-21, 1996.
10 D. Hingsburger, "Just say know: Understanding and reducing the risk of sexual victimiz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astman, QC: Diverse City Press, 1995.
11 이미정, 윤덕경, 이현혜, 아동.청소년.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지원현황 및 정책개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12 여성신문, "지적장애인,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1순위," 2014년 4월 1일.
13 김민정, "보호시설에 수용중인 성폭력 피해 지적 장애 여성의 성폭력 대처 방식과 표현 양식 분석-미술치료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 15, No. 2, pp. 1-15, 2015.
14 박용숙, 정신지체 여학생을 위한 상황중심 성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5 D. Sobey, Violence in the Liv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End of Silent Acceptance?, Baltimore, MD: Brookes, 1994.
16 나수연,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성폭력 피해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과 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 이영현, 게임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 성폭력 피해여성의 수치심과 자아존중감 향상에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8 김민정, 연극놀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최종순, 미술치료를 통한 지적장애 학생의 성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0 이현혜, 정신지체인의 성행동 실태와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1 한영애, 여성장애인 성폭력예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신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2 곽민영, 정신지체여성의 성폭력 생존 경험에대한 연구: 지속적인 성폭력 피해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3 하숙자, 여성정신지체인에 대한 성폭력 사례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4 문현주,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5 J.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역.), 학지사, 2010.
26 엄명용, 김성천, 오혜경, 윤혜미,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2000.
27 B. Sheafor and C. Horejsi,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남기철, 정선욱, 조성희 역.), 나남, 2010.
28 U.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9 박종엽,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재활복지, Vol. 18, No. 1, pp. 181-213, 2014.
30 정혜숙, 이경란, "저신장장애인의 장애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과학연구, Vol. 27, No. 4, pp. 265-289, 2011.
31 신경림 외,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32 P. Ouimette, G. Saxe, and B. A. van der Kolk, "Measurement of stress, trauma, and adaptation," Sidran press, 1996.
33 양계령, 심리적 학대와 자아 탄력성이 복합 PTSD에 미치는 효과 :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4 송성자, 김유순, 어주경 정윤경, 최중진, 가정폭력 피해대상 유형별 치료.회복 프로그로그램개발, 여성가족부, 2013.
35 정여주, 성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손상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6 www.child1375.or.kr
37 김영택, 김동석, 김인순, 차지영, 성폭력피해자 정신건강현황 및 정책지원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38 T. Miriam and P. Melanie, "Opening the doors: Addressing the sexual abuse of wom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Canadian Women Study, Vol. 3, No. 4, pp. 1-5, 1993.
39 석혜원, 미술치료가 외상 후 스트레스 청소녀의 우울감 감소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 청소녀 단일사례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