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색전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6초

산전 초음파로 발견된 수신증의 치료 방침 (Guideline in the Manage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Unilateral Hydronephrosis)

  • 한혜원;전누리;김건석;문대혁;윤종현;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60-66
    • /
    • 2003
  • 목적 : 신생아 수신증은 산전 초음파 시행의 증가와 함께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나 그 자연 경과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산후의 치료, 특히 수술적 중재에 대한 합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미리 정해진 원안에 따라 추적 관찰 중인 환아들의 경과 관찰을 통해 수술 가능성을 시사하는 조기 검사 결과와 술후 신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여 수신증의 치료 지침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4년 4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산전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이 발견되어 출생 1개월이내 시행한 신초음파 검사에서 진단이 확인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측성 수신증을 가진 환아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광요관역류를 포함한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환아들은 제외하였다. 128명의 환아의 128 신단위(renal unit)가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 중 12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된 90 신단위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신단위는 생후 3일 이후부터 1개월 이내에 시행한 신초음파 검사의 신우 전후경에 따라 6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경과 추적 관찰 및 수술적 중재는 미리 정해진 원안(set protocol)에 따라 시행하였다. $^{99m}Tc-MAG3$과 신장 초음파 검사를 3, 6, 12개월에 시행하였고 신초음파 검사에서 신우 전후경과 Society for Fetal Urology grade를 측정하였다. 결과 : 초기 APPD가 10 mm 미만인 관에서는 수술을 받은 예가 없었으며 대부분 완해 혹은 호전의 경과를 보였다. APPD 25 mm 이상군에서는 대부분 수술을 받았으며, 초기 APPD가 10-19 mm인 군에서는 12개월에 완해부터 수술까지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초기 APPD가 10-19 mm인 군에서 pyeloplasty를 시행받은 환아들의 초기 검사소견을 수술을 받지 않은 환아들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을 받게 된 환아들에서는 초기의 SFU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기능곡선의 모양이 폐색의 형태가 주로 보였다. 술후의 신기능을 추적하였을 때, 신기능이 저하된 군에서는 기능이 회복된 군과 비교하여 술전 신기능이 감소하여 있었고, 수술 당시 연령이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 초기 신초음파 검사에서 신우 전후경이 10 mm 미만인 경우는 대부분 자연 소실되므로 경과 관찰만 하면 되고, 20 mm 이상인 경우는 대부분 수술이 필요하며, 10-19 mm인 환아들에서 SFU 지수가 높거나 MAG3 스캔에서 폐색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을 경우, 신기능의 저하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조기 수술이 신장 기능 보존을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술 적응증을 상대 신기능 40% 이하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

분산형 빗물 저류조용 모래 여과층을 적용한 도심지 비점오염원의 TSS와 COD 정화효율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iltration Efficiency of Sand Filter Layers to TSS and COD in Non-point Source Pollutant)

  • 안재윤;이동섭;한신인;최항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77-1488
    • /
    • 2014
  • 도심지 불투수성 포장의 증가로 지하수위 저하, 생활용수 부족 등의 물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문제가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빗물 저류조가 설치되어지고 있다. 빗물 저류조는 지반 저류층에 강우 유출수를 저장하여 향후 갈수기에 이용할 수 있어 도심지의 원활한 물순환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도심지의 초기 강우는 다량의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초기 강우를 빗물 저류조에 저류하기 전에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강우의 오염물질 정화를 위해 경제성과 비점오염물질 제거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토양여과기술을 적용한 빗물 저류조의 전처리시설인 모래 여과층에 대한 정화효율 및 적용성을 실내 시험과 현장 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내 시험은 $20cm{\times}30cm{\times}60cm$의 규격으로 제작된 챔버에 3종류의 각기 다른 모래 여과층을 조성한 후 인공 강우를 유입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유출된 오염수의 TSS (총 부유물질)와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를 측정하여 모래 여과층의 정화효율을 평가하였다. 또한 폐색 현상으로 인한 모래 여과층의 투수계수 변화를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실내 시험을 통하여 비점오염물질 정화에 적합한 여과층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현장 빗물 저류조에 시험 시공하여 선정된 여과층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Baculovirus 벡터내 재구성된 유전자의 전이와 발현 (Transfection and Expression of Reconstructed Genes within Baculoviral Vectors)

