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천시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6초

포천시 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및 구강보건 행태와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 (An analysis of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DMFT index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in Pocheon city)

  • 김영남;송윤신;최은정;김영수;최은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26
    • /
    • 2011
  • Objectives : We supposed that identify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DMFT index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be indispensible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program establishment in Pocheon. So, to prepar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oral health program establishment in Pocheon, we analyzed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DMFT index in Pocheon. Methods : We selected 3,676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whose age were from 6 to 11, and surveyed those children by a questionnaire and the oral examination based on WHO's oral health survey method. Data were analyzed with a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5.0^{(R)}$. Results : The results of oral survey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 revealed as follows: DMFT index, National Health Oral health survey of 2006 people nationwide in the results when compared to younger grade children and older grade in the low and the highe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high of viscosity junk food snacks, fruit, gender, dental visits and humidity, oral health education classes, including the variable of attitude was 6(p<0.05). Their higher awareness of dental health, oral health education classes ever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DMFT ind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Solid in the habit of eating junk food snacks to the students of a liquid relative to student intake was higher DMFT index indices(p<0.05). Conclusions : We could reason that one's oral health recognition and behavior should have a relationship with his(her) DMFT index.

주운하천으로 유입하는 점착성 및 비점착성 유사의 3차원 이송.퇴적 해석 (Analysis of the transport and sedimentation processes of cohesive and non-cohesive sediments induced into a navigational river)

  • 류재일;정세웅;정진웅;김현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3-1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리해석과 함께 유사의 이송, 침식, 퇴적 현상을 연동하여 모의할 수 있는 유한차분 수치모형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를 이용하여 주운하천 구간으로 유입되는 다입경 혼합유사의 입경별 시 공간적 퇴적분포 특성을 고찰하고, 하상변동 예측에 있어서 유사의 밀도와 모델의 유한차분 격자 구조에 의한 불확실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유입 유사의 입경별 공간적 퇴적특성은 하천 하류부와 단면 확대부에서 발생하는 3차원적 수리현상과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굴포천과 합류하는 주운수로 유입부에서는 대부분 입경이 큰 비점착성 유사($63{\mu}m$ 이상)인 사질(sand)입자들이 주로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운하천 합류부로부터 하류구간까지는 $4\sim63{\mu}m$ 입자의 실트질(silt) 유사가 대부분 이송되어 퇴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점착성 유사인 $4{\mu}m$ 이하의 점토(clay)는 단면이 확대되어 유속이 매우 느린 구간이나 사수역을 중심으로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면 횡방향 분포특성은 굴포천과 주운하천이 합류하는 합류부 구간의 주흐름 방향 남쪽에서 흐름의 정체구간이 발생되어 퇴적이 발생하고, 단면 급확대부 양안에서 사수역이 형성되므로 퇴적이 지배적으로 발생되었다. 하상변동 예측의 불확실성 해석을 위해 유사 밀도값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하상변동량은 유사밀도($1.3ton/m^3\sim2.65ton/m^3$)가 감소됨에 따라 약 2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민감도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치격자 구조의 민감도 분석결과, 수층을 3개 층으로 분석한 결과가 단일층 분석결과보다 최대 6배의 하상변동량이 많게 산정되었다. 이는 수심방향의 유속과 부유사 농도의 불균등 분포특성이 실제 자연현상에 더 가깝게 모의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기성 슬러지 급이에 따른 크롬과 망간의 줄지렁이 (Eisenia andrei (Annelida; Oligochaeta)) 체내 생물축적 (Bioaccumulation of Chromium and Manganese in the Earthworm Eisenia andrei (Annelida; Oligochaeta) in Relation to the Supply of Organic Sludges)

  • 배윤환;최석순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101-108
    • /
    • 2016
  • 경기도 포천시 하수처리장에서 수처리후 탈수된 몇 가지 유기성 슬러지내 크롬과 망간 농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슬러지 급이량 변화에 따른 줄지렁이(Eisenia fetida) 체내 크롬과 망간의 생물축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유기성 슬러지내의 크롬과 망간 농도는 각각 0.0~0.3 mg/kg, 3.6~17.6 mg/kg를 나타내었기에, 이러한 중금속 농도들은 지렁이 개체군에 대하여 급성독성을 유발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슬러지 급이량 증가에 의하여 지렁이 체내에 크롬의 생물축적이 이루어졌으나 슬러지 공급량에 비례해서 크롬 농도가 증가하지 않았으며,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망간에 대해서는 생물축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본 실험으로부터 60 g의 슬러지를 공급하였을 때, BAF 값은 망간의 경우 0.00~0.12이었으며, 인분슬러지를 주입하였을 때 BAF 값은 크롬의 롬 경우 19.33를 나타내었다.

