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장기

검색결과 1,258건 처리시간 0.029초

나물용 콩 품종의 파종기에 따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변이 (Changes of Yield Components and Yield by Sowing Date in Sprout-soybean Cultivar)

  • 김학신;김홍식;김경호;오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84-592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콩나물 원료콩의 안정적 생산 공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 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체당 협수, 공협수, 입수 및 100립중은 파종기 및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협당 입수별 협수의 분포비율은 $2{\sim}3$립 협이 $80.9{\sim}77.5%$이었으며 파종기에 따라 2립 협의 변이가 컸다. 2. 수량은 2년간 시험품종 평균 5월 25일 파종은 290 kg/10a, 6월 15일 파종은 269 kg/10a 및 7월 5일 파종은 221 kg/10a으로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고, 풍산나물콩이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른 수량 감소 정도가 적었고 그 외 품종들은 파종기에 따른 수량의 감소 정도가 컸다. 3. 수량은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분지수, 줄기굵기, 개체당 협수, 개체당 입수 및 개체당 엽면적과 정의 상관이었으며 개체당 협수는 개체당 입수,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개체당 입수는 개체당 엽면적 및 건물중과 정의 상관이었다.

헤어리베치 피복을 이용한 옥수수 무경운 재배에 관한 연구 II. 질소시비 및 헤어리베치 피복에 의한 옥수수의 수량 및 질소 흡수량의 변화 (Study on No-tillage Silage Corn Production with Legume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Cover II. Changes of yield and nitrogen upake of corn by N fertilizer and hairy vetch cover)

  • 서종호;이호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3-128
    • /
    • 1998
  • 1996년 작물시험장 전작포장에서 헤어리베치의 피복 및 질소시비가 옥수수의 생육 및 질소 흡수량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봄 초 고사시키기 전 헤어리베치의 피복은 표 토충(O~7.5cm)과 충위 7.5~22cm에서 토양의 무기태 질소 함량을 감소시켰으나 옥수수 6엽기(추비시기)의 토양에서 무기태 질소 함량을 중가시켰다. 질소 비료 무시용시 헤어리베치의 피복은 출사시까지의 옥수수 생육, 건물중 그리고 출사기 질소 흡수량이 무피복에 비해 감소되었지만 출사기 이후 건물중이 회복되어 수확시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 비료 135kgFN/ha 시용시 헤어리베치의 피복은 옥수 수 출사기를 다소 늦추고 건물중을 무피복보다 감소 시켰으나 수확기에는 차이가 없었다. 질소비료 무시 용시 헤어리베치의 피복은 옥수수 전질소 흡수량을 중가시켰는데 이는 주로 출사기 이후의 질소 흡수량의 중가에 기언하였다. 헤어리베치의 피복에 관계없 이 질소비료 135kgFN/ha의 시용은 질소 무시용시 보다 옥수수 생육파 수량을 중가시 키고 수확시 질소 흡수량도 증가시켰는데 특히 무피복구에서 출사기까지의 질소 흡수량을 많이 중가시켰다. 시비한 질소비료는 주로 출사기 전에 주로 흡수되었고 헤어리 베치에서 무기화된 질소는 출사기 이후에 많이 흡수되었으므로 헤어리베치를 이용한 옥수수 재배에서는 옥수수의 초기생장 및 질소 흡수량을 중진시키기 위해서 헤어리베치에 의해 무기화 될 질소를 제외한 나머지 질소량은 옥수수 파종전 기비로 전량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였다.

  • PDF

파종시기가 케놀라의 내동성과 월동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 o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of Canola (Brassica napus L.))

  • 송문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0-156
    • /
    • 1995
  • 파종시기는 작물의 월동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본 실험은 케놀라의 파종시기에 따른 내동성의 증가형태 및 이러한 내동성이 궁극적으로 월동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여섯 가지의 케놀라 품종을 8워 25일, 9월 10일과 9월 25일의 세 파종시기로 구분하여 포장에 파종하였으며, 파종 후 15일 간격으로 11월 중순까지 잎 표본을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elec-troleakage test 법에 의하여 내동성을 측정하였으며, 월동율은 포장상태에서 가을과 봄에 걸쳐 살아있는 개체수를 세어서 산정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내동성이 증가하는 형태는 파종시기에 따른 양태를 보였는데, 일찍 파종할수록 생육기 전반에 있어서 내동성의 증가가 일어나지 않는 반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는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식물체의 생장정도에 따라 저온에 반응하여 내동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2. 세 파종시기에 있어서 공히 내동성의 급격한 증가를 보이는 기간은 기온이 케놀라의 저온적응에 알맞은 2∼5일 때임을 미루어 볼 때 식물체의 저온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 중 저온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3. 내동성과 월동율은 긴밀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내동성이 월동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이러한 실내에서의 내동성측정이 월동율 향상을 위한 육종도구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안정처리된 도로하부 지반재료의 강도 및 변형특성 (II) : 수치해석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n Stabilized Pavement Geomaterials (II) : Numerical Analysis)

