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행평판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9초

평행평판형이온함을 이용한 전자선 흡수선량결정에 대한 연구

  • 라정은;서태석;신동오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년도 제29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49-152
    • /
    • 2004
  • 물 흡수선량 표준에 토대를 두고 있는 프로토콜에서는 저에너지 전자선의 경우 평행평판형이온함의 사용과 기준 선질 $^{60}$CO 감마선의 물 흡수선량 교정정수를 받은 원통형이온함을 사용하여 고에너지 전자선에서 평행평판형이온함을 교차교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의 프로토콜(IAEA TRS-398)에서 권고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저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원통형이온함의 선질보정정수를 계산하고, 원통형이온함과 평행평판형이온함의 교정방법에 따른 흡수선량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자선에너지 10 MeV 이상에서는 두 이온함간의 선량이 잘 일치하였으나 전자선에너지 6, 9 MeV에서 최대 3.3%까지 선량 차이를 보여 저에너지 전자선에서는 반드시 평형판판형이온함의 사용하여 선량측정 할 것을 권고한다. 교정방법 차이에 의한 평행평판형이온함의 선량은 서로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표준기관에서 직접 교정받은 $^{60}$Co 감마선의 물 흡수선량교정정수를 사용하여 전자선 물 흡수선량을 결정해도 큰 영향은 없을 듯하다. 또한 평행평판형이온함을 교차 교정하기 위한 전자선 에너지에 따른 흡수선량을 상호 비교한 결과 20MeV이외 12, 16 MeV의 전자선 에너지에서도 잘 일치하여 교차교정을 위한 전자선의 기준 선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평행평판 도파관에서 너비 방향으로 발생하는 고차 모드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Higher Order Modes in Widthwise in Parallel Plate Waveguide)

  • 조규영;조현동;박위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731-739
    • /
    • 2012
  • 일반적으로 평행평판 도파관에서 발생하는 가장 낮은 고차 모드는 $TE_1$ 모드와 $TM_1$ 모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행평판 도파관에서 이보다 더 낮은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TE 모드에 대해 고찰한다. 평행평판 도파관의 열려 있는 양 옆을 완전 자성 도체(PMC)로 가정하여 TE 모드의 전자계 분포를 유도하였고, 이 모드의 존재를 평행평판 도파관 공동기를 제작하여 실험함으로써 실증하였다. 열려 있는 양 옆의 경계가 완전한 자성 도체가 아니므로 인해 나타나는 특성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수직 평행 평판에서 상호작용 유동이 대류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teractive Flow on Convective Heat Transfer from Two Vertical Parallel Plates)

  • 김상영;이재신;양성환;권순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992-1000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수직 평행 평판의 혼합대류 열전달에 대하여 평판간격 과 평판온도를 변수로 하여 수치해석과 실험을 행하였다.

Metamaterial 기판에 의한 평행평판 공진 및 임피던스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Resonance and Impedance of Parallel Plates due to the Embedded Metamaterial Substrate)

  • 강승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8호
    • /
    • pp.41-4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금속 평행평판에 일반 유전체 기판인 FR4 대신 Metamaterial을 삽입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전자기 공진 특성과 임피던스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판을 DPS는 물론 Metamateral인 ENG, MNG, DNG 형으로 나눠, 투자율 함수를 위해 SRR 형식의 Lorentz 모델과, 유전율 함수를 위해 금속선 주기 배열 형식의 Drude 모델을 정확한 계산이 가능한 Full-wave 모드해석기법에 반영하여 평행평판이 가지는 공진모드들과 임피던스의 변화양상을 관측하였다. 관측을 통해 전자장비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평행평판의 불요공진모드 억제를 위한 기판설계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수 있었다.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두 전극간의 거리에 따른 극성효과 연구 (A Study of Polarity Effect of Parallel Plate Type ionization Chamber with Different Volume)

  • 윤형근;신교철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69-73
    • /
    • 2002
  • 본 연구는 제작된 평행평판형 검출기에서 두 전극간의 거리에 따른 극성효과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개발된 전리함의 극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윗면과 아래 면의 전극에 극성을 바꾸어가며 방사선을 조사하고 그에 의하여 생성된 전하를 측정하여 두 양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두 전극간의 거리가 3, 6, 10 mm 일 때 각각의 명목상 체적이 0.9, 1.9, 3.1 cc인 평행평판형 전리함에 대하여 실행하였다. 조사된 방사선은 6, 10 MV 광자선과 4, 6, 9, 12, 16 MeV의 전자선이며, SSD는 100 cm 이었고, 조사면 크기는 광자선의 경우는 10$\times$10 ㎤ 이고 전자선의 경우는 10$\times$10 $\textrm{cm}^2$을 사용하였으며, 측정점은 최대선량점이고, 선량률은 240 MU/min 으로 하였다.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극성의 변환은 평행평판형 전리함의 윗면 즉, 방사선이 입사되는 면의 전극이 (+)극을 갖고 아래 면이 (-)극을 갖는 positive와 방사선이 입사되는 면의 전극이 (-)극을 갖고 아래 면이 (+)극을 갖게 되는 negative 측정으로 시행하였다. 실험결과는 광자선의 경우는 0.5 % 이내의 극성효과를 나타냈고, 전자선의 경우는 1% 에서 3.5% 까지 나타났으며, 높은 에너지를 갖는 16 MeV 전자선의 경우가 다른 에너지의 전자선의 경우 보다 극성효과의 영향이 적음을 알 수 있다.