관리자의 담당의지에 따른 포천시 교육·보육기관 텃밭의 운영실태 및 인식 (Operation Status and Perception for School Gardens According to Program Leader's Dedication in Pocheon City)

  • 박인;송경희;이홍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3권4호
    • /
    • pp.384-396
    • /
    • 2017
  • School gardens are known to be effective for increasing vegetable consumption in childre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arden program leaders for actual conditions and barriers to promote school gardens according to their sense of dedication. The 49 garden program leaders at 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in Pocheon city were surveyed and grouped into two groups: dedicated (57.1%) and less dedicated (42.9%) as program leaders. Compared to dedicated leaders, leaders in the less dedicated group less advocated promotion of school gardens (P<0.001) and were less willing to attend training for school garden (P<0.01), despite less experience as program leaders (P<0.01) and past training (P<0.05). Moreover, leaders in the less dedicated group less acknowledged the educational results of school garden in every aspect (P<0.001, respectively), less perceived support from parents and colleagues (P<0.05, respectively), and less used garden produce in more active activities such as donation and literature (P<0.05,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dedicated group. The most answered barrier against the promotion of school gardens was work burden, followed by manpower shortage, shortage of techniqu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time shor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developing strategies is needed to make more teachers and child care providers more dedicated as garden program leaders.

쉬땅나무속(장미과-조팝나무아과)의 미기록 식물: 좀쉬땅나무 (First record of Sorbaria kirilowii (Rosaceae-Spiraeoideae) from Korea)

  • 송준호;장진성;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4-178
    • /
    • 2010
  • 경기도 포천시 내천면과 여주군 북내면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장미과 내의 미기록 종인 Sorbaria kirilowii (Regel & Tiling) Maxim.을 확인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var. stellipila Maxim.)에 비해서 잎과 화경에 털이 없고, 원추화서는 넓게 퍼져 아래로 처지며, 꽃은 5-8mm로 작고, 꽃받침은 반원형, 둔두이며, 수술의 수가 적고, 비교적 짧으며, 골돌은 작고 털이 없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국명은 꽃과 열매의 크기가 쉬땅나무에 비해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좀쉬땅나무'로 명명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 퇴비와 계분퇴비 사용이 열무 성장과 토양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d-waste and poultry manure compost on the growth of young radish and the change of soil properties)

  • 김용성;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1호
    • /
    • pp.159-170
    • /
    • 2007
  • 음식물류폐기물을 이용한 퇴비는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의 농도가 낮고, 유기물 농도가 높아 토양에 시비하여 토지개량제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천시 일동면 소재의 나대지 (latitude $38^{\circ}0^{\prime}N$, longitude $127^{\circ}20^{\prime}E$)에 있는 음식물류폐기물 퇴비와 계분 퇴비를 각각 3, 6, $9kg/m^2$과 1, 2, $3kg/m^2$로 시용하여 열무의 성장특징과 생리적 특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통해 음식물류폐기물 퇴비의 답 토양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음식물류폐기물 퇴비를 사용한 포장에서의 열무는 초장의 경우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성장량이 좋았으며, 잎수, 잎면적, 초부와 근부의 무게는 6 kg 처리구가 가장 성장량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계분퇴비 시용구에서는 2 kg 처리구가 기타 처리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성장량이 적었다. 생육 초기 음식물류폐기물 퇴비 9 kg의 성장량이 다른 처리구보다 적었으며, 이는 종자의 발아단계에서 음식물류폐기물 퇴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측된다. 용적밀도는 모든 시비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성질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광합성능력도 염해, 오존, 질산성 질소와 같은 일반적인 외부 스트레스로 인한 감소와는 다른 경향을 보여 답 토양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계분퇴비를 시비한 포장에서 electric conductivity(EC)의 농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음식물류폐기물 퇴비 6, $9kg/m^2$ 시비구에서는 토양내 electric conductivity(EC)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음식물류폐기물을 원료로 한 퇴비를 시용하는 토양의 특성과 작물의 종류 및 기후 등에 따른 염류 집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시비처방시에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IS 및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및 관리 우선 대상 지역 평가 (An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nd Priority Areas for Groundwater Management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명진;현윤정;황상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5-51
    • /
    • 2015
  • 본 연구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보다 정량적인 지하수 오염 취약성 분석을 기반으로 지하수 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잠재오염' 중심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오염을 완화시키는 '대응 능력'을 고려한 방법론으로 개선하였다. 둘째, 계층분석 방법(AHP)과 지하수 전문가의 설문을 바탕으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인자의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셋째, 광역지자체(경기도)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개선된 방법론 및 가중치를 GIS로 구현하여 실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넷째, 정량적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도를 바탕으로 지하수 오염 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세부 평가인자는 총 15개 이며, 이에 대한 AHP를 활용한 가중치의 산정결과에서 기존의 '잠재오염'에 해당하는 평가인자 보다 신규로 개선된 '대응능력'이 높은 가중치로 분석되었다. 또한 GIS를 활용한 경기도 지역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서울에 인접한 고양시 및 광명시 등이 지하수 오염 취약성이 높았으며, 포천시 및 양평군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개선하였고 실제 연구지역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에 직간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헙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eana $U_{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I. Study for a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Pattern in Corylopsis coreana $U_{yeki}$)