  • 사영희;최창식;이기환;홍성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8-591
    • /
    • 2018
  • Baculovirus는 원래 알팔파 루퍼 (looper)로부터 분리되었으며 154 개의 오픈 리딩 프레임 (ORF)을 가진 134-kbp 게놈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캡시드 단백질 VP39는 약간의 단백질과 함께 p6.9 단백질로 DNA를 감싸는 뉴클레오 캡시드($21nm{\times}260nm$)로 형성된다. 그것들은 막대 모양의 캡시드 안에 이중 가닥의 고리 모양의 슈퍼 코일 DNA 분자이다. 야생형 baculovirus는 용균 및 폐색 된 생명주기를 모두 나타내며 바이러스 복제의 3 단계에 걸쳐 독립적으로 발달한다. 재조합 baculovirus는 광범위한 포유류 세포 유형에서 벡터를 전달하고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 할 수 있다. 특히, 이들 baculovirus 벡터에 우세한 선별 마커를 포함시킴으로써 많은 세포에서 다양한 재조합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배큘로 바이러스 벡터는 cytomegalovirus (CMV) 프로모터, uroplakin II promoter, polyhedron promoter, 수포 구내염 바이러스 G (VSVG), 녹색 형광 단백질 (EGFP), 단백질 전달 도메인 (PTD) 유전자 등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재구성 된 벡터를 다양한 세포 및 세포주에 감염시켰다. 우리는 다른 재조합 벡터와 비교하여 이러한 재조합 벡터의 전이 및 발현을 조사하는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이 재조합 벡터의 형질 감염 및 발현이 어떤 대조군 벡터보다 더 높은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본 연구는 과학 기술부, 한국 정보 기술 진흥 기금 (MSIP)이 후원하는 한국 연구 재단 (NRF)을 통해 중견 연구원 프로그램 (NRF-2016R1A2B4016552)을 통해 지원되었다.

  • PDF

치명적인 Amiodarone 폐독성 4예 (Four Fatal Cases of Amiodarone-Induced Pulmonary Toxicity)

  • 이승우;이상학;여동승;이숙영;김석찬;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정은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6호
    • /
    • pp.662-672
    • /
    • 2002
  • Amiodarone 폐독성은 약제 복용력이 있는 환자에서 새로운 증상과 X-선의 변화가 있을 때 의심하여야 하며 울혈성 심부전이나 폐감염증, 폐색전증, 악성종양 등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내릴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약제 중단을 통해서 폐독성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일부에서는 호흡부전으로 진행하거나 기존의 심부정맥의 재발 등으로 인하여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저자들은 심부정맥으로 amiodarone을 사용하던 환자에서 치명적인 폐독성이 발생한 4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암거의 유송잡물 저감시설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bris Reduction System for Culvert)

  • 김성중;강준구;김종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96-706
    • /
    • 2017
  • 본 연구는 소하천에 설치된 암거를 대상으로 유송잡물 집적 빙지를 위한 저감시설에 대한 실험검증 연구이다. 암거는 도심지 내부나 도심을 통과하는 도로와 철도 아래에 인공수로를 만들기 위해 매설하는 구조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도로암거와 수로암거로 구분된다. 이중 수로암거는 유수를 하천으로 배출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조성되는 구조물로 홍수시 토사 또는 나뭇가지나 잡풀과 같은 유송잡물의 집적으로 인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단면폐색으로 인한 월류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유송잡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송잡물 저감시설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해 기존 재시된 3가지 유송잡물 저감시설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유송잡물을 우회시키는 방식인 수직분리대를 설치할 경우 설치전에 비해 집적률은 27.65% ~ 31.39%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유송잡물 차단이 목적인 스크린과 우회스크린은 유송잡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높은 차단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수위상승에 대한 영향을 복합적으로 검토하였을때 우회스크린방식이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크린빙식은 차단 효과는 좋으나 집적으로 인한 수위상승 위험성이 높아 지속적인 유송잡물의 회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육하는 황새에서 담즙정체를 동반한 사낭경색 (Gizzard Impaction with Bile Stasis in Captive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 한재익;손형원;모인필;장동우;김수경;박시룡;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9-662
    • /
    • 2009
  • 한국교원대학교 황새복원센터에서는 한국내 야생 황새 복원을 위해 인공적인 황새 사육을 진행중이다. 세 마리의 황새가 식욕부진과 침울을 보여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진료 의뢰되었다. 두 마리는 내원 전 사망하였으며, 한 마리는 내원 후 수액요법을 실시하였으나 1일 후 사망하였다. 부검시 salmon-color의 피하 및 내장지방이 전체 황새에서 관찰되었다. 간 표면의 다발성 국소 괴사병소도 확인되었다. 근육위 내강에는 많은 양의 풀과 자갈이 뭉쳐져 큰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유문부는 이것에 의해 폐색되어 있었다. 수액요법을 받은 황새의 소장 분절은 유착되어 있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염증을 동반하지 않은 괴사병변이 전체 황새의 간, 근육위, 장에서 관찰되었다. 간에서는 담즙정체도 관찰되었다. 이 검사 결과들에 기초하여 황새들은 이식증에 의한 사낭 경색증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다양한 지반에서의 EPB TBM 첨가제 사용 및 문제 해결 사례 연구 (Case study on soil conditioning for EPB tunneling and troubleshooting in various grounds)

