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세린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자연 치관과 포세린 치관상에서 교정용 브라켓 부착시 전단 결합 강도와 파절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OF METAL BRACKETS BONDED ON NATURAL TEETH AND PORCELAIN TEETH)

  • 이현선;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5-204
    • /
    • 2008
  • 치아 우식증과 침식증의 진단과 본 연구는 교정용 밴드 사용의 대안으로 제시된 직접 부착 술식이 보철 치료를 받은 치아상에서도 적절한 결합 강도를 갖으면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불산과 포세린 전처리제의 사용 여부에 따른 결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 치관 20개를 대조군으로, 소구치의 협면을 복제한 포세린 치관 80개를 실험군으로 나눈 후, 대조군은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후 Transbond $XT^{(R)}$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접착하였고, 실험군들은 모두 포세린 치관에 통상적으로 sandblasting 처리를 하되, 9.6% 불산으로 4분간 부식처리를 함께 한 군, 포세린 전처리제를 적용한 군, 마지막으로 sandblasting과 불산 그리고 포세린 전처리제를 모두 적용한 군으로 20개씩 나눈 후 금속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각 군간 전단 결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을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포세린 치관에 금속 브라켓을 접착할 시, 기존의 비심미적인 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sandblasting과 불산 그리고 포세린 전처리제를 이용한 직접 부착 술식으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세라믹 브라켓 부착 시 레이저를 이용한 포세린 표면처리 효과 (The effect of using laser for ceramic bracket bonding of porcelain surfaces)

  • 안경미;손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5-282
    • /
    • 2008
  • 본 연구는 포세린 표면에 $CO_2$ 레이저를 조사하여 세라믹 브라켓을 부착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산부식처리 및 샌드블라스트 등의 일반적인 방법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레이저 표면처리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시행되었다. 90개의 포세린($8\;{\times}\;8\;{\times}\;4\;mm$) 시편을 제작하여 각각 10개씩 9개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C)으로 아무런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글레이즈 표면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인산 처리군(OFA), 인산과 silane 처리군(OFA + S), 샌드블라스팅 처리군(SB), 샌드블라스팅과 silane 처리군(SB + S), 레이저 처리군(L), 레이저와 silane 처리군(L + S), 불산 처리군(HFA), 불산과 silane 처리군(HFA + S)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그 파절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불산과 silane을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 가장 높은 값($13.92\;{\pm}\;1.92\;MPa$)을 보였으며, 측정값은 SB + S ($10.16\;{\pm}\;1.27\;MPa$), HFA (10.09\;{\pm}\;1.07\;MPa$), L + S ($8.25\;{\pm}\;1.24\;MPa$), L ($7.86\;{\pm}\;0.96\;MPa$), OFA + S ($7.22\;{\pm}\;1.09\;MPa$), SB ($3.41\;{\pm}\;0.37\;MPa$), OFA ($2.81\;{\pm}\;0.37\;MPa$), 대조군($2.46\;{\pm}\;1.36\;MPa$) 순이었다. 브라켓 부착 시 치과용 레이저를 이용한 포세린의 표면처리 결과 전단결합강도의 값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수치를 보였으며 레이저와 silane을 동시에 처리한 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상의 연구결과는 포세린 표면에 세라믹 브라켓 부착 시 2-watt의 $CO_2$ 레이저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하는 방법은 시간절약의 관점에서 임상적으로 표면 전처리의 적절한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도재 축성 방법에 따른 금속 도재관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porcelain build-up methods)

  • 이하영;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12-120
    • /
    • 2014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열가압법을 이용한 도재의 축성이 금속과 어떠한 결합력을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90개의 비귀금속 시편($4{\times}4{\times}8mm$)을 제작하여 세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시편은 군에 따라 2종류의 다른 방법으로 포세린 축성($4{\times}4{\times}3mm$)하였다: Group I : $Inspiration^{(R)}$, Group II : Ivoclar, IPS $Inline^{(R)}PoM$, Group III: GC Initial IQ-One $Body^{(R)}PoM$. 각 군의 시편의 반은 열순환시켰다. 모든 시편의 전단 결합 강도는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2-way ANOVA가 사용되었다. 결과: 열순환을 하지 않은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사한 값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 > 0.05). 각 실험군에서 열순환 처리 한 시편에서는 전단결합강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 0.05). 열순환 처리한 시편의 실험군간 전단결합강도 비교에서 실험 III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결론: 전단결합력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열가압성형 도재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폴리싱 및 포세린 타일 떠붙임용 시멘트계 친환경 타일접착제 개발 (New Development of Eco-friendly cementitious Ceramic Tile Adhesive by Thick-Bed method for Polishing tile and Porcelain tile)

  • 조창환;이덕용;이재민;최일준;엄주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2-63
    • /
    • 2019
  • Currently, polymer-based tile cement (Thin-bed method) and epoxy adhesive (Thick-bed method) are mainly used as tile adhesive for polishing and porcelain. In the case of epoxy adhesive, there is a low economic efficienc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by mixing the resin and the hardener. In particular, the epoxy contains a bisphenol A and amine component, there is a risk of workable disease when a worker is exposed to odor and harmful gases generated in the epoxy adhesive for a long time.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hazards of using epoxy adhesives indoors, and develop cementitious high performance tile adhesive products with significantly lower hazards than epoxy adhesives.