  • 임동옥;황인천;정흥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2-176
    • /
    • 2005
  •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 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 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 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 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 되었다. 생장형 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기도 포천군과 경상남도 진해시 등줄쥐의 털진드기 (Acarina: Tronbiculidae) 기생상 (Trombiculid miters (Acarina: Trombiculidae) from Apodemus agrarius coreae caught at Pochun-gun, Gyeonggi Province and Chinhae-city, Kyongnam Province)

  • 이한일;백락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141-144
    • /
    • 1989
  • 1987년 10월부터 12월에 걸쳐 경기도 포천군 이개 부락과 경상남도 진해시 일개 부락에 서 채집한 등줄쥐(Apedemus agrariuscoreae)의 이개에 기생한 털진드기유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집된 171필의 등줄쥐 중 58필에서 털진드기가 잡혀 기생률은 33.9%이었다. 그 중 한 종만 발견된 숙주가 27필(46.6%)로 가장 많았고, 기생 종수가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5종이 기생하는 쥐는 2필(3.4%)뿐이었다. 총 865개체의 털진드기 유충을 동정한 결과 Leptotrombidium Pallidum (4.3%), L. palpate(23.0%), L. orientalis(20.2%), L. wetum(19.0%), Neotrombicula tamiyai (32.9%), N. japonica(0.2%) 및 Euschongastia koreaensis(0.3%)의 7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N. tamiyai가 285개체(32.9%)로 가장 많았으나 이 종은 일개 지역에서 12월에만 집중 채집되었으므로 우리 나라 우점종은 전 조사지역과 기간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 L. palpale라 추측된다.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 pallidum은 37개체가 채집되어 전체의 4.3%에 불과하였다. 한 숙주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밀도는 1개체로부터 최고 207개체까지 심한 차이를 보였는데 개체마다 한 두 종이 집중 기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과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gainst Anomia mesogona and Anomis commoda(Lepidoptera: Noctuidae))

  • 김형환;박형순;조윤진;이동운;추호렬;구관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5
    • /
    • 2005
  • 무궁화의 중요한 식엽성 해충인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과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na carpocapsue 포천 계통(ScP)의 병원성을 실내 petri dish와 pot에서 령기별(2령, 3-4령, 5령)로 검정하였다.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령기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선충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하였는데, 2령충의 경우 각각 9.7과 4.5였다. 그리고 Pot에서도 ScP의 병원성은 령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ScP는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의 2령충에 대하여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였는데, 90,000마리/pot($=1\times10^9$ 마리/ha) 처리 시 각각 $72.5\%$$87.5\%$의 치사율을 보였다. 반면 3-4령충부터는 병원성이 감소하여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 5령충에 대해서는 처리 5일 후, 90,000마리/pot 처리 시 각각 $5.0\%$$10.0\%$의 치사율만 나타내었다. Pot에 2령충과 3-4령충, 5령충을 각각 10마리씩 접종한 후, ScP를 90,000마리/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의 치사율은 각각 $69.2\%$$50.0\%$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