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식량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9초

감귤원에 발생하는 귤응애에 대한 3종 이리응애의 포식량 비교 (Comparison of Predation Rates of Three Phytoseiid Mite Species on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on Citrus Tree)

  • 김동환;김광식;현재욱;정순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5-60
    • /
    • 2002
  • 국내 자생종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a)와 도입종인 Amblyseius fallacis Garman,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 등 3종 이리응애의 감귤원 귤응애에 대한 포식능력과 피식자에 대한 밀도억제효과를 사육실($25^{\circ}C$, RH 65%, 16L : 8D)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귤응애 알에 대한 포식량은 A. fallacis 20: 1개, 긴털이리응애와 T. occidentalis는 각각 1.1개와 9.1개였다. 귤응애 유충과 제1약충 그리고 제2약충에 대해 긴털이리응애는 각 23.8, 16.5, 9.0마리, A. fallacis는 각 26.1, 18.2, 7.4마리 그리고 T. occidentalis는 각 7.8, 4.2, 4.2마리를 포식하였다. 20:1의 비율에서 귤응애 밀도억제효과는 긴털이리응애와 A. fallacis는 효과가 좋았으나 T. occidentalis는 효과가 매우 낮았다. $25^{\circ}C$에서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긴털이리응애는 6.1일, A. fallacis는 5.9일로 두 종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마산만의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간의 포식-피포식 상관관계에 대하여 (On the Trophic Correlation between Tintinnids and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Korea)

  • 유광일;이준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0-236
    • /
    • 1987
  • 적조의 다발해역으로 알려진 마산만 일대의 2개 정점에서 1981년 1월부터 1982년 12월까지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의 현존량을 월별로 조사하여 이들 변동과 포식-피포식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와편모류의 우점종은 주로 $20-60\;{\mu}m$의 크기로서 Gymnodinium, Prorocentrum 속 등이었으며, 특히 봄에서 여름에 걸쳐 대발생을 보였다. 한편 유종섬모충류는 Favella가 압도적으로 우점하였으며 이들은 같은 시기에 현존량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의 중상관분석의 결과로 Favella는 와편모류중 $40-60\;{\mu}m$크기의 종류들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Prorocentrum 등이 우점한 정점 1보다는 Gymnodinium, Protogonyaulax등 크기가 큰 종류들이 우점한 정점 2에서 더 높은 중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로서 유종섬모충류와 와편모류간에는 크기 및 형태에 의한 먹이 선택성을 인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연안역의 저차생산단계에서 포식${\cdot}$피포식 상관관계를 통하여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진딧물류를 포식하는 혹파리, Aphidoletes aphidimyza(Roundani)(Diptera: Cecidomyiidae)의 복숭아혹진딧물 포식과 발육 (Development and Predation of a Aphidophagous Gall Midge, Aphidoletes aphidimyza (Roundani) (Diptera: Cecidomyiidae) on Myzus persicae Sulzer)

  • 최만영;이건휘;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5-45
    • /
    • 2001
  • 진딧물류 천적 혹파리(Aphidoletes aphidimyza (Rondani))의 온도별 발육 및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포식특성을 실험실 및 온실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와 유충의 발육속도와의 상관 을 구하였으며 ((regression; development rate (y) : 0.013348x (temperature)-0.173022, F = 41.14, p<0.01)), 발육영점온도는 $13^{\circ}C$이었다. $\25pm$2$^{\circ}C$ 에서 유충 발육기간은 5.3일 이었고, 1세대기간은 29 일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밀도에 따른 혹파리의 포식량은 arena(직경 9cm)당 복숭아혹진딧물 10마리일 때 4마리를 포식하여 포화상태를 나타냈다. 온실조건에서 진디혹파리의 진딧물 포식은 지체적밀도의존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ha)의 간자와응애에대한 기능반응 및 개체군 억제에 관한 연구 (Functional response and suppression of prey population if Amblyseius womersleyi Schicha(Acarina:Phytoseiidae) to Tetranychus Kanzawai Kishi-da(Acarina: Tetranychidae))

  • 김도익;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6-131
    • /
    • 1996
  • 긴털이리응애와 간자와응애에 대한 포식량과 억제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강낭콩 잎을 이용하여 시허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긴털이리응애는 간자와응애의 난, 유충, 약충의 먹이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의 증가율은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 반응공석 제 II형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긴털이리응애의 간자와응애에 대한 억제능력은 $25^{\circ}C$에서 32:1의 비율까지, $20^{\circ}C$에서 16:1 비율까지 억제하였으나 $15^{\circ}C$에서는 어느 비율에서도 억제를 하지 못하였다.