  • 박성완;지종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05-21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기 발표된 연구를 바탕으로 도로하부구조 안정처리기법 적용시 아스팔트 포장에서의 구조적인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로하부재료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여 단축 표준하중 하에서 공용성 지수를 추정하였으며 안정처리된 지반재료의 물리적 역학적 성질들은 실내시험 결과를 통하여 평가되었다. 유한요소 수치해석에 기초한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층두께와 안정제 함량에 따라 포장체에서 변형에 기초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 안정처리된 도로에 대한 구조적인 성능은 층두께와 안정제 함량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결과를 분석하여 조립질 도로하부 안정처리인 경우에 대한 안정처리층의 적정한 두께와 안정제의 최소함량을 각각 제안하였다.

  • PDF

지벨레린 최아처리가 춘파대맥의 발아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ing Treatment with Gibberellin to Germination and the Growth of Spring Barley)

  • 원종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7-121
    • /
    • 1969
  • 춘파과맥 ${\ulcorner}$완주봄보리${\lrcorner}$의 종자를 5~100ppm의 지벨레린의 용액에서 백체출현기까지 최아하여 발아 및 포장시험을 실시한바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벨레린최아에 으하여 발아율의 감퇴없이 2 (상온구)~3일(저온구)의 발아촉진을 보였다. 2. 지벨레린최아를 하면 초기생육촉진이 일면으로는 주장적현상이 현저하였는데 그경향은 고농도 일수록 심하다. 3. 지벨레린최아로 근생장의 억제작용은 전연 인정되지 않았다. 4. 포장조건에는 발아촉진의 효과가 별로없었고 고농도처리에서는 발아율의 감퇴를 초래하여 수수감소 및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5. 고농도일수록 초기의 주장화경향이 심하고 회복도 늦으나 생육중기에 가서는 거의 모두 정상으로 회복되며, 따라서 출수 성숙 및 간장이 처리에 의한 변이를 보이지 않았다. 6. 5~10ppm의 농도에서는 발아저해가 적고 초기의 주장화경향이 적으며 수수감퇴도 적은 반면에 수장이나 천립중은 증대경향이어서 결과적으로 중수경향을 보였으나 재 검토가 필요하다. 7. 지벨레린 최아만으로는 발아촉진은 기대되나 조숙화는 기대되지 않는다.

  • PDF

사과의 역병: Ⅰ.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줄기역병의 발생 (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Ⅰ. Occurrence of a Destructive Collar Rot Caused by P. cactorum)

  • 지형진;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97
  • 사과 줄기 밑둥을 썩히는 역병 (collar rot)이 경북의 사과 재배지역에 널리 발생하고 있으며, 충북, 충남, 전북 등의 일부 지역에서도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 역병은 주로 M26이나 M9를 왜성대목으로 사용한 후지품종에 심하게 발생되었는데, 발병율은 포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의성, 군위, 예산, 무주 등지의 일부 포장에서는 이병주율이 45~80% 정도로 아주 높았다. 수집된 25 균주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 결과 모두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배지에서나 물 속에서 유두돌기가 뚜렷하며, 계란형의 쉽게 이탈되는 다량의 유주자낭을 형성하였고 짧은 자루 (약 4 ${\mu}m$)를 부착하고 있었다. 자웅동주 균으로 10% clarified V8 배지에서 다량의 난포자를 형성하였는데 모든 장정기는 측착 (paragynous) 하였다. 모든 공시 균주는 5$^{\circ}C$ 이하와 33$^{\circ}C$ 이상에서는 자라지 못하였으며 난포자도 형성되지 않았다.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사과 줄기역병은 국내에서 기록된 바가 없어 본 병해를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고구마 재배지 주요 굼벵이 발생양상 및 피해 (Population Dynamics and Damages of White Grubs in Sweet Potato Fields)

