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환기 기능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Technegas를 이용한 폐환기 검사와 폐기능 검사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ung Ventilation Scan using Technega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COPD)

  • 김상규;김진구;백송이;강천구;김재삼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45-49
    • /
    • 2019
  • 폐 환기 검사는 직접 방사성 기체를 흡입한 후 이를 영상화 한다. 그러나 실제 폐 환기 검사 시 활용할 수 있는 흡입과 관련한 지표는 널리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흡입과 관련한 객관적인 지표로써 폐 환기 검사 계수율과 폐 기능검사 결과 값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0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본원에서 폐 환기 검사와 폐 기능 검사를 모두 시행한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중증도(Mild, Moderate, Severe)별로 분류하였다. 폐 환기 검사는 Technegas Generator (Vita Medical Ltd, Australia)로 Technegas를 생성하여, 환자에게 흡입하게 하였다. 영상은 Forte (Philips Medical Systems, Netherlands)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폐 기능 검사는 Vmax Encore 22 (Carefusion Corporation, USA)를 사용하였다. 폐 환기 검사에서는 양측 폐에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계수율을 측정하였고, 이와 함께 폐 기능 검사의 결과 값 중 노력 폐활량(FVC), 1초 노력 호기량($FEV_1$), 일초율($FEV_1/FVC$)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폐 환기 검사 계수율과 폐 기능 검사 결과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증도별 $FEV_1/FVC$와 계수율 사이의 상관계수는 Severe에서 -0.773, Moderate에서 -0.750, Mild에서 -0.437이였다. Severe, Moderate 결과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Mild는 유의하지 않았다(P=0.155). 반면에 FVC와 계수율 사이의 상관계수는 Mild에서만 0.88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P<0.05).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폐 환기 검사 시 계수율과 폐 기능 검사 결과 값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폐 환기 검사 시 호흡력에 대한 지표로써 폐 기능 검사 결과 값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니돼지에서 정상 폐 환기/관류 신티그라피 (Normal Lung Ventilation/Perfusion Scintigraphy in Miniature Pigs)

  • 김세은;한호재;심경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725-1728
    • /
    • 2010
  • 미니돼지에서 폐 환기/관류 신티그라피를 실시한 결과 환기스캔에서는 기능적 분포는 왼쪽 폐가 44.2%, 오른쪽 폐에서는 56.2%로 나타났으며, 관류스캔에서는 왼쪽 폐가 46.87%, 오른쪽 폐가 54.97% 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람의 폐용적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방사성가스보다 짧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기계적 환기로도 스캔이 가능한 Technegas로 환기 스캔을 실시하여 미니돼지의 마취시간을 줄 일 수 있었으며 미니돼지에서 더 용이하게 폐기능을 측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폐 환기/관류 신티그라피가 미니돼지에서 정상 폐기능 및 폐질환과 관련된 실험을 할 때 폐기능을 측정하는 좋은 진단법이 될 수 있으며 미니돼지의 정상 폐기능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폐질환과 관련된 미니돼지의 실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폐용적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 평가 (Significance Evaluation of Lung Volume and Pulmonary Dysfunction)

  • 김지율;예수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67-7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폐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들과 폐기능 환기장애에 대한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으로는 저선량 흉부 CT검사와 폐활량검사를 동시에 수행한 정상 성인 남·여 206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방법으로는 저선량 흉부 CT검사로 획득한 폐 CT 영상을 이용하여 폐용적을 딥러닝 기반의 AVIEW LCS 자동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폐기능을 측정한 결과를 획득하였으며 폐용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인자로 성별 및 BMI를 선정하여 폐용적과의 독립표본 T-test를 통하여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성별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남성의 모든 폐용적이 여성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1). 그리고 BMI 지수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BMI 지수 24 이상의 성인의 모든 폐용적이 BMI 지수 24 미만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BMI 지수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BMI 지수 24 이상이 BMI 지수 24 미만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5). 폐기능 환기장애 유무에 따른 폐용적의 평가에서 폐기능 환기 정상성인의 모든 폐용적이 폐기능 환기 장애성인의 모든 폐용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기능 환기장애 유무 및 폐용적에 대한 각각의 평균값을 이용한 독립표본 T-test 결과 폐기능 환기 정상성인이 폐기능 환기 장애성인보다 모든 폐용적이 더 크다는 결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01). 폐용적과 폐활량 검사 결과는 폐 건강을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며, 이 두 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폐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평가 방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폐용적과 폐활량 검사에 대한 향후 유사 연구 시 폐기능 환기 정상 성인과 폐기능 환기 장애 성인에 대한 폐용적 평균값을 제시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방사선 치료 후 폐암환자의 운동부하 심.폐 기능의 초기변화 (Early Response of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CPET)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Radiation)