  • PDF

지르코니아와 포세린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Porcelain)

  • 김사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11
  • Purpose: To examine the shear bond strengths of zirconia and veneering ceramic according to their surface processing. Methods: The test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without zirconia surface processing, one sandblasted, and one sandblasted then 3% etched. Then veneering ceramic was fired on all test samples, and their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Results: The test samples of the control group (Z1) showed the lowest shear bond strengths of $21.82{\pm}1.02$ MPa. The shear bond strengths of Z2 and Z3 ($28.25{\pm}0.72$ and $26.23{\pm}0.82$ MPa, respectively)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fracture surface of the control group showed adhesive fractures while the test groups had relatively large numbers of cohesive fractures. Conclusion: The shear bond strength was high in the test groups with surface processing while the fracture surfaces showed compound fractures of adhesive and cohesive fractures.

스텍앙상블과 인접 넷플로우를 활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 (Intrusion Detection System Utilizing Stack Ensemble and Adjacent Netflow)

  • 성지현;이권용;이상원;석민재;김세린;조학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033-1042
    • /
    • 2023
  • 본 논문은 네트워크에서 침입 행위를 하는 플로우를 탐지하는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대다수 연구에 활용되는 데이터세트는 시계열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공격 사례가 적은 공격은 샘플 데이터 수가 부족해 탐지율 향상이 어렵다. 하지만 탐지 방안에 대해 연구 결과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모델과 스택 앙상블 기법을 활용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였다.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접 플로우를 활용하여 시계열 정보를 추가하고 희소 공격의 샘플을 강화하여 학습하여 탐지율을 보강하였다.

메타게놈 분석을 이용한 돈분뇨 처리에 의한 논토양에서 메탄대사에 미치는 영향 조사 (Metagenomics analysis of methane metabolisms in manure fertilized paddy soil)

  • 응우옌 기앙 손;호 투 궝;이지훈;운노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57-165
    • /
    • 2016
  • 침수된 논토양에서는 메탄생성균이 벼 줄기를 타고 올라오는 메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래서 논토양은 대기 메탄의 인위적인 발생원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분뇨)거름을 사용하면 벼로부터 메탄 배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 알려져 있다. 어떠한 기작으로 (분뇨)거름이 메탄 배출을 증가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무기비료를 사용한 논토양(NPK)과 돈분뇨를 처리한 논토양(PIG)에서의 미생물의 메타게놈에 대해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미생물군집 분류 분석 결과, 메탄생성균과 메탄영양균, 메틸영양균, 초산생성균(acetogen)이 NPK에서 보다 PIG에서 더 풍부하였다. 더욱이 BLAST 비교 분석 결과 탄수화물 대사 기능유전자가 PIG에 더 풍부하였다. 메탄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중에서 메틸-조효소-M-환원효소(mcrB/mcrD/mcrG)와 트리메틸아민-코리노이드 단백질 Co-메틸전달효소(mttB)가 PIG 시료에 더 풍부하였다. 그와는 상대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모노산소첨가효소(tmm)와 포스포세린/호모세린 인산전달효소(thrH) 같은 메탄 배출을 하향 조절하는 유전자는 NPK 시료에서 더 관찰되었다. 메탄영양과 관련된 유전자(pmoB/amoB/mxaJ)들 또한 PIG에서 더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메탄 배출과 메탄 산화와 관련된 핵심 유전자들을 환경에서 확인함으로써, (분뇨)거름 사용에 의해 벼로부터 메탄 배출이 증가하는 기작에 대해 기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제시된 내용을 통해 돈분료거름을 처리한 논토양 내 미생물의 분자적 변이를 알 수 있었다.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발전 (Development of dental zirconia)

  • 김성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7
    • /
    • 2023
  • 1990년대 말부터 치과보철 수복에 응용된 초창기 지르코니아는 코핑 형태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보철 수복물은 기존의 다른 심미 금속 수복물의 구조물이나 프레임 역할을 하는 금속이 없어서 자연스러움이 필요한 전치부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었으나 구치부에서는 기능중에 상부 비니어링 포세린의 파절로 그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그후 여기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강한 코핑 재료를 전체 보철물의 형태로 제작하는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수복물이 제안되었다. 이것은 강한 힘에 대한 저항은 뛰어나지만 매우 희고 불투명한 지르코니아의 특성상 조금은 비심미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현재는 지르코니아의 투명도를 높이는 기술적인 진보로 구치부뿐만 아니라 전치부에서 강하면서도 심미적인 지르코니아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 재료의 구조적 특징을 알고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지르코니아 제품이 어디에 속하는지 설명한다.

치과 기공실의 조명에 관한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f illumination of dental laboratories)

  • 이효정;최종인;김성숙;동진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89-29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치과 기공실의 조명이 심미 보철을 위한 색조의 분별과 조화, 재현에 적당한지 알아보기 위한 실태 조사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8곳의 치과 기공실을 대상으로 lux meter와 color meter를 이용하여 포세린 작업대(porcelain table) 상판 중심의 조도와 색온도를 측정 하였다. 각각의 기공실을 자연광(day light)과 인공조명(artificial illumination)이 있는 오후 12시 - 2시 사이와 인공조명 만이 있는 오후 7시 - 10시 사이, 2차례 측정하였고, 맑은 날과 흐린 날로 구분하였다. 결과: 1. 전체 기공실의 평균 조도는 1871 lx이었고, 67%의 기공실이 1600 lx를 넘겨 색과 관련한 작업을 하기에 적합한 조도를 갖추었으나 33%의 기공실은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2. 전체 기공실의 평균 색온도는 6506 K로 색과 관련한 작업을 하기에 부적절하였다. 적정 색온도인 5000 - 5500 K를 만족하는 기공실은 없었다. 3. 전체 기공실의 낮과 밤의 조도(P = 0.73) 및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조도(P = 0.89)와 낮과 밤의 색온도(P = 0.17) 및 맑은 날과 흐린 날의 색온도(P = 0.51)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조사된 치과 기공실의 조명은 색과 관련한 작업을 하기에 부적절한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