  • 백채훈;이건휘;최만영;김두호;최동로;서홍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65-168
    • /
    • 2007
  • 고구마 재배지에 발생하는 풍뎅이류 유충(굼벵이)의 종류 및 종별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고구마 재배지 토양에 발생하는 풍뎅이류는 큰검정풍뎅이(Holotrichia parallela), 참검정풍뎅이(Holotrichia diomphalia), 애풍뎅이(Anomala rufocuprea) 3종이지만 주로 발생하는 풍뎅이류는 대부분 큰검정풍뎅이로 조사되었다. 굼벵이류에 의한 고구마 괴근 피해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평군 2-40%였고, 심한 경우는 80% 이상의 피해를 나타낸 포장도 있었다. 큰검정풍뎅이는 10월 하순부터 다음해 6월 하순까지 토양 속에서 3령의 노령유충으로 월동하였으며, 월동기간 동안 유충의 생존율은 92%로 매우 높았다. 고구마 포장에서 큰검정풍뎅이 유충은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고구마의 굼벵이 피해는 8월 하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지속되었다.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 발생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on Statice (Limonium shinuatum) Caused by Oidium sp. in Korea)

  • 권진혁;강수웅;김정수;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5-78
    • /
    • 2001
  • 2000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창원화훼시험장 스타티스포장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여 병원균의 형태, 병원성, 분류학적인 특성을 조사를 하였다. 병징은 이병엽 앞뒷면과 잎자루, 줄기에 전형적인 흰가루 모양의 균총이 많이 형성되었고, 병징이 심하게 진전될 경우 잎에 황화되고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되며 결국 말라죽는다. 병반부에서 분생포자, 분생자병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분생자병의 끝에 형성되고 단상으로 원통형 또는 장타원형의 무색, 단포이다. 크기는 25.3{\sim}49.4{\times}12.3{\sim}17.2{\mu}m$이며, Fibrosin body는 없었다. 부착기는 손바닥 또는 가느다란 실모양이었다. 분생자병은 $2{\sim}4$개의 격막으로 되어있고 길이는 $65.7{\sim}124.8{\mu}m$이었다. Foot cell은 원통형이었다. 포장에서나 접종시 나타난 이병엽 병반부에서 자낭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본 병원균은 Oidium sp.에 의한 스타티스 흰가루병으로 동정되었으므로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새로운 병으로 보고한다.

  • PDF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 특성 평가 (Evaluation of Healing Properties of Asphalt Mixtures)

  • 김부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69-76
    • /
    • 2005
  • 반복적인 교통하중은 아스팔트 포장에 손상을 누적시키는 반면, 휴식기 동안 아스팔트 혼합물에는 축적된 손상의 회복현상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손상회복 현상은 아스팔트 포장의 피로수명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간접인장시험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일단 아스팔트와 개질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총 네 가지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손상회복시험은 반복재하시험과 일련의 $M_R$시험으로 구성된다. 반복재하시험과 $M_R$ 시험 동안 회복변형 (resilient deformation)을 측정하고 응력과 변형률을 이용하여 DCSE (Dissipated Creep Strain Energy)를 구하고 이를 통해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파라메터로서 $DCSE/DCSE_{applied}$를 이용한 정규화된 손상회복속도 (normalized healing rate)를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속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아스팔트 혼합물의 손상회복특성은 폴리머 개질과 같은 아스팔트 바인더의 특성보다는 아스팔트 함량과 같은 혼합물의 구조적인 특성에 더 많은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령보행자의 교통사고와 이동편의시설과의 관계 (청주시를 사례로)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Accidents of Elderly Pedestrians and Barrier-Free Facilities in the Case of Cheongju)

  • 박병호;양정모;인병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9-197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주시를 사례로 고령보행자의 교통사고와 이동편의시설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보행자의 사고는 가로구간에서, 그리고 횡단 중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령보행자 사고건수와 이동편의시설과의 상관분석 결과, 포장상태, 보행유도블록 및 점자블록 역시 고령보행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형식이 개발(chi-square p=0.000, Nagelkerke $R^2$=0.198)되었다. 모형은 독립변수로서 포장상태, 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 음향신호표시기 및 녹색신호 잔여시간 표시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동차 진입억제용 말뚝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은 고령보행자 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