  • 신경철;이덕희;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66-473
    • /
    • 2000
  • 연구배경 : 수술로 절제하기 어려운 국소진행성 제3기 비소세포 암은 주로 방사선 치료 단독 혹은 방사선 치료와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병행하게 된다. 이 두 치료 방법은 잠재적으로 폐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폐 기능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저자들은 국소진행성 폐암환자들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 전 후 안정시 폐 기능과 운동시 심 폐 기능을 동시에 평가하여 방사선 치료가 실제 운동부하 심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수술로 절제할 수 없는 편평상피세포암을 가진 남자 11명에 대하여 방사선 치료 전과 치료 후 4주에 각각 흉부 X-선 검사 및 안정시 폐 기능 검사 그리고 운동부하 심 폐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운동부하 심 폐 기능 검사로 운동능력과 심 혈관계기능, 환기기능, 그리고 가스교환기능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방사선 치료는 일일 1.8Gy로 일 주일에 5회 시행하여, 8주 동안 70Gy를 시행하였다. 결과 : 저자들의 연구로 방사선 치료 전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대산소섭취량($VO_2$max), 이산화탄소생성량($VCO_2$), 운동지속시간 그리고 운동수행능력의 차이는 없었다. 2) 산소맥($O_2$ pulse) 및 심박동수, 그리고 예비심박동수(heart rate reserve)의 변화도 없었다. 3) 최대분당환기량(VEmax) 및 상시호흡량 그리고 예비호흡의 변화도 없었다. 4) 운동부하 심 폐 기능 검사 중 대부분의 환자는 호흡곤란과 다리근육의 피로로 더 이상 운동을 할 수 없었다. 5) 안정시 폐 기능 검사 결과 노력성 폐활량(FVC) 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1$)의 변화는 없었으나 폐확산능(DLCO)은 치료 전 후 각각 85%, 74%로 약 11%의 감소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다. 결론 : 방사선 치료 후 4주에 평가한 국소진행성 폐암환자의 운동부하 심 폐 기능 검사 결과 치료 전에 비하여 운동능력 및 심 혈관계기능, 환기기능, 그리고 폐포의 가스교환기능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폐암환자는 방사선 치료 후 운동부하 심 폐 기능의 저하는 단기간 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Sleep-Related Respiratory Disturbances)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55-64
    • /
    • 1995
  •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 PDF

40세 이상 성인의 구강건강상태와 폐 환기장애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in adults 40 years or older)

  • 박정순;김인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7-35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Methods: The 6th (2013-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as used. The study subjects were those aged 40-79 who had pulmonary function examination.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Complex sample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In terms of restrictive ventilatory defects, the study subjects (8.3%) who recognized that their oral health status was bad outnumbered those who recognized that their oral health status was good (6.1%) (p<0.05). Many of the study subjects who experienced difficulty in biting, chewing and/or speech, and who had an unhealthy periodontal had restrictive ventilatory defects and obstructive ventilatory defects (p<0.05).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was analyz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ose who had unhealthy periodontal had a 1.33 times higher probability of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than those who had a healthy periodontal (p<0.05). After taking into account general characteristics (age, sex, incomes, education, and smoking) of the subjects,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was analyzed. The result found that only in cases where one experienced dental caries was an association with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found. In other words, those who had dental caries showed a 0.73 times higher probability of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than those who had no dental caries (p<0.05).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oral health status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ulmonary ventilatory defects. To improve oral heal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life-cycle stages based oral health educ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develop a national oral health policy.

전통적 인공호흡과 고빈도환기시 폐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비교 관찰 (The Comparison of Histopathology of Cats Received Conventional Mechanical Ventilation and High Frequency Oscillation Ventilation)

  • 이관호;김영조;정재천;이현우;남혜주;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39-46
    • /
    • 1989
  • 고빈도환기법시에 생길 수 있는 기관 및 기관지의 손상의 정도를 알아 보고자 저자들은 13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CMV와 HFOV을 각각 6시간동안 사용후 폐의 조직 병리소견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MV와 HFOV 사용군에서 기관 및 기관지 손상의 정도의 차이에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상피 세포내 점액의 소실은 CMV군에서 다소 더 심하였다. 3) 폐실질병변으로 폐기종은 CMV군에서 더 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건강한 고양이에서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에 사용한 CMV와 HFOV군에서 기관 및 손상의 차이는 저명하지 않았으나, CMV군에서 다소 더 세포기능의 장애가 초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폐압손상도 더 받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결핵후 폐손상에서 한국어판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를 이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 평가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with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in Post-tuberculous Destroyed Lung)