  • PDF

수직 평행평판에서의 혼합대류 열전달 (Combined Convective Heat Transfer from Vertical Parallel Plates)

  • 양성환;권순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99-306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밀집형 열교환기에 사용되고 있는 루우버 핀에 해당되는 간단한 형상인 등온, 수직, 평행평판에서의 혼합대류 열전달에 관하여 Pr=0.7, Gr=$10^{4}$ 및 50<Re$_{L}$<500인 경유 평판간격과 평판길이를 변수로 하여 유한차분법으로 수치해석하였다. 속도분포, 온도분포 및 Nusselt수를 구하여 평판의 간격과 길이가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패치폭과 그라운드면이 같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Microstrip Antenna of the patch width and ground plane width equal width)

  • 고영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30-53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2GHz의 패치폭과 그라운드면의 폭이 같은 QMSA의 구조를 설계 및 제작하였고, QMSA의 구조를 변형하여 용량을 장하한 QMSA와 기생소자를 갖는 QMSA를 제안하였다. QMSA의 구조는 한 쪽 끝이 전기적으로 단락된 λ/4의 구조로 설계하였으며, 용량을 갖는 QMSA는 상측 평행 평판과 하측 평행 평판 사이의 용량을 구성시킴으로써 리턴로스와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기생소자를 갖는 QMSA의 구조는 상측 평행 평판위에 기생소자를 가변함으로써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었다. QMSA는 2GHz의 중심주파수를 갖고 2%의 대역폭을 갖으며, 용량의 변화와 기생소자의 길이에 따라 공진주파수의 변화를 보였다.

  • PDF

평행평판 도파관의 윗면에 위치한 좁은 슬릿과 넓은 슬릿을 통한 도체 스트립에로의 전자기적 결합 (Electromagnetic coupling to nearby conducting strip through narrow and wide slits in parallel plate waveguide)

  • 이철훈;이종익;조영기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0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0 No.1
    • /
    • pp.113-116
    • /
    • 2000
  • 평행평판의 원면에 위치한 슬릿을 통하여, 슬릿의 바로 윗 부분에 도체 스트립이 있을 때 일어나는 전자기적 결합 현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슬릿의 폭이 파장에 비하여 매우 작을 때와 매우 클 때의 두 경우로 나누어서 기술하였다. 슬릿의 폭이 좁은 경우는 기존의 개구결합(aperture-coupled)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해당되며 슬릿의 폭이 넓은 경우는 기존의 proximity-coupled 마이르로스트립 안테나에 해당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급전구조와 기존의 마이크로스트립 누설파 안테나의 급전구조 설계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직 등온 평행 평판에서 상호작용 유동이 대류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teractive Flow on Convective Heat Transfer from two Vertical Isothermal Parallel Plates)

  • 김상영;정한식;권순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65-77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수직 등온 평행평판의 혼합대류 열전달에 대하여 두 평판의 길 이가 다른 경우를 고찰하고자 Reynolds수, Grashof수, 평판간격을 변수로 하여 수치해 석 하였다.

유전체 슬랩으로 덮힌 평행평판 도파관의 좁은 슬릿을 통한 슬랩 위의 도체 스트립과의 결합 (Coupling through a narrow slit in a parallel-plate waveguide covered by a dielectric slab with a conducting strip on the slab)

  • 이종익;홍재표;조영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2호
    • /
    • pp.68-74
    • /
    • 2000
  • 유전체 슬랩으로 덮힌 평행평판 도파관의 좁은 슬릿을 통한 슬랩 위의 도체 스트립과의 전자기적인 결합문제를 평행평판 도파관에 TEM파가 입사되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슬릿의 접선성분 전계와 도체 스트립에 유기된 전류에 관한 결합 적분방정식을 유도하고 모멘트방법으로 풀었다. 도체 스트립이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보이기 위하여 도파관내에서의 반사 및 투과 전력, 슬릿을 통해 결합된 전력, 슬릿의 등가 어드미턴스, 그리고 복사패턴 등에 대한 수치해석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슬릿을 통해 평행평판 도파관 외부로 결합된 전력의 최대치가 도파관 내부 입사전력의 약 50%가 됨을 관찰하였다.

  • PDF