  • PDF

점박이응애 천적인 3종 이리응애의 발육 및 포식량 비교 (Development and Prey Consumption of Phytoseiid Mites, Amblyseius womersleyi, A. fallacis, and Typhlodromus occidentali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s)

  • 권기면;이영인;이순원;최경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3-58
    • /
    • 1998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를 먹이로 제공하여 3종 이리응애의 발육 및 포식량을 조사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20, 23, 25, $30\pm$0.5$^{\circ}C$에서 발육기간은 Amblyseius womerslryi Schica 각 11.5, 7.7, 6.7, 5.6일이었으며, Amblyseius fallacis Garman과 Typhlodromus occidentalis Nesbit는 약간 짧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으며, $30^{\circ}C$에서 $20^{\circ}C$보다 1/2이하로 짧았다. 이리응애의 발육임계온도와 유효적산 온도는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고, 암컷을 기준으로 볼 때 A. womersleyi가 각 $8.8^{\circ}C$, 111.6일도, A. fallacis는 각 $10.7^{\circ}C$, 86.0일때도, T. occidentalis는 각 $10.7^{\circ}C$, 94.1 일도였다. $25^{\circ}C$에서 3종이리응애 암성충의 평균수명은 A. womersleyi $18.2\pm$8.67일, A. fallacis $19.6\pm$7.81일, T. occidentalis $13.0\pm$5.66일이었고, 총산란수는 각 $34.3\pm$11.93, $39.8\pm$12.64, $23.6\pm$8.86개였다. 이리응애의 전발육기간 동안 점박이응애 난 포식량은 20, 23, 25, $30\pm$$0.5^{\circ}C$에서 A. womersleyi가 각 $9.1\pm$2.49, $9.7\pm$2.00, 9.7$\pm$2.61, $1.03\pm$2.33개로 온도별로 차이가 없었고, A. fallacis는 비슷하였으며, T. occidentalis는 2~5개 많은 경향이었다. 3종 이리응애 암성충의 점받이응애 나과 전약충에 대한 포식량은 온도별.먹이 태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 PDF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를 이용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olyphagotarsonenmus latus(Acari: Tasonemidae) by Amblyseius cucumeris(Acari: Phytoseiidae))

  • 나승용;백채훈;이건휘;김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47-354
    • /
    • 2009
  • 본 연구는 차먼지응애의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생물적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차먼지응애는 상위 엽을 가해하다가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먹이조건이 나빠지기 때문에 새로운 서식처를 찾아 이동하였다. 오이이리응애와 차먼지응애의 밀도변동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의 이동에 따라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서식지가 같아졌다. 차먼지응애에 대해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의 포식량은 15,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8.8, 15.2, 27.0 및 30.3마리를 포식하였다. $25^{\circ}C$ 조건하에서 부화유충은 0.5마리, 전약충은 1.6마리, 후약충은 5.2마리, 수컷 성충은 3.8마리, 암컷 성충은 27.0마리의 차먼지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차먼지응애 성충에 대한 오이이리응애 성충의 기능반응은 차먼지응애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그의 포식율은 감소하여 Holling의 기능반응곡선 제II형과 일치하였다. 천적인 오이이리응애와 먹이충인 차먼지응애 접종비율이 고추에서 1:40일 경우 밀도억제효과가 98% 이상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온도조건이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발육과 성충의 멸구류 난포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reen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Hemiptera: Miridae) and Predation of Planthoppers Eggs by Its Adult)

  • 배순도;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16
    • /
    • 1997
  •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96%, 88%, $75^{\circ}C$$64^{\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 PDF

해송(곰솔)림에 만연된 "솔껍질깍지벌래"의 포식천적에 관한 연구 (Natural Enemies of the Black Pine Bast Scale(Matsucoccus thunhergianae) in the Black Pine Forests)

