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기물자동집하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신규 공공주택단지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이용에 관한 거주자 평가 분석 (Resident's Assessment of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in New Public Housing Estat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55-161
    • /
    • 2016
  • 본 연구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규 공공주택단지에 건설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이용하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 평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6개 도시 소재 분양 및 임대 아파트 단지 11곳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주자들 대부분은 현주택단지에 이사 오기 전까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경험이 없었으며, 대부분 이사 직후 관리사무소 직원을 통해 사용법을 습득하였다. 다만, 분양아파트 거주자들에 비해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의 이용법 교습시점이 3배 이상 늦어졌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분양아파트 거주자보다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에게서 더 높았고, 세부적인 항목에서도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부정적으로 평가된 항목은 거의 없었으나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이 강화된 시설로 거듭나는 요구가 있었다. 분양 및 임대아파트 거주자들 대부분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쾌적한 주거환경 구축하므로 확대 보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신도시 아파트단지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운용 및 관리실태 (Management of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s in Suburban Apartment Complex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6-62
    • /
    • 2016
  • 본 연구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규 공공 아파트단지에 건설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운영자와 거주자 평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 소재 10개 지구의 시설 운영 관리 담당 실무자와 이들 지구의 11곳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경제적 편익이 큰 시스템으로, 효율적인 시설 운영을 위해 전문성 강화, 설계 및 성능 개선, 인력 증원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사항은 시설에서 접수된 민원, 그리고 투입시설 및 관로시설의 수리 이력과 빈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한편, 거주자들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사용 평가에 대해서는 사용자 친화적 요소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거주자들은 투입시설을 주로 이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개선사항들은 투입구의 안전성, 위생적 관리, 고장 발생 시 신속한 수리, 악취제거, 쓰레기 분리 등이 있었으며, 올바른 시설 이용을 위한 거주자 대상의 교육을 지적하였다. 실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운영 관리가 사용자의 부주의와 실수에 의한 고장이 빈번하여 제기되는 민원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시설 운영 관리의 전문성 강화 뿐만 아니라 거주자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Pneumatic Waste Collection Plants)

  • 윤용경;김대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41-5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악취물질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2개소(A시설, B시설)의 시설을 선정하여 공기관로 내의 이송가스와 최종배출가스를 대상으로 복합악취와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을 조사하였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서 배출되는 주된 악취물질은 암모니아, 황 화합물, 아세트알데하이드이었으며, 악취처리공정의 종류에 따라 최종배출구의 악취 배출특성이 상이하였다. 이송가스를 대상으로 한 악취기여도 평가에서는 A시설의 경우, 디메틸설파이드 26%, 아세트알데하이드 18%, 메틸머캅탄 14%의 악취기여도를 보였으며, B시설의 경우에는 메틸머캅탄 56%, 황화수소와 디메틸설파이드가 각각 15%이었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관로망 최적 설계 (Optimal Piping Network Design of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 성순경;서상호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54-58
    • /
    • 2010
  • The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which is a complete solution for solving the waste collection problems, are constructed in man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owever, research data for piping network design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the pressure losses of the straight and curved pipes, pipe junctions are obtained using the numerical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al pipe network design for the waste collection system. As an experimental result, the length of 1.8 meter is the reasonable for the radius of curvature of a curved pipe and the angle of 30 degree is suitable for confluent pipe.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관로망 최적설계 (Optimal Piping Network Design of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 박준길;서상호;조민태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2794-2797
    • /
    • 2008
  • The pneumatic waste collection system, which is a complete solution for solving the waste collection problems, are constructed in many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owever, research data for piping network design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the pressure losses of the straight and curved pipes, pipe junctions are obtained using the numerical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al pipe network design for the waste collection system.

  • PDF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한 폐기물 제로 청정도시 구상 (Realization of Zero Waste Clean City to Low Carbon Green Growth)

  • 오정익;안수정;김종엽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40
    • /
    • 2010
  • 도심 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와 일반 가연성쓰레기인 생활폐기물을 수거 및 집하한 후에 바이오매스로 활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에너지는 주거 및 상업단지 등에 공급하는 폐기물 제로 청정도시를 구상하였다. 바이오매스 순환거점으로는 바이오에너지화 시스템을 연계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설정하였다. 바이오에너지화 시스템은 바이오가스화, 연료화, 에너지순환공정으로 구성하였다. 음식물쓰레기는 처리하면서 바이오가스화하고, 일반 가연성 쓰레기는 열분해/건조하여 연료화하며, 발생되는 바이오가스와 연료는 에너지 순환공정에서 발전기,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게 하였다. 또한, 가상의 사업 대상지구에서 음식물쓰레기 35 톤/일, 일반 가연성 쓰레기 20 톤/일로 생활폐기물 총 55 톤/일에 대한 처리 및 처분에 있어서 기존도시와 폐기물 제로 청정도시에서의 탄소저감 및 건설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폐기물제로청정도시에서는 기존 도시 대비 연간 탄소배출량이 약 2.7배 저감 가능하고, 폐기물 관련 환경기초시설의 건설비도 기존도시에 비교하여 약 15%절감이 예측되었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용 다단직렬연결 원심블로어 운전특성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Serially Connected Centrifugal Blowers Used for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 장춘만;이종성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0-46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blow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Blowers serially connected to six or seven centrifugal blowers are evaluated by experimental measurements to understand blower performances according to blower numbers operated. Two different blowers and duct diameters connected to the main blowers are considered. Data acquisition system is introduced to measure pressure and pressure difference at the main duct simultaneously, which is connected to several blowers serially. A auxiliary blow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filter room and an air deodorizing apparatus, is also added to simulate its performance effect on the main blow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of the blower system, it is found that pressure and inlet velocity at the upstream of a blower increase 3.7 and 2.4 times separately by increasing the operating blower numbers from one to seven. It is noted that blower efficiency and pressure measured at the system var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a air intake and a blower system. Auxiliary blower is effective to increase blower inlet suction pressure, while total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relatively.

특집 - 송도 4공구 1.2 단지 쓰레기관로 수송 설비공사

  • 우양기건(주)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5호
    • /
    • pp.57-65
    • /
    • 2010
  • 송도 신도시는 도시 전체를 '친환경 개발'로 기획함에 따라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및 편의성 제공을 위해 쓰레기관로수송 설비가 도입되었다. 쓰레기관로수송 설비는 투입구에 버려진 쓰레기를 중앙 집중제어 시스템에 의해, 아파트 입상 지하횡주관을 통해 중앙집하장으로 운반, 컨테이너에 자동적재 후 최종처리 됨으로써 위생적이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하는 친환경적 설비 시스템이다. 쓰레기관로수송 설비는 과천시와 광명시도 의무화하여 시행중에 있으며, 송도 신도시 등의 성공적인 시공에 힘입어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파주시 등의 지방자치단체 및 구청에서도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방법의 개선을 위해 설치 의무화에 관한 행정 조례를 제정 추진 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