  • 강한별;강성욱;정재훈;이재원;신영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65-85
    • /
    • 2023
  • 기존 재래식 굴착 대비 안전성과 친환경의 이점으로 TBM (Tunnel Boring Machine)의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EPB (Earth Pressure Balanced) TBM의 경우 Open TBM 대비 다양한 지반에 적용이 가능하고 Slurry TBM에 비해 지상부지가 적게 필요하고 장비의 구조가 간단하며 가격면에서도 이점이 있어 더욱 널리 사용되고 있다. EPB TBM은 주로 토사지반에 널리 사용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첨가제의 사용이다. 첨가제를 사용해 버력을 소성유동화 시키는 것은 EPB TBM의 굴착성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첨가제의 적절한 배합비와 주입비율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는 주로 slump test 등 대기압 상태에서의 실내시험에 국한되어 있어 실제 현장에서의 상황은 지반별, 장비 상태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경암부터 토사까지 다양한 지반을 가진 현장의 첨가제 사용량을 실내실험을 통해 추정하여 설계치 및 실제 굴진 시 사용량과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폐색, 지하수 유입 등 굴진 중 발생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첨가제 사용을 통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굴진이 어려운 복합지반에서의 첨가제 사용에 대한 제언을 수록하였다.

원발성 폐암에서의 시험적 개흉술의 분석 (Analysis of Exploratory Thoracotom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허재학;성숙환;김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36-542
    • /
    • 1999
  • 배경: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방법 중에서 아직까지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술적 완전 절제술이지만, 그 때문에 불필요한 시험적 개흉술을 시행받는 환자도 해마다 상당한 수에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시행된 개흉술에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였던 원인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개흉술을 줄이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개흉술을 시행받은 616명의 환자중에서 시험적 개흉술을 시행받은 59명(9.6%)을 대상으로 하여 그 임상기록을 관찰하여 기관지 내시경 소견, 조직 진단 방법,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 페기능 검사 및 폐관류 스캔, 절제가 불가능했던 원인, 수술후 보조요법 여부 등을 분석하였고, 수술후 생존기간을 추적하였다. 결과: 폐암종의 세포 유형은 편평세포암종 38명, 선암종 15명, 대세포암종 3명, 기타 3명이었고 원발부위는 우상엽 20명, 우중엽 6명, 우하엽 8명, 좌상엽 13명, 좌하엽 4명, 기타 8명이었다. 절제가 불가능했던 원인으로는 종격동내 인근조직이나 기관으로의 암세포 침윤이 4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흉강내 암세포 파종 8명, 광범위한 흉벽 침윤 3명, 피막을 포함한 림프절 암전이 2명, 기타 5명 등이었다.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58명에서 시험적 개흉술후 생존율은 12개월 생존율이 55.2%, 24 개월 생존율이 17.2% 이었고, 평균 생존기간은 14개월이었다. 폐암종의 세포유형이나 수술후 보조치료 요법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세포유형에 따른 특성은 편평세포암종의 경우 기관지 폐색과 무기폐를 잘 동반하였으며 종격동내 구조물로의 암세포 침윤이 시험적 개흉술을 시행한 주된 이유였다. 선암종에서는 흉강내 암세포 파종이 편평세포암종에서보다 의미있게 많았다. 결론: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시험적 개흉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일부는 시험적 개흉술을 피하거나 수술적 절제를 할수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선암종으로 흉막 삼출액, 흉막내 암세포 파종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개흉술전 흉강경술을 도입하고, 편평세포암종의 종격동 침윤이 의심되는 환자에서는 MRI, 개흉술전 흉강경술의 도입등으로 수술전에 수술적 절제 가능성을 면밀히 판단하고 일단 개흉시에는 보다 적극적인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는 것이 비소세포성 폐암의 시험적 개흉술을 줄이는데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체외순환시 혈액학적 상황에 대한 고용량 Transamine의 유익한 효과 (Beneficial Effects of High-Dose Transamine on Hematologic Aspects in Cardiopulmonary Bypass)