  • 이병훈;김영삼;이기덕;이재형;김상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3호
    • /
    • pp.183-190
    • /
    • 2008
  • 연구배경: 결핵후 폐손상 환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폐기능 장애는 이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결핵후 폐손상 환자에서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 나아가 만성 호흡기 질환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세인트조지 호흡기설문(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의 한국어판이 결핵후 폐손상 환자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폐결핵의 치료가 종결된 지 6개월 이상 경과하였으며 흉부 단순 촬영상 한 측 폐 1/2 이상의 손상이 관찰되는 결핵후 폐손상 환자에서 SGRQ를 시행하고 폐활량검사,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 HRCT의 결과와 비교하여 연관성을 살펴보고 SGRQ의 결핵후 폐손상의 평가에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다. 결 과: 폐기능검사에서 혼합형 환기장애와 폐쇄성 환기장애는 각각 10명(45.0%), 9명(40.9%)에서 관찰되었다.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에서 평균 $VO_2max%$ predicted는 $39.0{\pm}10.9%$ 평균 $O_2$ pulse% predicted는 $61.3{\pm}13.6%$로 감소되어 있었다. 한국어판 SGRQ는 영향영역점수가 평균 $27.8{\pm}18.5$로 증상영역 평균 $53.9{\pm}20.9$ 활동영역 평균 $50.8{\pm}27.3$에 비하여 점수가 낮았다(p<0.05, p<0.01). Cronbach's alpha coefficient는 각각의 영역과 총 점수에서 모두 0.7 이상이었다. 총 점수는 $FEV_1%$ predicted(r=-0.46, p<0.05), 동맥혈산소포화도(r=-0.60, p<0.05), HRCT 비손상 기관지폐구역수(r=-0.52, p<0.05) 등과 관련이 있었다. 결 론: 결핵후 폐손상환자 대부분에서 폐쇄성 환기장애가 동반되었다. 한국어판 SGRQ는 결핵후 폐손상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Incentive Spirometer를 사용한 심호흡 방법이 폐환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상복부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which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 In Upper Abdominal Operation Patients -)

  • 김종혜;변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8-280
    • /
    • 1991
  •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the pulmonary complication and of the function lowering of pulmonary ventilation which emerge with high generation frequency during the nursing of operation patient i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qualitative nursing for operation patient. So, this researcher tried this study so as to obtain the data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by grasping the effect that the deep breathing with Incentive Spirometer has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nalysing the factor to have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nd applying the effective method of deep breathing to the clinic. By making 42 patients who underwent the operation of upper abdomen after admitting G Hospital in Seoul from Mar. 7, 1991 to Apr.30, 1991 as the object, they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was made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nter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exercise was made without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And then, by measuring Tidal Volume and Forced Vital Capacity with Respirometer and $O_2$ Saturation with Pulse Oximeter at preoperation postoperation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data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x$^2$-test, t-test and ANOVA by SP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As for the hypothesis tha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at postoperation 24 hours, 72 hours and 120 hours will be better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the deep breathing was made with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in comparison with the comparison group that deep breathing was made without the use of Incentive Spirometer,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dal Volume, Foreced Vital Capacity and $O_2$ Saturation at postoperation 24 hours and 72 hours. But experi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idal Volume at postoperation 120 hours (p<0.01). So,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partially. 2. The variables tha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experiment group at postoperation 24 hours stastically were smoking existence (p<0.05), and the variables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bout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were distinction of sex, age, anesthetic duration, smoking extent, body weight, surface area of body, existence of narcotic use, regular exercise existence, and past experience existence of respiratory disease. As above result, it appeared that the method of deep breathing with the use of the Incentive Spirometer is more effective for the function recovery of pulmonary ventilation, in comparison with the deep breathing without use of Incentive Spirometer and that smoking existence was the factor to have influence on the function of pulmonary ventilation. In the aspect of clinic, the trial of nursing intervention of deep breathing with use of Incentive Spirometer is expected. And, in the aspect of study, the study through various operative site patients about the effect of Incentive Spirometer use at the clinic will have to be confir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