  • 김규진;이호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3-80
    • /
    • 1998
  • 솔껍질깍지벌레의 천적으로 곤충류 총 4목과 7과 24종과 거미류 총 11과 29종이 조사되었으며, 곤충류에서는 딱정벌레목 10종, 벌목 7종, 노린재목 6종, 집게벌레목 1종이 조사되었고, 이중 비교적 발생량이 많고 포식량이 많아 천적으로 기대되는 종으로는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홍점박이 무당벌레(Chilocorus rubidus)와 무당벌레(Harmonia axyidis), 벌목 개미와 왕침개미(Brachyponera chinensis), 말벌과 말벌(Vespula crabro flavofaciata), 노린재목 침노린재과 다리무늬침노린재(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껍적침노린재(Velinos nodipes)등이었다. 본 조사에서 딱정벌레목의 달무리 무당벌레(Anatis halonis)와 십구점무당벌레(Anisosticta kobensis), 노린재목의 고추침노린재(Cydno- coris russatus)등 3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 거미류에서는 호랑거미와 8종, 게거미와 5종 늑대거미과 3종, 깡총거미과 3종, 닷거미과 2종, 꼬마거미과 2종, 갈머리과 2종. 스라소니거미과 1종, 염라거미과 2종, 염남거미과 1종, Atypidae과 1종이 조사되었으며, 조사된 종들 중 비교적 발생량이 많고, 집중적으로 공격(포식)하는 종으로는 호랑거미과 긴 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i),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 점연두어왕거미(Neoscona melloteei), 연두어리왕거미(Neoscond scylloids), 늑대거미과 땅늑대거미(Lycosa suzurii), Pirata sp., 깡총거미과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닷거미과 줄거미(Dolomedes stellatus), 스라소니거미과 낯표스라소니거미(Oxyopes sertatus)등이었다. 본 조사에서 호랑거미과의 연두어리왕거미(Neoscona scylloides), 여석혹먼지거미(Cyclosa laticauda), 게거미과의 불짜게거미(Synema globosum), 대륙게거미(Xysticus ephippoatus), 꽃게거미(Micumenops tricu-spidatus), 깡총거미과의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까치깡총거미(Dedryphantes atratus), 닷거미과의 번개닷거미(Perenethis fascigera), 갈거미과의 백금갈거미(Tetragnatha pinicola), 염라거미과의 아시아염라거미(Zelotes asiaticus)등 10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

  • PDF

포식성 이리응애 4종의 담배가루이 알 포식능력 비교 평가 (Comparison on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 김황용;이용휘;김정환;김용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9-433
    • /
    • 2008
  • 시설과채류(오이, 착색단고추, 토마토, 가지, 참외)의 잎 절편에서 지중해이리응애, 나팔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알에 대한 포식능력과 산란능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의 일평균 담배가루이 알 포식량이 $9{\sim}12$개로 가장 많았으며, 나팔이리응애, 오이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가 각각 $6{\sim}9$개, $4{\sim}6$개, $1{\sim}4$개로 뒤를 이었다. 일평균 산란수도 지중해이리응애가 $1.2{\sim}1.9$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포식응애들은 0.5개를 넘지 않았다.

기아에 따른 양식 메기, 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생리적 반응 (Effects of Starvatio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Cultured Catfish, Silurus asotus)

  • 이정열;허준욱;김선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1-89
    • /
    • 2008
  • 메기, Silurus asotus에서 포식과 기아가 생존과 성장, 내장괴지수, 간중량지수, 생식소중량지수, 외형계측형질 변화 및 혈액 parameter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80일동안 기아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아군의 생존과 성장은 포식군의 생존과 성장에 비해 낮았다(P<0.05). 기아는 체중성장률, 일간성장률과 비만도에서 성장 정지 효과를 나타낸 반면, 포식군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였다. 외형 계측형질 중복강 부위 횡단길이 관련에서 포식군은 실험 시작시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아군은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실험 기간 중 혈액성상(cortisol, glucose, AST, ALT, RBC 및 hemoglobin)에서 포식군과 기아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포식과 기아 파악에 사용된 모든 parameter들은 본 종의 영양 상태 확인의 지표로 유용하며, 양식 메기의 성장 시기 평가 결정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