  • 김병훈;최석철;최국렬;최강주;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64-972
    • /
    • 1998
  • 연구배경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외순환전 투여한 고용량 transamine이 술후 출혈 및 수혈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혈액학적 상황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를 자체적으로 조사함에 있다. 재료 및 방법 : 본 연구는 무작위로 선택한 40명의 성인 개심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대상환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Transmine 군(T-군, n=20)은 체외순환전 및 동안 고용량(10 g) transamine을 투여한 환자군 이고 Placebo 군(P-군, n=20)은 일정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환자군이다. 결과 : \circled1 체외순환 동안 섬유소원의 농도 및 혈소판수는 P-군이 T-군 보다 의미있게 낮았다 (p<0.01). \circled2 체외순환 동안 D-dimer는 P-군의 경우 20명 중 18명에서 검출되었으나 T-군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아 양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01). \circled3 체외순환 종료시 기준치에 대한 섬유소원의 농도 및 혈소판수의 백분률이 T-군에서는 70.2$\pm$3.9%, 72.4$\pm$4.5%인데 비해 P-군에서는 54.5$\pm$4.0%, 64.3$\pm$2.9%로서 T-군이 P-군 보다 의미있게 더 높았다( p<0.01). \circled4 술후 PT 및 aPTT의 실측치가 T-군에서는 14.0$\pm$0.0초 및 27.6$\pm$0.1초였고 P-군에서는 16.4$\pm$0.0, 30.1$\pm$0.1초로서 T-군이 P-군보다 의미있게 더 낮았다( p<0.05). \circled5 시간대별 술후 출혈량과 술후 전혈 혹은 혈액제재의 튜여량 모두 T-군이 P-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p<0.01). \circled6 양군 모두에서 뇌색전증, 심근경색, 폐색전증등과 같은 과응고 반응에 기인하는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술전 고용량 transamine 투여는 체외순환 동안 섬유소 용해계의 활성을 억제해 주고 혈액제제 투여량을 감소시켜 주었으며 고용량투여에 의한 합병증도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transamin은 술후 출혈을 줄이기 위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치료로서 내막제거술의 임상적 결과: 색전증 분류에 따른 접근 (Clinical Results alter Pulmonary Endarterectomy as a Curative Surgical Method in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an Approach to Operative Classification of Thromboembolic Disease)

  • 임주영;이재원;김정원;정성호;제형곤;송현;정철현;주석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91-597
    • /
    • 2008
  • 배경: 만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폐동맥고혈압은 내막제거술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으로서 본원에서의 수술 경험을 분석하여 질환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토대로 향후 수술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에서 만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폐동맥 고혈압으로 내막제거술을 받은 2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증상은 주로 호흡곤란이었고 페동맥 색전증의 원인으로는 심부혈전증 11명(55%)이 가장 많았다. 17명(85%)의 환자에서 하대정맥 필터를 삽입하였다. 수술은 완전 순환 정지하(n=13) 또는 low flow (n=7)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행하였고 수술 전 삼첨판 폐쇄부전이 grade IV/IV 이상인 환자들 중 6명(66%)에서 삼첨판륜 성형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5{\pm}32$개월이었다. 결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분류에 따른 폐동맥 색전증의 종류는 type I이 4명 (20%), type II, III가 각각 8명(40%)씩이었고 우심실 수축기압은 수술 전 평균 $77{\pm}29$ mmHg에서 수술 직후 $37{\pm}19$ mmHg로 감소하였으며(p<0.001) 삼첨판 폐쇄부전의 정도 및 NYHA functional class 모두 수술 후 호전을 보였다. 재관류 손상은 7예(35%)로 UCSD type I, II인 환자군에 비해 type III인 환자에서 재관류 손상의 발생률이 더 높았고(25% vs 50%, p=0.25) 중환자실 재원기간도 길었다($5{\pm}2$일 vs $9{\pm}7$일, p=0.07). 조기사망은 2명(10%)이었고 만기사망은 기저질환의 악화 1명, 폐동맥 색전증의 재발 1명, 그리고 지속된 폐동맥 고혈압 1명, 모두 3명(15%)이었다. 결론: 내막제거술은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효과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수술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